타카하시 슈헤이

덤프버전 :


}}} ||
[ 펼치기 · 접기 ]


타카하시 슈헤이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 ||
[ 펼치기 · 접기 ]
[ 쇼와 시대 ]

||<-5><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
1965년 ~ 1988년
||
|| 1965년 ||<width=20%> 1966년 1차 ||<width=20%> 1966년 2차 ||<width=20%> 1967년 ||<width=20%> 1968년 ||
|| 토요나가 류세이
(豊永隆盛) || 오오바 타카히로
(大場隆広) || 이구마 히로카즈
(伊熊博一) || 츠치야 히로시
(土屋紘) || 호시노 센이치
(星野仙一) ||
|| 1969년 ||<width=20%> 1970년 ||<width=20%> 1971년 ||<width=20%> 1972년 ||<width=20%> 1973년 ||
|| 야자와 켄이치
(谷沢健一) || 우지이에 마사유키
(氏家雅行) || 후지사와 테츠야
(藤沢哲也) || 스즈키 타카마사
(鈴木孝政) || 후지나미 유키오
(藤波行雄) ||
|| 1974년 ||<width=20%> 1975년 ||<width=20%> 1976년 ||<width=20%> 1977년 ||<width=20%> 1978년 ||
|| 츠치야 마사카츠
(土屋正勝) || 타오 야스시
(田尾安志) || 미야코 유지로
(都裕次郎) || 후지사와 키미야
(藤沢公也) || 타카하시 미치타케(1)
(高橋三千丈) ||
|| 1979년 ||<width=20%> 1980년 ||<width=20%> 1981년 ||<width=20%> 1982년 ||<width=20%> 1983년 ||
|| 우시지마 카즈히코
(牛島和彦) || 나카오 타카요시
(中尾孝義) || 오노우에 아키라
(尾上旭) || 카시마 타다시(1)
(鹿島忠) || 후지오 야스하루
(藤王康晴) ||
|| 1984년 ||<width=20%> 1985년 ||<width=20%> 1986년 ||<width=20%> 1987년 ||<width=20%> 1988년 ||
|| 나카무라 타케시(1)
(中村武志) || 사이토 마나부(1)
(斉藤学) || 콘도 신이치(2)
(近藤真市) || 타츠나미 카즈요시(2)
(立浪和義) || 이마나카 신지
(今中慎二) ||
[ 헤이세이 시대 ]

||<-5><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
1989년 ~ 2018년
||
|| 1989년 ||<width=20%> 1990년 ||<width=20%> 1991년 ||<width=20%> 1992년 ||<width=20%> 1993년 ||
|| 요다 츠요시
(与田剛) || 코지마 히로무(1)
(小島弘務) || 오치아이 에이지(1)
(落合英二) || 사토 히데키(1)
(佐藤秀樹) || 히라타 히로시(3)
(平田洋) ||
|| 1994년 ||<width=20%> 1995년 ||<width=20%> 1996년 ||<width=20%> 1997년 ||<width=20%> 1998년 ||
|| 카나모리 타카히로(1)
(金森隆浩) || 아라키 마사히로(1)
(荒木雅博) || 코야마 신이치로
(小山伸一郎) || 카와카미 켄신(3)
(川上憲伸) || 후쿠도메 코스케(3)
(福留孝介) ||
|| 1999년 ||<width=20%> 2000년 ||<width=20%> 2001년 ||<width=20%> 2002년 ||<width=20%> 2003년 ||
|| 아사쿠라 켄타(1)
(朝倉健太) || 나카자토 아츠시
(中里篤史) || 마에다 아키히로(1)
(前田章宏) || 모리오카 료스케
(森岡良介) || 나카가와 히로키
(中川裕貴) ||
|| 2004년 ||<width=20%> 2005년 ||<width=20%> 2006년 ||<width=20%> 2007년 ||<width=20%> 2008년 ||
||<|2> 히구치 타츠미(3)
(樋口龍美) || 히라타 료스케(4)
(平田良介) || 도노우에 나오미치(2)(4) || 아카사카 카즈유키(1)(4)
(赤坂和幸) ||<|2> 노모토 케이(2)
(野本圭) ||
|| 요시미 카즈키(3)(5)
(吉見一起) || 타나카 다이스케(3)(5)
(田中大輔) || 야마우치 소마(1)(5)
(山内壮馬) ||
|| 2009년 ||<width=20%> 2010년 ||<width=20%> 2011년 ||<width=20%> 2012년 ||<width=20%> 2013년 ||
|| 오카다 토시야(1)
(岡田俊哉) || 오노 유다이
(大野雄大) || 타카하시 슈헤이(2)
(高橋周平) || 후쿠타니 코지
(福谷浩司) || 스즈키 쇼타(1)
(鈴木翔太) ||
|| 2014년 ||<width=20%> 2015년 ||<width=20%> 2016년 ||<width=20%> 2017년 ||<width=20%> 2018년 ||
|| 노무라 료스케
(野村亮介) || 오가사와라 신노스케(1)
(小笠原慎之介) || 야나기 유야(2)
(柳裕也) || 스즈키 히로시(1)
(鈴木博志) || 네오 아키라(2)
(根尾昂) ||
[ 레이와 시대 ]

||<-5><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
2019년 ~
||
|| 2019년 ||<width=20%> 2020년 ||<width=20%> 2021년 ||<width=20%> 2022년 ||<width=20%> 2023년 ||
|| 이시카와 타카야(2)
(石川昂弥) || 타카하시 히로토
(髙橋宏斗) || 브라이트 켄타
(ブライト健太) || 나카치 레이아
(仲地礼亜) || 쿠사카 쇼(1)(2)
(草加勝) ||
(1) 하즈레 1라운더: 첫 지명에서 중복 지명된 선수의 교섭권 획득에 실패했을 때 차순위로 선택한 선수.
(2) 복수지명 추첨 성공
(3) 역지명, 희망 입단 범위: 1993년부터 2006년까지 존재한 제도로, 선수를 확정적으로 획득할 수 있었다.
(4) 고교생 드래프트, (5) 대학생, 사회인 드래프트: 2005년~2007년의 3년간은 고교 선수와, 대학&사회인 야구에서 뛰었던 선수의 지명이 분리되어 있었다.
(6) 지명 후 미입단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2019년 일본프로야구 센트럴리그 3루수 부문 베스트나인
미야자키 토시로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2017-2018)
타카하시 슈헤이
(주니치 드래곤즈)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자이언츠)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2019-2020 일본프로야구 센트럴리그 3루수 부문 골든글러브
미야자키 토시로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타카하시 슈헤이
(주니치 드래곤즈)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자이언츠)

{{{#ffffff [[주니치 드래곤즈|주니치 드래곤즈]] 등번호 31번}}}
나카가와 히로키
(2010-2011)
타카하시 슈헤이
(2012-2013)
노모토 케이
(2014-2018)

{{{#ffffff [[주니치 드래곤즈|주니치 드래곤즈]] 등번호 9번}}}
노모토 케이
(2010-2013)
타카하시 슈헤이
(2014)
이시카와 슌
(2015-2020)

{{{#ffffff [[주니치 드래곤즈|주니치 드래곤즈]] 등번호 3번}}}
요시카와 다이키
(2011-2014)
타카하시 슈헤이
(2015~)
현역

파일:高橋周平.jpg
주니치 드래곤즈 No.3
타카하시 슈헤이
高橋周平 / Shuhei Takahashi
생년월일1994년 1월 18일 (30세)
국적
파일:일본 국기.svg

출신지가나가와현 후지사와시
출신학교도카이대학부속 코후고등학교
신체181cm, 85kg
포지션3루수, 2루수
투타우투좌타
프로입단2011년 NPB 신인 드래프트 1순위 (주니치)
소속팀주니치 드래곤즈 (2012~)
등장곡平井大 - Romeo+Juliet -Love goes on-
응원가가사 변경 전(2015~2019)[1]
가사 변경 후(2020~)[2]
연봉2022 / ¥75,000,000



1. 소개
2. 선수 경력
3. 플레이 스타일
4. 기타
5. 연도별 성적
6. 관련 문서



1. 소개[편집]


주니치 드래곤즈 소속의 야구선수.


2. 선수 경력[편집]


고교 통산 71홈런을 기록한 장타력을 인정받아 2011년 드래프트회의에서 오릭스 버팔로즈,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주니치 드래곤즈가 중복 지명하였고 추첨끝에 주니치가 교섭권을 얻어내면서 주니치에 입단하였다.[3]

하지만 2017년까지의 모습은 그야말로 전형적인 안 터지는 유망주. 주전으로 정착한 2018년 이전까지 주니치가 타카하시에게 부여한 타석은 1044타석으로 상당히 많은 기회를 주었다. 그때마다 터질듯 말듯 희망고문만 시키던 슈헤이에 지친 주니치는 결국 2018시즌을 앞두고 강제로라도 주전으로 박고 백전노장 도이 마사히로 타격코치를 전담으로 붙여 죽기살기로 키우기로 결정한다.

그렇게 맞이한 2018시즌에 주전 2루수로 총 128경기에 나와 타율 .254 11홈런 69타점을 기록하면서 주전으로 정착하는데 성공했다. 물론 나머지 비율스탯이 영 좋지 않아 OPS가 간신히 7할을 넘기긴 했지만 첫 규정타석 충족 시즌을 만들어 낸 의미있는 시즌.

2019년부터는 주장의 중책을 맡았고, 역시 또다른 노망주인 아베 토시키에게 주전 2루수 자리를 넘기고 3루수 포지션에 정착. 5월에만 8차례의 맹타상[4]을 기록하며 월간 MVP에 선정되어 드디어 포텐이 본격적으로 터지는 듯 보였다. 그러나 한창 잘 나가던 7월 무렵 오른손 새끼손가락 부상을 당해 전열에서 이탈했고 8월에 복귀하지만 3할 타율이 아쉽게도 깨지고 말았다. 시즌 최종 타율 .293 7홈런 59타점을 기록했으며 개인 첫 베스트나인과 골든글러브를 수상했다.

2020년 시즌 초반에도 3할을 넘는 맹타를 휘둘렀으나 7월달에 햄스트링 부상을 당해 또다시 전열에서 이탈하고 말았다. 그래도 복귀 이후에 그럭저럭 활약하면서 데뷔 이후 첫 3할 타율을 기록했고 2년 연속으로 골든글러브를 수상했다.

2021년에는 개인 최다인 137경기에 나섰지만 컨택이 완벽하게 망해버리며 이도저도 아닌 타자로 전락하고 말았다. 가뜩이나 이 해에 주니치 타선이 매우 심각한 득점력 부족에 시달렸기에 팀 타선의 중추가 되어야 하는 슈헤이의 부진이 매우 뼈아팠다. 후반기부터 타격감을 끌어올렸지만 결국 시즌 최종 타율 .259 5홈런 39타점에 그치고 말았다. 주전 정착 이후 처음으로 OPS가 6할대로 추락했으며 리그 최다인 21개의 병살타를 기록했다.


3. 플레이 스타일[편집]


본래 고교 시절부터 규격 외 수준의 배팅으로 주목받은 장타자였다. 이미 이때부터 나무배트로 130미터 이상의 큰 타구를 날려보냈을 만큼 장타 포텐셜이 좋은 타자였지만 프로에서는 이 당시의 기대치만큼 장타자로 성장하지 못했고 중거리 교타자 스타일로 굳어졌다. 스윙이 부드러워 양질의 타구를 곧잘 생산해낸다.

본래는 주전 2루수로 정착을 시도했으나 최종적으로는 3루수로 정착했다. 3루 수비는 준수한 편. 주루의 경우 1루까지 도달 속도는 4.6초이고 통산 도루도 7개로 결코 빠르다고는 볼 수 없다. 다만 주루시에 붙는 가속력은 뛰어난 편.

4. 기타[편집]



5. 연도별 성적[편집]


통산 기록
연도소속경기타석타점득점안타2루타3루타홈런도루볼넷삼진타율출루율장타율OPS
2012
417135111020218.155.178.254.432
201366212271949131501134.249.290.401.691
2014611561414378160829.257.292.451.744
20155117218103261421642.208.287.338.624
201675283292864142402284.251.319.369.688
20174114810123060201531.233.306.326.632
201812847769351102611103089.254.305.400.704
20191174715950126285733270.293.345.430.776
20201084384646120251713970.305.368.426.794
20211375203940123270514079.259.315.347.663
20227829021186671211643.249.308.306.6614
NPB 통산
(11시즌)
9033240335277768156114558231589.261.317.381.698


6. 관련 문서[편집]



[1] 竜の未来を担え 君の手で
류우노미라이오니나에 키미노테데
飛びたて高く ゆけ周平
토비타테타카쿠 유케슈헤이
[2] 球は伸びゆく永遠に 頂きへ
타마와노비유쿠토와니 이타다키에
공은 뻗어간다 영원히 막다른 정상으로
更なる高み 行け周平
사라나루타카미 유케슈헤이
더 한층 높이 가라 슈헤이
[3] 이때 추첨에서 밀린 오릭스는 아다치 료이치를 지명했고 야쿠르트는 카와카미 류헤이를 지명했다. 아다치는 타격이 아쉽고 지병때문에 충분한 휴식을 전제로 하지만 리그 정상급 수비력을 자랑하는 유격수로 발돋움했고 나이를 먹은 현 시점에선 2루수 출전도 불사하는 등 현역 생활을 이어나가고 있다. 반면 카와카미는 1군 출전 기록없이 2016시즌을 끝으로 방출되었다.[4] 1경기 3안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2 03:24:11에 나무위키 타카하시 슈헤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