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용인JC (r2판)

편집일시 :

서용인 분기점
西龍仁 分岐點
West Yongin Junction
인천 방면
마성IC
← -.- km
파일:Expressway_kor_50.svg
영동선
15
강릉 방면
용인IC
-.- km →
동탄 방면
서용인IC
← -.- km
파일:Expressway_kor_400.svg
수도권2순환선
3
곤지암 방면
포곡IC
-.- km →


주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유림동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마성리
관리기관
영동선파일:한국도로공사 CI.svg
수도권본부 군포지사
수도권2순환선파일:화성광주고속도로 로고.png
개통
영동선2022년 3월 21일
수도권2순환선

1. 개요
2. 구조
3. 역사
4. 여담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서용인JCT_설계.jpg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동탄-곤지암) 3번. 영동고속도로 15번.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유방동과 포곡읍 마성리에 걸쳐 있는 분기점.

마성IC마성터널 상부의 복잡한 도로와 항상 도로 최외측에 설치되어야 하는 나들목 구조상, 도로 진출입이 꽤나 복잡하다. 마성터널을 지나는 영동고속도로 본선에 진출입로를 두지 않고, 마성IC 진출입로에 접속시켜서 신갈JC 방향에서 이 곳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전부 석성산 급구배를 넘어와야 한다.

당초 설계에서는 불완전 클로버형 교차로로 인천 방향에서 곤지암 방향 진출이 안 되도록 설계되었으나, 마성터널 상부에 유턴 램프를 추가하여 해당 방향으로도 갈 수 있도록 만들었다. 이 유턴 램프를 이용하면 인천 방향에서 강릉 방향으로 유턴하는 것도 가능하다.

동탄 방향에서 강릉 방향으로의 진출은 도로 구조상으로는 가능하나, 실제로는 분리봉으로 막아 놨다. 200m 남짓한 짧은 거리 내에서 차선 2개를 이동해야 하는데 이 구간은 이미 수많은 차량의 이동 경로로 사용되기 때문에[1] 무리하게 차선을 옮겼다간 X자 교차로에 의한 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아 막아놓은 것으로 보인다.[2]


2. 구조[편집]



2.1. 영동고속도로[편집]



2.1.1. 인천방향[편집]




2.1.2. 강릉방향[편집]




2.2.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편집]



2.2.1. 동탄방향[편집]




2.2.2. 곤지암방향[편집]




3. 역사[편집]



4. 여담[편집]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의 동탄JC 및 화성JC 방면에서 영동고속도로 인천방향으로 가는 길에 진입금지 안내 표지판이 있는데, 인천으로 가는 방향을 표시하는 번호가 영동고속도로의 50번 번호가 아닌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의 400번 표기로 잘못 표기되어 있다.

5.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07-14 00:09:58에 나무위키 서용인JC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마성IC를 이용하려는 차량, 영동고속도로 인천 방향에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로 진출하려는 차량,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곤지암 방향에서 인천 방향으로 진출하려는 차량.[2] 동탄방향에서 강릉 방향을 이용하려면 포곡IC에서 진출한 후에 영동고속도로용인IC로 이동해서 강릉(원주)방향을 이용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