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즈오카현 제1구

덤프버전 :


도카이 지방 국회의원
기후현, 시즈오카현, 아이치현, 미에현
[ 중의원 의원 ]
기후 1구기후 2구기후 3구기후 4구기후 5구
노다 세이코다나하시 야스후미무토 요지가네코 슌페이후루야 게이지
시즈오카 1구시즈오카 2구시즈오카 3구시즈오카 4구시즈오카 5구
가미카와 요코이바야시 다쓰노리고야마 노부히로후카자와 요이치호소노 고시
시즈오카 6구시즈오카 7구시즈오카 8구아이치 1구아이치 2구
가쓰마타 다카아키기우치 미노루겐마 겐타로구마다 히로미치후루카와 모토히사
아이치 3구아이치 4구아이치 5구아이치 6구아이치 7구
곤도 쇼이치구도 쇼조간다 겐지니와 히데키스즈키 준지
아이치 8구아이치 9구아이치 10구아이치 11구아이치 12구
이토 다다히코나가사카 야스마사에사키 데쓰마야기 데쓰야시게토쿠 가즈히코
아이치 13구아이치 14구아이치 15구아이치 16구미에 1구
오니시 겐스케이마에다 소이치로네모토 유키노리공석1다무라 노리히사
미에 2구미에 3구미에 4구
가와사키 히데토오카다 가쓰야스즈키 에이케이
비례 1비례 2비례 3비례 4비례 5
아오야마 슈헤이반노 유타카이시 타쿠미야자와 히로유키오구치 요시노리
비례 6비례 7비례 8비례 9비례 10
나카가와 마사하루스기모토 카즈미이케다 요시타카시오노야 류요시다 츠네히코
비례 11비례 12비례 13비례 14비례 15
나카가와 타카모토모토무라 노부코이토 와타루다나카 켄와타나베 슈
비례 16비례 17비례 18비례 19비례 20
이시하라 마사타카마사키 마키요시카와 타케루마키 요시오야마모토 사콘
비례 21
나카가와 야스히로
일본 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1] 2022년에 공직선거법 개정안이 통과되어 신설된 지역구임.
{{{-1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시즈오카현 제1구>
静岡県第1区
파일:shuinsen_Shizuoka1.svg
선거인 수387,132명 (2021)
상위 도도부현시즈오카현
하위 행정구역시즈오카시 아오이구/스루가구
국회의원
가미카와 요코




1. 개요[편집]


시즈오카시 아오이구/스루가구를 관할하는 일본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법무대신을 역임한 자유민주당 소속 가미카와 요코 외무대신.


2. 상세[편집]


시즈오카시 내에서도 경제 중심지로 꼽히는 지역으로, 다수의 기업들과 관광 시설들이 위치하고 있다.

선거구 출범 초기부터 유독 여러 후보가 난립하는 지역으로 유명했다. 처음 두 번의 선거(제41회, 제42회 총선)에서는 당선자의 득표율이 25% 미만이었다. 이후에도 계속 자민당과 민주당이 치열한 접전을 벌였다.

46, 47, 48회 총선에서는 자민당 가미카와 요코 의원이 야권 후보 난립의 덕을 보았다. 3번 다 과반 득표에 실패했지만, 야권 후보의 난립 덕분에 2위 후보와 큰 격차로 이겼다. 49회 총선에서는 과반 득표를 넘겼다.


3. 역대 국회의원[편집]


파일:Japan_gov_logo.png 시즈오카현 제1구 역대 국회의원
선거연도의원명소속정당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1996년오구치 요시노리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0년가미카와 요코
[[무소속|
무소속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3년마키노 세이슈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5년가미카와 요코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9년마키노 세이슈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2년가미카와 요코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4년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7년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21년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시즈오카현 제1구
구 시즈오카시 전역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오구치 요시노리48,650표1위

21.52%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토츠카 신야37,061표2위

16.39%낙선
아마노 신고35,642표3위

[[무소속|
무소속
]]
15.76%낙선
파일:민주당(일본 1996년) 로고.svg마키노 세이슈28,987표4위

12.82%낙선[1]
가미카와 요코26,828표5위

[[무소속|
무소속
]]
11.86%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스기야마 츠네오18,496표4위

8.18%낙선
마츠나가 히로시구15,526표7위

[[무소속|
무소속
]]
6.78%낙선
키노미야 타케시14,925표8위

[[무소속|
무소속
]]
6.60%낙선
유효표 수257,363투표율
62.24%
유권자 수369,430인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시즈오카현 제1구
{{{#fff
구 시즈오카시 전역}}}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가미카와 요코58,358표1위

[[무소속|
무소속
]]
24.23%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마키노 세이슈57,786표2위

23.99%비례당선
파일:공명당 로고만 하얀색.svg오구치 요시노리55,976표3위

23.24%낙선[2]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토츠카 신야43,734표4위
18.16%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시마즈 유키히로23,674표5위
9.83%낙선
파일:덕주회.png아사노 미츠유키1,327표6위
0.55%낙선
유효표 수215,286표투표율
64.86%
선거인 수376,886인

4.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시즈오카현 제1구
시즈오카시 일부(구 시미즈시 일부 지역 제외)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마키노 세이슈74,745표1위
33.48%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가미카와 요코67,437표2위
30.21%비례당선[3]
타나베 노부히로[4]59,937표3위
26.85%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가와세 유키요15,032표4위
6.73%낙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이시즈카 미노루6,093표5위
2.73%낙선
유효표 수149,909표투표율
60.38%
선거인 수379,980인

4.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시즈오카현 제1구
시즈오카시 일부(구 시미즈시 일부 지역 제외)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가미카와 요코99,702표1위
[5]39.49%당선
타나베 노부히로69,111표2위
27.38%낙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마키노 세이슈67,560표3위
26.76%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이케다 모토아키16,077표4위
6.37%낙선
유효표 수232,764표투표율
67.02%
선거인 수382,322인

해당 선거에서 낙서한 무소속 타나베 후보는 2011년 시즈오카시 시장선거에 출마, 당선되어 2023년까지 재임했다.

4.5.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시즈오카현 제1구
시즈오카시 일부(구 시미즈시 일부 지역 제외)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마키노 세이슈120,904표1위
47.29%당선[B]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가미카와 요코96,096표2위
37.59%낙선[6]
파일:다함께당 로고.png사토 타케시21,285표3위
8.33%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사이토 아이코14,293표4위
5.59%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이시다 아키라3,071표5위
1.20%낙선
유효표 수149,909표투표율
67.57%
선거인 수384,117인


4.6.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시즈오카현 제1구
시즈오카시 일부(구 시미즈시 일부 지역 제외)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가미카와 요코81,278표1위
36.18%당선[7]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마키노 세이슈53,773표2위
23.94%낙선[B]
파일:일본유신회(2012년) 심볼.png오자키 타케시41,479표3위
18.47%낙선
파일:다함께당 로고.png고이케 마사나리34,457표4위
15.34%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가와세 유키요13,646표5위
6.07%낙선
유효표 수174,668표투표율
59.79%
선거인 수384,803인

4.7.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시즈오카현 제1구
시즈오카시 아오이구, 스루가구, 시미즈구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가미카와 요코89,544표1위
[8]44.90%당선
파일:유신당 로고.png고이케 마사유키47,986표2위
24.06%낙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마키노 세이슈45,238표3위
22.68%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카와세 유키요16,682표4위
8.36%낙선
유효표 수232,764표투표율
52.91%
선거인 수385,176인

4.8.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시즈오카현 제1구
시즈오카시 아오이구, 스루가구, 시미즈구 일부
이름소속정당득표수
(득표율)
순위당선 여부비고
가미카와 요코
(上川陽子)
자유민주당96,500
(46.9%)
1위당선공명당 추천
고이케 마사나리
(小池政就)
희망의 당56,086
(27.2%)
2위낙선
아오야마 마사유키
(青山雅幸)
입헌민주당38,531
(18.7%)
3위낙선
당선(석패율제)
사회민주당 추천
스즈키 치카
(鈴木千佳)
일본 공산당14,732
(7.2%)
4위낙선
유효표 수205,849투표율 53.51%
유권자 수391,598

선거 후 환호하는 가미카와 요코 진영


4.9.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시즈오카현 제1구
시즈오카시 아오이구, 스루가구, 시미즈구 일부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가미카와 요코101,868표1위
52.4%당선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엔도 유키히로53,974표2위
27.7%낙선
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아오야마 마사유키21,074표3위
10.8%낙선
파일:국민민주당 로고.svg다카하시 미호17,667표4위
9.1%낙선
유효표 수194,583표투표율
50.99%
선거인 수387,132인

선거 당시의 시즈오카 1구 관련 뉴스 영상

현역 자민당 가미카와 요코 의원이 재출마하는 가운데, 이번에도 과거보다는 덜해진 야권의 후보난립이 발생했다.

입헌민주당은 엔도 유키히로 전 시즈오카현의회 의원을 공천했다. 국민민주당홋카이도에서 중의원의원에 당선되었던 다카하시 미호 전 의원을 공천했다. 공산당은 시마즈 유키히로 전 의원을 공천했다. 지난 총선에서 입헌민주당 후보로 당선된 아오야마 마사유키 의원은 성희롱으로 고발당하자 제명된 뒤 무소속으로 남아있었는데, 차기 총선에서 일본유신회 후보로 옹립되었다.#

이후 10월 12일 공산당의 시마즈 전 의원이 입후보를 철회하고 도카이 블록 비례대표로 단독출마하기로 입장을 선회하면서, 입헌-공산 간 단일화는 성사되었다. 이는 공산당 현위원회가 시마즈 전 의원의 비례 당선을 가장 중요시하는 입장이기 때문이다.

투표 결과, 자민당 가미카와 요코 후보가 과반 이상을 득표하며 여유롭게 당선되었다.


4.10.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10증10감 선거구 개편으로 인해 시즈오카시 아오이구/스루가구를 관할하게 되었다.

자민당 가미카와 요코 의원의 재출마가 전망된다. 제2차 기시다 제2차 개조내각에서 외무대신에 임명되며 체급이 더 커진 상황이다.

저번 선거에서는 국민민주당 소속으로 출마했던 다카하시 미호 전 의원이 입헌민주당으로 당적을 바꿔서 출마한다.

일본유신회에서는 저번 선거와 다른 후보를 내게되었다. 중의원 비서를 거쳐 청과 판매사와 건설사 임원을 역임한 야마시타 고키를 새 지부장으로 선임했다. 저번 선거에서는 6구에 출마했으나 지역구를 이 곳으로 옮겼다.

공산당에서는 스즈키 세츠코 전 시즈오카현의원을 공천했다.
[1]
추천
[2] 추천[3] 추천[4] 제3-5대 시즈오카시 시장[5] 추천[B] A B 추천[6] 추천[7] 추천[8]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