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녀전선/장비제조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소녀전선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소녀전선/장비

파일:gf-logo.png
[ 펼치기 · 접기 ]
게임 정보
미디어 믹스
만화 · 앤솔러지 · 애니메이션(TVA · WEB)



1. 개요
2. 일반제조
2.1. 레시피
3. 중형제조
4. 요정제조
4.1. 레시피
5. 시간표
6. 모수 사이트


1. 개요[편집]


인형제조와 마찬가지로 장비제조 계약서와 자원을 사용하여 전술인형들이 사용할 장비를 제작하는 시스템이다.


2. 일반제조[편집]


인형 제조와 비슷하게 자원과 장비제조계약서를 소모해서 제조한다. 제조시간이 병종별로 밀집되어 있는 인형과는 달리 장비의 제조시간은 레어도별로 밀집되어 있어 5성과 2성이 겹치는 경우는 없다. 하지만 일부 구간에서는 5성과 4성이 맞닿아 있거나 제조시간이 역전되어 있기도 하므로 제조시간이 길다고 무조건 더 높은 성급인 것은 아니다.

소녀전선 개발사에서 공개한 공식 확률표
특정 레어도가 등장할 확률이 고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부품의 투입량이 등장 레어도의 비율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여러가지 제조식을 모두 합한 평균 5성 장비 출현률은 6.5%이다.

장비 완성 시에는 인형 완성시와 달리 부관이 음성안내를 하지 않는다.


2.1. 레시피[편집]


제시된 등장조건은 5성 장비 출현 기준으로, 대부분의 4성은 5성 등장조건을 만족하지 않아도 출현한다. 탄약통, 저격탄, 특수철갑탄, 버드샷은 4성 부터 있고, 3성 이하는 등장조건이 없다.

중형제조로 5성 장비를 얻고자 한다면 아래 조건의 20배에 해당하는 자원을 투입해야 한다. 단, 일반제조의 자원 150에 대해서는 중제조 투입량 한계치의 절반인 2500로 치환된다.

또한 서술된 등장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5성 장비가 나오는데, 예를 들어 부품 조건을 만족하더라도 식량이 49 이하인 제조식에서 5성 방탄삽판은 출현하지 않는다.

MICATEAM이 공식적으로 밝힌 제조식
종류인력탄약식량부품
사이트류[A]1401011010
야시장비701015030
소음기150505050
철갑탄[1]1015090100
특수탄[2]1801801050
고속탄1023012080
산탄[3]3015030130
외골격1008010100
방탄판5050100100
탄약통303030200
슈트1802020020
예비조준기180656565
칩셋1701205050
특수철갑탄103001010
고정 양각대3001010200
초크802208080
거리 측정기100250150170
범용식150150150150

2019년 1월 패치 이후는 미카팀이 공식적으로 제조식을 일괄적으로 공개하였다. 그리고 편의성 업데이트를 통해 특정장비류만 제조가능한 특수제작을 1주일에 20회 제공하게 되었다.


3. 중형제조[편집]


중국 서버는 2017년 7월 27일, 한국 서버는 2017년 9월 15일 패치로 추가되었다. 2018년 2월 1일 2.0 패치로 해금조건이 금훈장 60개에서 전역 클리어 60개로 완화되었으며, 인형 중형제조와 마찬가지로 대량의 자원을 사용하는 것은 물론 제조권 및 코어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인형 중형제조와 마찬가지로 3성 이상의 장비만 등장하며, 통상적인 요정은 중형장비제조를 통해서만 얻을 수 있다.

산탄총 제조에 비해 1회당 요구 자원이 적은 편이만 여러번 계속 돌려야되는 컨텐츠인데다가 산탄총처럼 마스크로 고를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실제로는 인형제조보다 더 갈려나갔으면 더 갈려나갔지 덜 갈려나가지는 않는다. 5성을 찍고 중복요정이 뜨더라도 n호기 혹은 타 이벤트요정의 강화재료로 쓰이기 때문에 인형보다도 체감이 심한편이다.

2019년 1월 패치 이후는 미카팀이 공식적으로 제조식을 일괄적으로 공개하였다. 다만 요정 관련 제조식으로는 기존에 통용되던 최소식과 부품을 2000을 투입하는 범용식만을 공개하였다.

2022년 9월 v3.0100 클라이언트 업데이트 이후 요정제조가 분리되었으며, 기존의 중형제조는 폐쇄된 상태이다.


4. 요정제조[편집]


2022년 9월 v3.0100 클라이언트 업데이트 이후 새로 생긴 제조. 제조 슬롯 개수는 장비 제조 슬롯 개수와 동일하게 제공된다.

기존에는 장비와 요정이 혼합되어 있었고 제조직 또한 미카팀이 죄소한 간략하게 구분한 것이 전부였으나, 3.0 업데이트 이후 기존의 중형제조가 폐쇄되고 요정제조로 분리됨과 동시에 제조식 분류가 더 세세하게 나뉘어졌다.


4.1. 레시피[편집]


요정 등장 주요 레시피는 다음과 같다. 요정 자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소녀전선/요정 문서 참고.

종류레시피
인력탄약식량부품출현 요정
저소모 요정식500500500500증원형, 전역형 요정을 제외한 모든 요정이 보통 확률로 출현
요정 일반식2000200020001000모든 요정이 낮은 확률로 출현
보조형7505001000500보조형 요정이 높은 확률로, 버프형,수비형, 광폭형 요정이 낮은 확률로 출현
버프형7501000500500버프형 요정이 높은 확률로, 수비형 요정이 보통, 보조형, 광폭형 요정이 낮은 확률로 출현
수비형1000750500500수비형 요정이 높은 확률로, 버프형 요정이 보통, 보조형,광폭형 요정이 낮은 확률로 출현
광폭형5001000750500광폭형 요정이 높은 확률로, 버프형 요정이 보통, 보조형,수비형 요정이 낮은 확률로 출현
증원형300050020001500증원형 요정이 높은 확률로, 보조형, 버프형,수비형, 광폭형 요정이 낮은 확률로 출현
전역형500200030001500전역형 요정이 높은 확률로, 보조형, 버프형,수비형, 광폭형 요정이 낮은 확률로 출현

  • 보조형: 지휘요정, 수색요정, 조명요정
  • 버프형: 용사요정, 격노요정
  • 수비형: 방패요정, 수호요정, 도발요정, 장벽요정, 쌍둥이 요정
  • 광폭형: 저격요정, 포격요정, 공습요정
  • 증원형: 방어요정, 증원요정, 공수요정
  • 전역형: 매설요정, 로켓요정, 공사요정, 연타요정


5. 시간표[편집]


제조 시간
(시간:분)
등급종류장비 이름
00:05★★파일:Icon_Telescopic_Sight.pngBM 3-12X40(옵티컬)
00:07★★파일:Icon_Silencer.pngAC1 소음기
00:08★★파일:Icon_Holographic_Sight.pngEOT 506(이오텍)
00:09★★파일:Icon_Night_Combat_Equipment.pngPEQ-2(야시장비)
00:10★★파일:Icon_Red_Dot_Sight.pngAMP COMPM2(레드 닷)
00:12★★파일:Icon_Exoskeleton.pngIOP T1 외골격
★★파일:Icon_Exoskeleton.pngIOP X1 외골격
00:13★★파일:Icon_Status_Ammo.pngILM HP탄
00:14★★파일:Icon_Shotgun_Ammo.pngBK 슬러그
★★파일:Icon_Shotgun_Ammo.png#1 벅샷
00:15★★파일:Icon_Armor-Piercing_Ammo.pngM61 철갑탄
00:16★★파일:Icon_Camo_Cape.png낡은 슈트
00:18★★파일:Icon_High-Velocity_Ammo.pngFMJ 고속탄
00:20★★★파일:Icon_Telescopic_Sight.pngLRA 2-12X50(옵티컬)
00:22★★★파일:Icon_Silencer.pngAC2 소음기
00:23★★★파일:Icon_Holographic_Sight.pngEOT 512(이오텍)
00:24★★★파일:Icon_Night_Combat_Equipment.pngPEQ-5(야시장비)
00:25★★★파일:Icon_Red_Dot_Sight.pngAMP COMPM4(레드 닷)
00:26★★★파일:Icon_Ballistic_Plate.pngType1 방탄삽판
★★★파일:Icon_chipset.png시제품 연산칩
00:27★★★파일:Icon_Exoskeleton.pngIOP T2 외골격
★★★파일:Icon_Exoskeleton.pngIOP X2 외골격
00:28★★★파일:Icon_Status_Ammo.pngILM HP탄
00:29★★★파일:Icon_Shotgun_Ammo.pngFST 슬러그
★★★파일:Icon_Shotgun_Ammo.png#0 벅샷
00:30★★★파일:Icon_Armor-Piercing_Ammo.pngM993 철갑탄
★★★파일:Icon_Shotgun_Choke.pngMk3 초크(초크)
00:31★★★파일:Icon_Camo_Cape.png위장용 슈트
00:32★★★파일:Icon_Bipod.pngHD50 양각대(고정 양각대)
00:33★★★파일:Icon_High-Velocity_Ammo.pngJSP 고속탄
00:34★★★파일:Icon_Special_Sight.pngRMR 레드닷(예비 조준기)
00:35★★★★파일:Icon_Telescopic_Sight.pngPSO-1(옵티컬)
00:37★★★★파일:Icon_Silencer.pngAC3 소음기
00:38★★★★파일:Icon_Holographic_Sight.pngEOT 516(이오텍)
00:39★★★★파일:Icon_Night_Combat_Equipment.pngPEQ-15(야시장비)
00:40★★★★파일:Icon_Red_Dot_Sight.pngCOG M150(레드 닷)
★★★★파일:Icon_Armor-Piercing_Ammo.pngM33 저격탄
00:41★★★★파일:Icon_Ballistic_Plate.pngType2 방탄판
★★★★파일:Icon_chipset.png#1 연산칩
00:42★★★★파일:Icon_Exoskeleton.pngIOP T3 외골격
★★★★파일:Icon_Exoskeleton.pngIOP X3 외골격
00:43★★★★파일:Icon_Status_Ammo.pngILM HP탄
★★★★파일:Icon_Range_Finder.pngM1050 LRF(거리 측정기)
00:44★★★★파일:Icon_Shotgun_Ammo.pngWAD 슬러그
★★★★파일:Icon_Shotgun_Ammo.png#00 벅샷
★★★★파일:Icon_Shotgun_Choke.pngMk4 초크(초크)
00:45★★★★파일:Icon_Armor-Piercing_Ammo.pngMK169 철갑탄
★★★★파일:Icon_Shotgun_Ammo.png#6 버드샷
★★★★★파일:Icon_Telescopic_Sight.pngVFL 6-24X56(옵티컬)
00:46★★★★파일:Icon_Camo_Cape.png도시 미채 슈트
00:47★★★★파일:Icon_Ammo_Box.pngIOP 대용량 탄약상자
★★★★★파일:Icon_Silencer.pngAC4 소음기
00:48★★★★파일:Icon_High-Velocity_Ammo.pngJHP 고속탄
★★★★파일:Icon_special-Armor-Piercing_Ammo.pngMk900SLAP(특수철갑탄)
★★★★★파일:Icon_Holographic_Sight.pngEOT 518(이오텍)
00:49★★★★★파일:Icon_Night_Combat_Equipment.pngPEQ-16A(야시장비)
★★★★파일:Icon_Special_Sight.pngRMR T2 레드닷(예비 조준기)
★★★★파일:Icon_Bipod.pngHD50 양각대 Mk2(고정 양각대)
00:50★★★★★파일:Icon_Red_Dot_Sight.pngITI MARS(레드 닷)
★★★★★파일:Icon_Armor-Piercing_Ammo.pngM1022 저격탄
00:51★★★★★파일:Icon_Ballistic_Plate.pngType3 방탄판
★★★★★파일:Icon_chipset.png#2 연산칩
★★★★★파일:Icon_Night_Combat_Equipment.pngSF 플래시 개량형(야시장비)
00:52★★★★★파일:Icon_Exoskeleton.pngIOP T4 외골격
★★★★★파일:Icon_Exoskeleton.pngIOP X4 외골격
★★★★★파일:Icon_chipset.png집중력 칩셋
00:53★★★★★파일:Icon_Status_Ammo.pngILM HP탄
00:54★★★★★파일:Icon_Shotgun_Ammo.pngSABOT 슬러그
★★★★★파일:Icon_Shotgun_Ammo.png#000 벅샷
00:55★★★★★파일:Icon_Armor-Piercing_Ammo.pngMk211 고폭철갑탄
★★★★★파일:Icon_Shotgun_Ammo.png#7.5 버드샷
00:56★★★★★파일:Icon_Camo_Cape.png열광학 미채 슈트
★★★★★파일:Icon_Shotgun_Choke.pngMK0 다목적 초크(초크)
00:57★★★★★파일:Icon_Ammo_Box.pngIOP대용량 탄약통
★★★★★파일:Icon_Shotgun_Ammo.png산탄총 섬광탄
★★★★★파일:Icon_Status_Ammo.png신호탄
00:58★★★★★파일:Icon_High-Velocity_Ammo.pngAPCR 고속탄
★★★★★파일:Icon_special-Armor-Piercing_Ammo.pngMk1000SLAP(특수철갑탄)
00:59★★★★★파일:Icon_Special_Sight.pngRMR T4 레드닷(예비 조준기)
★★★★★파일:Icon_Bipod.pngHD100 양각대(고정 양각대)
01:00★★★★★파일:Icon_Range_Finder.pngM200X LRF(거리 측정기)
03:00요정파일:54px-Icon_Battle_Fairy.png방패요정
03:05요정파일:54px-Icon_Battle_Fairy.png수호요정
03:10요정파일:54px-Icon_Battle_Fairy.png도발요정
03:30요정파일:54px-Icon_Battle_Fairy.png저격요정
03:35요정파일:54px-Icon_Battle_Fairy.png포격요정
03:40요정파일:54px-Icon_Battle_Fairy.png공습요정
04:00요정파일:54px-Icon_Strategy_Fairy.png증원요정
04:05요정파일:54px-Icon_Strategy_Fairy.png공수요정
04:10요정파일:54px-Icon_Strategy_Fairy.png방어요정
04:15요정파일:54px-Icon_Battle_Fairy.png장벽요정
04:30요정파일:54px-Icon_Battle_Fairy.png용사요정
04:35요정파일:54px-Icon_Battle_Fairy.png격노요정
04:40요정파일:54px-Icon_Battle_Fairy.png쌍둥이 요정
05:00요정파일:54px-Icon_Battle_Fairy.png지휘요정
05:05요정파일:54px-Icon_Battle_Fairy.png수색요정
05:10요정파일:54px-Icon_Strategy_Fairy.png조명요정
05:15요정파일:54px-Icon_Strategy_Fairy.png연타요정
05:30요정파일:54px-Icon_Strategy_Fairy.png매설요정
05:35요정파일:54px-Icon_Strategy_Fairy.png로켓요정
05:40요정파일:54px-Icon_Strategy_Fairy.png공사요정


6. 모수 사이트[편집]


링크
중국발 모수사이트로 중국계 사이트인만큼 기본언어는 중국어(간체)지만 메인화면 우측 상단에서 영어로 전환할 수도 있으며 이용법이 간단하고 중국계이니만큼 모수가 많아 비교적 제대로 된 확률을 알기 쉽다. 2017년 5월 28일 22시 때, 2018년 1월 5일 19시 30분 이후로 업데이트가 두 달 정도 멈추기도 했으나 2018년 3월 26일 현재는 다시 업데이트가 진행되는 중. 장비 관련 데이터가 나오지 않을 경우 그냥 서버 내부 렉으로 안 나오는 거다. 나중에 다시 시도하면 정상적으로 나온다

  • 이용법: 위의 링크로 들어갈 경우 기본적으로 모든 총기들과 장비, 요정이 총기/등급별로 배치되어 있는데 클릭할 경우 해당 장비의 조합식과 모수횟수/흭득횟수 등이 나온다.[4] 기본적으로는 일반/중형 모수를 전부 보여주지만 왼측 상단의 하늘색 버튼(일반제조/중형제조/전체 순)에 따라서 일반제조한정이나 중형제조 한정 모수를 볼 수도 있으며 해당 조합식을 클릭할 경우 해당 조합식에서 모수된 장비의 기본적인 정보와 흭득률이 표시된다. 등급의 경우 일반은 모두 0으로 되어있고 중형은 1~3의 숫자가 배치되어 있는데 1~3은 중형제조에 투입되는 제조권+코어의 순서를 뜻한다. 1이 제일 낮은 1제조권+3코어이며 3이 제일 많은 재료를 요구하는 식이라는 것.

  • 주의점: 어느 장비의 어느 조합식으로 제조 횟수 1000번중 출현이 10일 경우 산술적인 나눗셈으로 확률이 1.0%로 뜨는 것이지 그 식으로 해당 장비가 100번중 1번이 뜨는게 아니다. 특히 중제조의 경우 제일 기본적인 중제조 범용식들을 제외하면 대부분 세자리수밖에 안되는 모수도 있는만큼 모수가 낮은 경우 큰 수의 법칙 때문에 신뢰도가 낮다. 30%대 저격식 같은 건 표본 수가 부족해서 생기는 현상이다. 그러니까 모수가 적은건 기대하지 말자. 사이트를 몇번 들락거리다보면 확률 높은 제조식들도 모수가 많아질수록 적당한 확률로 떨어진다는걸 알 수 있다. 이제는 시행횟수 최소 530회가 아니면 올라오지 않기 때문에 30%확률을 가진 식은 볼 수 없다.
[A] [1] 철갑탄, 저격탄[2] HP탄, 신호탄[3] 벅샷, 슬러그, 버드샷, 산탄총 섬광탄[4] 정확한 순서는 왼쪽 부터 번호/인력/탄약/식량/부품/등급(중형 = 1~3 일반 = 0)/출현수/모수/출현율(출현수/모수)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소녀전선/장비 문서의 r31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소녀전선/장비 문서의 r31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23:26:18에 나무위키 소녀전선/장비제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