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리드 SRX V1

덤프버전 :

||


파일:솔리드 V1 엠블럼.jpg
솔리드 시리즈
[ 펼치기 · 접기 ]

파일:솔리드 C1.png파일:솔리드 E2.png파일:솔리드 G3.png파일:솔리드 R4.png
솔리드 C1
C1 엔진
솔리드 E2
E2 엔진
솔리드 G3
G3 엔진
솔리드 R4
R4 엔진
파일: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_솔리드 PRO.png파일:솔리드 SR.png파일:솔리드Z7.png파일:솔리드Z7LE.png
솔리드 PRO
PRO 엔진
솔리드 SR
SR 엔진
솔리드 Z7
Z7 엔진
솔리드 Z7 LE
Z7 엔진
파일:솔리드HT.png파일:뉴솔리드.png파일:뉴솔리드B.png파일:뉴솔리드S.png
솔리드 HT
HT 엔진
뉴 솔리드
뉴 엔진
뉴 솔리드 B
뉴 엔진
뉴 솔리드 S
뉴 엔진
파일:뉴솔리드블랙S.png파일:뉴솔리드블랙S.png파일:뉴솔리드블랙S.png파일:뉴솔리드WHITEC.png
뉴 솔리드 Black-B
뉴 엔진
뉴 솔리드 Black-S
뉴 엔진
뉴 솔리드 Black-H
뉴 엔진
뉴 솔리드 White-C
뉴 엔진
파일:뉴솔리드P.png파일:뉴솔리드P.png파일:솔리드9.png파일:블랙솔리드9.png
뉴 솔리드 P-B
뉴 엔진
뉴 솔리드 P-S
뉴 엔진
솔리드 9
JIU 엔진
블랙 솔리드 9
JIU 엔진
파일:솔리드 X 이미지.png파일: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_솔리드 PRO.png파일:솔리드 V1.png파일:아이언 솔리드 V1.png
솔리드 X
X 엔진
솔리드 PRO-R
PRO 엔진
솔리드 V1
V1 엔진
아이언 솔리드 V1
V1 엔진
파일:스틸 솔리드.png파일:솔리드 SRX V1 임시.png
스틸 솔리드 V1
V1 엔진
솔리드 SRX V1
V1 엔진
음영 표기 : PC방에서 사용 가능한 카트바디
보라색 글씨 : 현재는 획득이 불가능한 카트바디



1. 개요
2. 획득 경로
3. 성능
4. 여담
5. 관련 문서

파일:솔리드 SRX V1 설명.png
카트바디 설명

트랜스폼

파일:솔리드, 코튼 배너.jpg

이유 있는 고집, 솔리드 SRX V1


1. 개요[편집]


2022년 12월 22일에 출시되는 Face-lift 테마와 같이 카트 패스 보상으로 출시된 카트바디.

2. 획득 경로[편집]


카트 명칭솔리드 SRX V1
획득 방법일반 패스 30레벨 보상, 프리미엄 패스 1레벨 보상

각각 일반 패스 30레벨과 프리미엄 패스 1레벨에서 얻을 수 있는데, 어차피 프리미엄 패스 또한 100코인으로 사실상 무료이기 때문에
프리미엄 패스를 구매하여 바로 무제한을 획득할 수 있다.

3. 성능[편집]


성능 수치
서버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드리프트1020
가속력1024
코너링942
부스터 시간920
부스터 충전량600
속도
직선 속도?
부스터 속도?
출발 부스터?
헤어핀 감속?
익시드 시스템
최고 속도?
부스터 속도?
지속 시간1초 (Type S)
쿨타임611Frame
주행 물리
안정성최상
접지력최상
몸싸움최상
무게중심가운데
발동 조건
자동 변신140km/h
익시드20%
크래시 게이지200km/h


주목할 만한 점이라면, 게이지 충전량이 무려 600으로 초기형 V1 카트바디들의 게이지 충전량과 비슷하다. 다른 SRX 시리즈들은 여전히 520대에서 놀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과도하게 보급된 몸설정으로 인해 몸싸움형 카트바디의 장점이 퇴색되자[1] 아예 주행 안정성으로 노선을 틀어버린 듯. 안정성과 접지력도 솔리드답게 좋아 주행감은 상당히 좋다. 차체도 상당히 큰 편이며 평균적으로 충돌 방어력이 좋다. 다만 이에 반비례하듯이 감속이 평균 이하로 좋지 않은 편이며 차체가 상당히 커서 주행에 조금 애로사항이 있는 정도다.

또한, 기존의 스틸 솔리드 V1과 달리 익시드 충전속도에 페널티가 없기 때문에 익시드 빌드에도 문제가 없어 상술한 높은 게이지 충전량과 더불어 솔리드 시리즈 중 주행 포텐셜이 가장 좋다고 할 수 있다. 다만 태생이 솔리드인 만큼 메인 러너까지는 무리이며, 서브 러너로 달릴 때 가장 좋은 모습을 보여준다.

즉, 다른 솔리드처럼 스위퍼로 굴러도 좋지만, 이 카트바디의 진짜 진가는 메인 러너를 받쳐주는 서브 러너 및 미들 디펜스로 구를 때 가장 잘 드러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일대다 몸싸움을 버티며 에이스로써 멱살캐리를 해야 하는 상황에서도 유리하다. 다만 앞서 말했듯 결국 태생이 솔리드이기 때문에 메인 러너로 뛰어야 할 때나 1:1에서는 불리하다.

4. 여담[편집]


  • 저스티스 V1 이후로 두 번째로 일반 패스에 배치된 레어 등급 스피드 카트바디이다.
  • 코튼 SRX-9과 유사한 컬러링의 스킨이 씌워져 있다.
  • 현재 카트라이더가 시한부 선고를 받은 상황 때문인지 캐시로만 판매되던 카트 패스가 최초로 코인으로 판매되는 카트바디 중 하나이다.
  • 클래식 카트바디를 V1엔진으로 재해석했다는 점에서 한동안 신작 출시가 없었던 R시리즈의 정신적 후속이라 볼 수 있다.
  • 섭종 전 카트라이더의 마지막 카트바디를 근본으로 장식한 것은 호평일색이지만, SRX 시리즈가 레전드 등급을 책정받지 않아 아쉽다는 의견도 소수지만 나오고 있다. V1 엔진 출시 당시부터 근본이 계속 강조되어 왔는데, 이번 SRX 시리즈는 단순히 디자인 모티브만 따온 게 아니라 진짜로 그 시절의 모델링을 그대로 가져다가 쓴 진또배기 근본임에도 끝끝내 레전드 등급을 책정하지 않은 점은 확실히 아쉬운 점.[2] 아쉽지만 추후 레전드 파츠 수급 경로를 늘려줄 것을 기대해 보아야 할 것이다.

5. 관련 문서[편집]






파일:카트패스 일반.png 역대 일반 패스 최종 보상 리스트
[ 펼치기 · 접기 ]

챕터 1
시즌 1시즌 2시즌 3시즌 4시즌 5
파일:솔리드 V1.png파일:마라톤 V1.png파일:세이버 V1.png파일:로디 크로스.png파일:스톰 V1.png
솔리드 V1마라톤 V1세이버 V1로디 크로스스톰 V1

챕터 2
시즌 1시즌 2시즌 3시즌 4
파일:트레인 V1.png파일:세베크 V1.png파일:저스티스 V1.png파일:에이스 V1.png
트레인 V1세베크 V1저스티스 V1에이스 V1
시즌 5시즌 6시즌 7시즌 8
파일:서핑보드 V1.png파일:고릴라 V1.png파일:캐논V1.png파일:솔리드 SRX V1 임시.png
서핑 보드 V1고릴라 V1캐논 V1솔리드 SRX V1

챕터 3
시즌 1
파일:금계 V1 임시.png
금계 V1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06:43:50에 나무위키 솔리드 SRX V1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아무리 충돌 방어력이 좋아도 몸설정을 떡칠한 라이더를 상대로는 일방적으로 밀리기만 한다. 심지어 같은 몸설정충 사이에서도 어떤 설정을 쓰느냐에 따라 몸 차이가 생긴다![2] 어차피 서비스 종료를 앞두었기 때문에 레전드 등급의 가치 운운할 것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