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신기오로 기오창가

덤프버전 :


파일:청나라 군주기.svg
청 추존 황제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tablewidth=100%><width=33.3%> [[아이신기오로 부쿠리용숀|{{{#000,#fff 시조}}}]] ||<width=33.3%> [[아이신기오로 먼터무|{{{#000,#fff 조조 원황제}}}]] ||<width=33.3%> [[아이신기오로 푸만|{{{#000,#fff 흥조 직황제}}}]] || || [[아이신기오로 기오창가|{{{#000,#fff 경조 익황제}}}]] || [[아이신기오로 탁시|{{{#000,#fff 현조 선황제}}}]] || --[[아이신기오로 도르곤|{{{#000,#fff 성종 의황제}}}]]-- || ||<-3><bgcolor=#00386a> [[틀:역대 청 황제|{{{-2 {{{#ffd400 '''청 황제'''}}}}}}]] ||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px-Imperial_standard_of_the_Qing_Lord.svg.png
건주여진 추장 및 청 황실의 직계 조상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tablewidth=100%> 신화 시기 ||[[아이신기오로 부쿠리용숀|포고리옹순]] || || 건주여진 ||범차 | 동휘호 | [[아이신기오로 먼터무|맹특목]] | [[아이신기오로 판차|범찰]] | [[아이신기오로 충샨|동산]] | [[아이신기오로 톨로|타라]] | 탈원보 | [[아이신기오로 푸만|복만]] | [[아이신기오로 기오창가|각창안]] | [[아이신기오로 탁시|탑극세]] | [[천명제|노이합적]] || || 황실 조상 ||[[아이신기오로 먼터무|조조]] | [[아이신기오로 충샨|동산]] | [[아이신기오로 시버오치피양구|석보재편고]] | [[아이신기오로 푸만|흥조]] | [[아이신기오로 기오창가|경조]] | [[아이신기오로 탁시|현조]] ||



청의 황자
[ 펼치기 · 접기 ]
더시쿠 · 러오단 · 소오창가 · 익황제 · 보올룽가 · 보오시
리둔 바투루 · 아르군 · 자이칸 · 선황제 · 타차 피양구
천명제 · 성의용장패륵 보올룽가 · 화석장친왕 · 통달군왕 야르하치 · 독의강과패륵 바야라
다라광락패륵 · 화석예열친왕 · 진국근민공 아배 · 삼등진국극결장군탕고대 · 이혁패륵 망고이태 · 화석요여민친왕 아파태 · 숭덕제(패륵) · 이혁패륵 덕격류 · 이혁진국장군 · 이혁영친왕 · 보국개직공 · 화석예충친왕 · 화석예통친왕 · 홍대자

화석숙무친왕 · 낙격 · 낙박회 · 보국공 엽포서 · 화석승택유친왕 석새 · 진국각후공 고새 · 보국공 상서 · 8황자 ·순치제(패자) · 보국공 도새 · 화석양소친왕 박목과이
승서 · 승호 · 승경 · 새음찰흔 · 고산패자 윤제 · 장화 · 화석이밀친왕 · 장생 · 만보 · 화석성은친왕 윤지 · 옹정제(화석옹친왕) · 화석항온친왕 윤기 · 윤조 · 화석순도친왕 윤우 · 화석염친왕 ·이혁패자 · 보국공 윤아 · 윤위 · 윤자 · 화석이의친왕 윤도 · 화석이현친왕 · 다라순근군왕 애신각라 윤제 · 윤기 · 다라유각군왕 윤우 · 화석장각친왕 · 화석과의친왕 윤례 · 윤개 · 윤직 · 다라간정패륵 윤의 · 다라신정군왕 윤희· 다라공근패륵 윤호 · 군왕품급성패륵 윤기 · 화석함각친왕 윤비 · 윤원
화석단친왕 홍휘 · 홍분 · 홍윤 · 홍시 · 건륭제(화석보친왕) · 화석화공친왕 · 복의 · 화석회친왕 복혜 · 복패 · 다라과공군왕 홍염 · 다라이각군왕 홍위 · 봉은보국공 홍환 · 보국공 영경

화석정안친왕· 단혜황태자 · 다라군왕 · 화석이단친왕 영성 · 화석영순친왕 · 화석질장친왕 · 화석철친왕 영종 · 화석의신친왕 · 영유 · 영모 · 화석성철친왕 영성 · 다라패륵 영기 · 영경 · 영로 · 가경제(화석가친왕) · 영선 · 화석경희친왕 영린

·다라은지군왕 혁위 · 다라혜질군왕 혁계 · 함풍제(황태자) · 화석돈근친왕· 화석공충친왕 · 화석순현친왕 · 다라종단군왕 혁합 · 다라부경군왕 혁혜

자녀 없음

역대 청 황제 · 역대 청 황태자 · 역대 청의 황녀
※ 기록이 있는 인물만 기재


}}}




청 추존 황제
景祖 翼皇帝 | 경조 익황제
파일:198a2a1e1496c59886a7946e70e4294082f6fed2.jpg
묘호경조(景祖)
시호창왕(昌王) → 익황제(翼皇帝)
아이신기오로 기오창가
(愛新覺羅 覺昌安, 애신각라 각창안)
ᠠᡳᠰᡳᠨ ᡤᡳᠣᡵᠣ ᡤᡳᡠ᠋ᠴᠠᠩᡤᠠ
부황흥조(興祖)
모후직황후(直皇后)
황후익황후(翼皇后)
생몰? ~ 1583년
재위1542년 ~ 1571년[1]

1. 개요
2. 상세
3. 가계도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아이신교로 기오창아(愛新覺羅覺昌安)는 청 태조 누르하치의 조부이자 건주위의 추장이다. 묘호는 경조(景祖). 흥조(興祖)의 아들이다.


2. 상세[편집]


1584년 경쟁 부족장인 니칸 와이란이 명나라군과 합세하여 구러성의 성주인 아타이(阿臺)를 공격했는데, 아타이의 아내는 교창아의 손녀였다. 교창아는 아타이를 구하러 아들 탁시를 데리고 구러성으로 가던 도중 명나라군과 니칸 와이란을 마주치게 되었고 거기서 명나라 군에게 아들 탁시와 함께 피살당하였다.

이후 교창아는 청나라숭덕제에 의해 창왕(昌王)으로 추존되었다가, 순치제가 경조(景祖) 익황제(翼皇帝)로 재추존하였다.

훗날 청조의 번성으로 교창아는 인류 유전학적 연구에서 칭기스 칸 다음으로 많은 자손를 남긴 인물로 평가되었다. # 칭기스 칸의 1800만명에는 크게 못미치는 150만명이지만, 칭기스 칸과 400년의 연배차가 나는 걸 생각하면 이쪽이 더 많다. #


3. 가계도[편집]


  • 부황: 아이신교로 푸만(愛新覺羅 福滿) - 흥조(興祖) 직황제(直皇帝)로 추존됨.
  • 아이신교로 교창아 - 경조(景祖) 익황제(翼皇帝)로 추존됨.
    • 아들 : 아이신교로 탁시 - 현조(顯祖) 선황제(宣皇帝)로 추존됨.


4.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7 04:29:36에 나무위키 아이신기오로 기오창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건주여진 추장 재위기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