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래드 박스버거

덤프버전 :

브래드 박스버거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
[ 펼치기 · 접기 ]
#191919,#ffffff ||<-5><tablebgcolor=#ffffff,#191919><table width=100%><bgcolor=#c6011f> '''{{{#ffffff 1965년 ~}}}''' || ||<width=20%> {{{-1 1965}}}[br]버니 카르보[br]{{{-2 3루수 / 전체 16번}}} ||<width=20%> {{{-1 1966}}}[br][[게리 놀란]][br]{{{-2 투수 / 전체 13번}}} ||<width=20%> {{{-1 1967}}}[br]웨인 심슨[br]{{{-2 투수 / 전체 8번}}} ||<width=20%> {{{-1 1968}}}[br]팀 그랜트[br]{{{-2 투수 / 전체 13번}}} ||<width=20%> {{{-1 1969}}}[br]돈 굴렛[br]{{{-2 투수 / 전체 14번}}} || || {{{-1 1970}}}[br]개리 폴친스키[br]{{{-2 유격수 / 전체 15번}}} || {{{-1 1971}}}[br]~~마이크 마일리[br]{{{-2 유격수 / 전체 24번}}}~~ || {{{-1 1972}}}[br]래리 페인[br]{{{-2 투수 / 전체 7번}}} || {{{-1 1973}}}[br]찰스 케슬러[br]{{{-2 외야수 / 전체 22번}}} || {{{-1 1974}}}[br]스티브 리드[br]{{{-2 투수 / 전체 23번}}} || ||<|2> {{{-1 1975}}}[br]토니 모레토[br]{{{-2 외야수 / 전체 22번}}} ||<|2> {{{-1 1976}}}[br]마크 킹[br]{{{-2 투수 / 전체 23번}}} ||<|2> {{{-1 1977}}}[br]태드 벵거[br]{{{-2 3루수 / 전체 24번}}} ||<|2> {{{-1 1978}}}[br]닉 에사스키[br]{{{-2 유격수 / 전체 17번}}} || {{{-1 1979[* FA [[피트 로즈]]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br]댄 라마[br]{{{-2 포수 / 전체 20번}}} || || {{{-1 1979}}}[br]마이크 설리반[br]{{{-2 투수 / 전체 22번}}} || ||<|3> {{{-1 1980}}}[br]론 로빈슨[br]{{{-2 투수 / 전체 19번}}} ||<|3> ~~{{{-1 1981}}}~~[br]{{{-2 FA 래리 비트너 영입으로[br]인한 지명권 상실}}} || {{{-1 1982[* FA 데이브 콜린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br]스캇 존스[br]{{{-2 투수 / 전체 22번}}} ||<|3> {{{-1 1983}}}[br]커트 스틸웰[br]{{{-2 유격수 / 전체 2번}}} ||<|3> {{{-1 1984}}}[br]팻 파실로[br]{{{-2 투수 / 전체 5번}}} || || {{{-1 1982}}}[br]빌 홀리[br]{{{-2 투수 / 전체 23번}}} || || {{{-1 1982[* FA 데이브 콜린스 이적으로 인한 추가 지명권]}}}[br]로버트 존스[br]{{{-2 1루수 / 전체 28번}}} || || {{{-1 1985}}}[br][[배리 라킨]][br]{{{-2 유격수 / 전체 4번}}} || {{{-1 1986}}}[br]스캇 스쿠더[br]{{{-2 투수 / 전체 17번}}} || {{{-1 1987}}}[br]잭 암스트롱[br]{{{-2 투수 / 전체 18번}}} || ~~{{{-1 1988}}}~~[br]{{{-2 FA 에디 밀너 영입으로[br]인한 지명권 상실}}} || {{{-1 1989}}}[br]스캇 브라이언트[br]{{{-2 외야수 / 전체 20번}}} || || {{{-1 1990}}}[br][[댄 윌슨]][br]{{{-2 포수 / 전체 7번}}} || {{{-1 1991}}}[br]포키 리즈[br]{{{-2 유격수 / 전체 20번}}} || {{{-1 1992}}}[br][[채드 모톨라]][br]{{{-2 외야수 / 전체 5번}}} || {{{-1 1993[* FA 그렉 스윈델 이적으로 인한 추가 지명권]}}}[br]팻 왓킨스[br]{{{-2 외야수 / 전체 32번}}} || {{{-1 1994}}}[br][[C.J. 니코스키]][br]{{{-2 투수 / 전체 9번}}} || ||<|2> ~~{{{-1 1995}}}~~[br]{{{-2 FA 데이먼 베리힐 영입으로[br]인한 지명권 상실}}} || {{{-1 1996}}}[br]존 올리버[br]{{{-2 투수 / 전체 25번}}} ||<|2> {{{-1 1997}}}[br]브랜든 라슨[br]{{{-2 유격수 / 전체 14번}}} ||<|2> {{{-1 1998}}}[br]오스틴 키언스[br]{{{-2 외야수 / 전체 7번}}} ||<|2> {{{-1 1999}}}[br]타이 하윙턴[br]{{{-2 투수 / 전체 14번}}} || || {{{-1 1996[* FA 론 갠트 이적으로 인한 추가 지명권]}}}[br]맷 맥클렌던[br]{{{-2 투수 / 전체 33번}}} || || {{{-1 2000}}}[br]데이비드 에스피노자[br]{{{-2 유격수 / 전체 23번}}} ||<|2> {{{-1 2001}}}[br]~~제레미 소워스[br]{{{-2 투수 / 전체 20번}}}~~ || {{{-1 2002}}}[br]크리스토퍼 그룰러[br]{{{-2 투수 / 전체 3번}}} ||<|2> {{{-1 2003}}}[br]라이언 와그너[br]{{{-2 투수 / 전체 14번}}} ||<|2> {{{-1 2004}}}[br][[호머 베일리]][br]{{{-2 투수 / 전체 7번}}} || || {{{-1 2000[* FA 후안 구스만 이적으로 인한 추가 지명권]}}}[br]더스틴 모즐리[br]{{{-2 투수 / 전체 34번}}} || {{{-1 2002[* 제레미 소워스 입단 거부로[br]인한 보상픽]}}}[br]마크 슈라멕[br]{{{-2 3루수 / 전체 40번}}} || ||<|3> {{{-1 2005}}}[br][[제이 브루스]][br]{{{-2 외야수 / 전체 12번}}} ||<|3> {{{-1 2006}}}[br]드류 스텁스[br]{{{-2 외야수 / 전체 8번}}} || {{{-1 2007}}}[br]데빈 메소라코[br]{{{-2 포수 / 전체 15번}}} ||<|3> {{{-1 2008}}}[br][[욘더 알론소]][br]{{{-2 1루수 / 전체 7번}}} ||<|2> {{{-1 2009}}}[br][[마이크 리크]][br]{{{-2 투수 / 전체 8번}}} || || {{{-1 2007[* FA [[리치 오릴리아]] 이적으로 인한 추가 지명권]}}}[br][[토드 프레이저]][br]{{{-2 3루수 / 전체 34번}}} || || {{{-1 2007[* FA 스캇 쇼운와이즈 이적으로 인한 추가 지명권]}}}[br]카일 로츠카[br]{{{-2 투수 / 전체 53번}}} || {{{-1 2009[* FA [[제레미 아펠트]] 이적으로 인한 추가 지명권]}}}[br][[브래드 박스버거]][br]{{{-2 투수 / 전체 43번}}} || ||<|3> {{{-1 2010}}}[br][[야스마니 그랜달]][br]{{{-2 포수 / 전체 12번}}} ||<|3> {{{-1 2011}}}[br][[로버트 스티븐슨]][br]{{{-2 투수 / 전체 27번}}} || {{{-1 2012}}}[br]닉 트라비에소[br]{{{-2 투수 / 전체 14번}}} ||<|2> {{{-1 2013}}}[br][[필립 어빈]][br]{{{-2 외야수 / 전체 27번}}} ||<|2> {{{-1 2014}}}[br]닉 하워드[br]{{{-2 투수 / 전체 19번}}} || || {{{-1 2012[* FA 라몬 에르난데스 이적으로 인한 추가 지명권]}}}[br][[제시 윈커]][br]{{{-2 외야수 / 전체 49번}}} || || {{{-1 2012[* FA 프란시스코 코데로 이적으로 인한 추가 지명권]}}}[br]제프 겔랄리치[br]{{{-2 외야수 / 전체 57번}}} || {{{-1 2013}}}[br][[마이클 로렌젠]][br]{{{-2 투수 / 전체 38번}}} || {{{-1 2014[* FA [[추신수]] 이적으로 인한 추가 지명권]}}}[br][[알렉스 블랜디노]][br]{{{-2 유격수 / 전체 29번}}} || ||<|2> {{{-1 2015}}}[br][[타일러 스티븐슨]][br]{{{-2 포수 / 전체 11번}}} || {{{-1 2016}}}[br][[닉 센젤]][br]{{{-2 3루수 / 전체 2번}}} || {{{-1 2017}}}[br][[헌터 그린]][br]{{{-2 투수·유격수 / 전체 2번}}} ||<|2> {{{-1 2018}}}[br][[조나단 인디아]][br]{{{-2 3루수 / 전체 5번}}} ||<|2> {{{-1 2019}}}[br][[닉 로돌로]][br]{{{-2 투수 / 전체 7번}}} || || {{{-1 2016}}}[br][[테일러 트래멀]][br]{{{-2 외야수 / 전체 35번}}} || {{{-1 2017}}}[br][[지터 다운스]][br]{{{-2 유격수 / 전체 32번}}} || ||<|2> {{{-1 2020}}}[br]오스틴 헨드릭[br]{{{-2 외야수 / 전체 12번}}} || {{{-1 2021}}}[br][[맷 맥레인]][br]{{{-2 유격수 / 전체 17번}}} || {{{-1 2022}}}[br]캠 콜리어[br]{{{-2 3루수 / 전체 18번}}} || {{{-1 2023}}}[br]렛 라우더[br]{{{-2 투수 / 전체 7번}}} ||<|2> [[신시내티 레즈|[[파일:신시내티 레즈 엠블럼.svg|width=100]]]] || || {{{-1 2021[* FA [[트레버 바우어]]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br]제이 앨런[br]{{{-2 외야수 / 전체 30번}}} || {{{-1 2022[* FA [[닉 카스테야노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br]샐 스튜어트[br]{{{-2 3루수 / 전체 32번}}} || {{{-1 2023[*CBA]}}}[br]타이 플로이드[br]{{{-2 투수 / 전체 38번}}} || ||<-5> * {{{-2 --취소선-- 처리된 선수는 레즈 구단과 계약하지 않은 선수[br][각주]}}} ||



브래드 박스버거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파일:2015 MLB 올스타전 로고.svg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2015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15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세이브왕
페르난도 로드니
(시애틀 매리너스)
브래드 박스버거
(탬파베이 레이스)
잭 브리튼
(볼티모어 오리올스)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등번호 29번
루이스 마르티네즈
(2011)
브래드 박스버거
(2012~2013)
트로이 패튼
(2014)
탬파베이 레이스 등번호 26번
스티븐 보트
(2012)
브래드 박스버거
(2014~2017)
최지만
(2018~2022)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등번호 31번
카일 드라벡
(2016)
브래드 박스버거
(2018)
알렉스 아빌라
(2019)
캔자스시티 로열스 등번호 26번
데일 스베움
(2018)
브래드 박스버거
(2019)
에릭 메히아
(2019~2020)
마이애미 말린스 등번호 33번
프레디 곤잘레스
(2017~2019)
브래드 박스버거
(2020)
마커스 테임즈
(2022)
밀워키 브루어스 등번호 45번
줄리스 차신
(2018~2019)
브래드 박스버거
(2021~2022)
루크 보이트
(2023)
시카고 컵스 등번호 25번
스티븐 브롤트
(2022)
브래드 박스버거
(2023)
결번

파일:컵스스캠박스버거.jpg
브래드 박스버거
Brad Boxberger
본명브래들리 조지 박스버거
Bradley George Boxberger
출생1988년 5월 27일 (36세)
캘리포니아 주 풀러턴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학력풋힐 고등학교 -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
신체178cm / 96kg
포지션투수
투타우투우타
프로입단2009년 드래프트 1라운드 (전체 43번, CIN)
소속팀샌디에이고 파드리스 (2012~2013)
탬파베이 레이스 (2014~2017)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2018)
캔자스시티 로열스 (2019)
마이애미 말린스 (2020)
밀워키 브루어스 (2021~2022)
시카고 컵스 (2023)




1. 개요[편집]


미국 국적의 우완 투수.


2. 선수 경력[편집]


대학 야구에서 유망한 모습을 보여 2009년 드래프트 1라운드로 신시내티 레즈에 지명되었다. 이후 3년간 산하 마이너리그 팀에서 선수 생활을 했으며, 11시즌에는 더블A 최고의 클로져로서 활약해 파드리스의 관심을 받아 트레이드되었다.


2.1. 샌디에이고 파드리스[편집]


2012년 6월 12일 브루어스를 상대로 메이저리그 데뷔전을 치렀다. 이후 2년간 트리플A와 빅리그를 오르내리며 릴리버로서 나쁘지 않은 스탯을 올렸다.


2.2. 탬파베이 레이스[편집]


파일:RaysBradBoxberger.jpg
레이스로 트레이드된 첫 시즌인 2014년 63경기 ERA 2.37로 성공적인 한 해를 보냈다. 이듬해에는 부상이 잦았던 제이크 맥기를 대신해 마무리 투수로서 중용되어, 41세이브를 올리며 올스타에 선정되기도 했다. 하지만 내전근과 복사근 부상들이 겹치며 다음 두 시즌 동안은 많은 경기를 소화하지 못하고 결국 디백스로 트레이드되었다.


2.3.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편집]


18시즌 마무리로 주로 출전하여 32세이브를 기록했으나 잦은 블론으로 안정감을 보여주지 못하며 구단이 계약 연장을 포기했고, FA 자격을 얻어 로열스에 합류한다.


2.4. 캔자스시티 로열스[편집]


29G ERA 5.40으로 별다른 활약을 펼치지 못했다. 이후 냇츠와 레즈 산하 마이너리그 구단들을 전전했다.


2.5. 마이애미 말린스[편집]


20년 2월 말린스와 계약했으나 7월에야 액티브 로스터에 올랐다. 정규시즌 18이닝과 포스트시즌 3⅓이닝을 소화했다.


2.6. 밀워키 브루어스[편집]


파일:Brewers_Brad_Boxberger.jpg

브루어스로 합류하여 커리어 제2막을 맞이하고 있다. 개막 직전에 사실상 방출까지 당했지만, 다시 잡은 기회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어 시즌 중반부터는 7회의 리드를 지키는 필승조로서 고정적으로 기용되었다. 71경기 출전해 방어율 3.34, 23개의 홀드와 4개의 세이브를 올렸다.

2022년 3월 13일, 1년 $2.5M의 계약을 맺어 잔류했다.

2.7. 시카고 컵스[편집]


2022년 12월 15일, 컵스와 1년 280만 달러의 계약을 맺었다.

부상에 시달리며 22경기에만 등판했고, 9월 23일 오른쪽 전완근 부상으로 15일 부상자 명단에 올라 시즌을 마감했다.

3. 피칭 스타일[편집]


주무기인 포심이 투구의 55퍼센트 정도를 차지한다. 평균 스피드는 93마일로 릴리버로서 빠른 편은 아니지만 구속 이상의 스터프를 보유하고 있다. 더하여 88마일의 슬라이더와 83마일의 체인지업 정도를 섞어 던진다.

4. 수상 내역[편집]



5. 연도별 성적[편집]


파일:MLB 로고.svg 브래드 박스버거의 역대 MLB 기록
연도GWLSHLDIPERAHHRBBHBPSOWHIPERA+fWARbWAR
2012SD24000127⅔2.60223182331.446140-0.10.1
2013180110222.86193130241.455121-0.10.1
연도GWLSHLDIPERAHHRBBHBPSOWHIPERA+fWARbWAR
2014TB635221864⅔2.373492041040.8351580.81.8
201569410412633.71549322741.3651050.00.1
201627430724⅓4.81233192221.72684-0.3-0.1
201730440529⅓3.38234111401.1591260.30.5
연도GWLSHLDIPERAHHRBBHBPSOWHIPERA+fWARbWAR
2018ARI603732153⅓4.39449321711.42596-0.4-0.8
연도GWLSHLDIPERAHHRBBHBPSOWHIPERA+fWARbWAR
2019KC29131026⅔5.40253171271.575890.00.0
연도GWLSHLDIPERAHHRBBHBPSOWHIPERA+fWARbWAR
2020MIA231006183.0017381181.3891540.00.5
연도GWLSHLDIPERAHHRBBHBPSOWHIPERA+fWARbWAR
2021MIL715442364⅔3.34448256831.0671280.81.0
20227043130642.95526272681.2341340.71.1
연도GWLSHLDIPERAHHRBBHBPSOWHIPERA+fWARbWAR
2023CHC220121204.95153111171.30093-0.20.1
MLB 통산
(12시즌)
50631388494477⅔3.5037263233235811.2671161.54.4


6. 여담[편집]


  • 아버지 로드 박스버거(Rod Boxberger) 역시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 소속 투수로 활약했다고 한다. 1978 대학야구 월드시리즈 MVP를 수상하기도 했다.

  • 2014년 5월 8일 레이스와 오리올스 간 경기에서, 6회초 무사 만루 위기에서 등판하여 세 타자를 삼구삼진으로 잡아내는 무결점 이닝(Immaculate Inning)을 뜬금 달성했다. 이는 레이스 구단 역사상 두 번째의 무결점 이닝이며, 메이저리그 역사상 최초로 만루 상황에서 기록한 무결점 이닝이라고 한다.

파일:realboxburger.jpg
  • 2018년 플레이어스 위켄드에서 박스버거의 유니폼이 ESPN 선정 최고의 별명 유니폼으로 뽑혔다. 이름 대신 이모티콘만 들어간 유니폼을 입은 역대 최초의 선수라고.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9:56:29에 나무위키 브래드 박스버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