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진희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문서에서 다루는 배우가 연기한 '하이킥! 짧은 다리의 역습'의 동명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백진희(하이킥! 짧은 다리의 역습) 문서
백진희(하이킥! 짧은 다리의 역습)번 문단을
백진희(하이킥! 짧은 다리의 역습)#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출연 작품 ]
MOVIE
파일:external/www.koreafilm.co.kr/poster2.jpg
파일:external/e0784abfb8d2e77116ba27e6c4966229b1e15c3b8c2a920bb8691837f3fd1bd6.jpg
파일:열여덟,열아홉 포스터.jpg
파일:무서운이야기2 강지은 캐릭터 포스터.jpg
반두비}}}
민서
2009
페스티발}}}
자혜
2010
열여덟,열아홉}}}
서야
2012
무서운 이야기 2}}}
강지은
2013
DRAMA
파일:하이킥 백진희.jpg
파일:전우치 이혜령.jpg
파일:attachment/gmnwrttttk.jpg
파일:타나실리.png
전우치}}}
이혜령
2012
금 나와라, 뚝딱!}}}
정몽현
2013
기황후}}}
타나실리
2013
파일:트라이 앵글 오정희.jpg
파일:오만과 편견 한열무.jpg
파일:내딸 금사월 포스터.jpg
파일:external/img.imbc.com/labonghee.jpg
트라이앵글}}}
오정희
2014
오만과 편견}}}
한열무
2014
내 딸, 금사월}}}
금사월
2015~2016
미씽나인}}}
라봉희
2017
파일:좌윤이 - 백진희.jpg
파일:식샤를합시다3 이지우 캐릭터 포스터.jpg
파일:죽어도 좋아 이루다.jpg
파일:진짜가 나타났다! 4인 포스터.jpg
저글러스}}}
좌윤이
2017~2018
식샤를 합시다3}}}
이지우
2018
죽어도 좋아}}}
이루다
2018
진짜가 나타났다!}}}
오연두
2023



백진희
白珍熙 | Baek Jinhee
출생1990년 2월 8일[빠른생일] (34세)
서울특별시 강동구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본관수원 백씨 (水原 白氏)
신체163cm, O형
가족부모님, 여동생 백다희, 백지윤
학력명덕여자고등학교 (졸업)
용인대학교 (영화영상학 / 학사)
소속사앤드마크
데뷔2008년 영화 사람을 찾습니다
(데뷔일로부터 5280일, 14주년)
링크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파일:다음 카페 아이콘.svg

1. 개요
2. 연기 경력
3. 출연 작품
3.1. 영화
3.2. 드라마
3.3. 방송
3.4. 뮤직비디오
3.5. 광고
4. 수상
5. 여담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배우.

데뷔 전, 한국의 공익광고협의회와 일본의 AC 재팬이 합작한 2005년 한일 공동 캠페인 공익광고 '아이가 당신의 말을 기다리고 있습니다'라는 나레이션에 나오는 여학생 역할을 맡았다.[1] 이후 2007년MBC 뉴스데스크 9시 시보에 나오던 소녀가 고등학교 3학년인 백진희였다.


2. 연기 경력[편집]


2008년 데뷔 후 영화에 꾸준히 출연하였으나 무명시절을 보내다가 2011년MBC시트콤프로그램 하이킥! 짧은 다리의 역습에 출연해 원더걸스소희 + 박보영을 닮은 신인으로 주목을 받으며 이름을 알렸다[2]. 참고로 백진희는 박보영과 동갑이며 생일이 며칠 차이 나지 않는다.

하이킥에선 초반 몽유병 + 거지근성 + 백수 등 캐릭터성이 개그[3]에 초점을 두었지만, 중반 후 노선을 확 바꿔 러브라인 중심의 불쌍한 여자 1 콘셉이 되었다.

이런 캐릭터 설정과 더불어 하이킥 3가 하이킥 시리즈, 김병욱표 시트콤을 통틀어 가장 아쉬운 성적으로 마무리됐기 때문에 여러모로 백진희라는 이름을 대중에 각인시키기에는 부족했다. 라디오 스타에 예능 첫 나들이[4]를 했는데, 윤종신이 이걸로 깠다. 그리고 본인 스스로도 "잠깐 빛 보나 싶었는데 빛을 못 봤다"라고 인정했지만 사실 빛 봤다. 하이킥 3이 하이킥 1, 2보다 시청률이 낮았지만 관심을 받은 시트콤이고 백진희는 하이킥 출연 이전에 무명이었다. 이 작품에서 가장 수혜를 입은 출연자임은 분명하다.[5][6]

2012년 KBS 2TV 사극 전우치에서 차태현의 동생으로 출연했지만, 동시간대 시청률 1위를 오랜 기간 수성했던 드라마임에도 불구하고 화제성이 낮아서 잘 알려지지 않았다. 그리고 2013년 MBC 주말드라마 금 나와라, 뚝딱!정몽현 역으로 출연하면서 화장품 CF 모델로 발탁되었다 기사보기 그리고 이 드라마 덕분에 2013년 MBC 연기대상에서 전소민과 함께 여자신인상을 받았다.

2013년에는 기황후의 1부 최종보스 격인 타나실리를 연기. 배우의 이미지나 그간 배역에 어울리지 않은 악역이라 우려가 있었으나 훌륭하게 소화하였다. 이 배역으로 백상예술대상에서 신인상을 기황후에서 유일하게 받았다.

2014년에는 드라마 트라이앵글, 오만과 편견에 출연했고, 2015년에는 드라마 내 딸, 금사월에 출연하였다. 그리고 2017년 1월부터는 또 MBC 드라마인 미씽나인에 출연했다. 이렇게 MBC 드라마 출연빈도가 상당히 높았기에 대표적인 MBC 공무원 중 한 명이였으나[7], 미씽나인과 같은 해 하반기 KBS2 드라마인 저글러스에 출연하면서 전우치 이후 5년만에 MBC에서 벗어났다. 이후에도 식샤를 합시다 3, 죽어도 좋아 등 타 방송국 작품에 출연하기 시작했다. 오히려 현재는 MBC 드라마의 출연이 뚝 끊겨버린만큼 MBC 공무원도 옛 말이 되었다.

2019년 드라마 국민 여러분!에 특별출연을 한 이후로 한동안 긴 공백기가 이어졌다. 가끔씩 단발성으로 예능에 출연하는 정도였으며, 인스타그램 계정을 통해서만 근황을 알 수 있었다.

그러다 2022년 커튼콜에 특별출연으로 오랜만에 드라마에 출연했다. 2023년 KBS 2TV 주말 드라마 진짜가 나타났다!에 출연을 확정지으면서 죽어도 좋아 이후 4년 3개월 만에 정식으로 복귀하게 되었다.


3. 출연 작품[편집]



3.1. 영화[편집]


개봉 연도제목배역 이름비고
2008년사람을 찾습니다다예주연, 데뷔작
2009년키친양산가게 여고생 커플단역
반두비민서[8]주연
2010년어쿠스틱진희[9]주연
페스티발자혜[10]주연
2012년열여덟,열아홉서야주연
2013년뜨거운 안녕안나주연
무서운 이야기 2강지은주연


3.2. 드라마[편집]


방영 연도방송사제목배역 이름비고
2008년파일:Dramax_CI.png크라임 시즌2여고생 피고[11]단역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09년파일:SBS 로고.svg천만번 사랑해고은정조연
2010년파일:KBS 2TV 로고.svg드라마 스페셜 - 비밀의 화원박여진주연
2011년드라마 스페셜 연작 시리즈 - 헤어쇼이영원주연
파일:MBC 로고.svg하이킥! 짧은 다리의 역습백진희주연
2012년파일:KBS 2TV 로고.svg전우치이혜령주연
2013년파일:MBC 로고.svg금 나와라, 뚝딱!정몽현주연
기황후타나실리주연
2014년트라이앵글오정희주연
오만과 편견한열무주연
2015년 ~ 2016년내 딸, 금사월금사월주연
2017년미씽나인라봉희주연
2017년 ~ 2018년파일:KBS 2TV 로고.svg저글러스좌윤이주연
2018년파일:tvN 로고(2012-2021).svg식샤를 합시다 3이지우주연
파일:KBS 2TV 로고.svg죽어도 좋아이루다주연
2019년국민 여러분!신혼 부부특별출연
2022년커튼콜진숙특별출연[12]
2023년진짜가 나타났다!오연두주연

3.3. 방송[편집]




3.4. 뮤직비디오[편집]


공개 시기가수곡명링크
2010년 5월 10일이석훈정거장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14년 3월 7일더원하나 둘 셋 넷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5. 광고[편집]



4. 수상[편집]


수상 연도시상식부문작품
2009년씨네21올해의 신인여자배우상반두비
2011년MBC 방송연예대상코미디.시트콤부분 인기상하이킥 짧은 다리의 역습
2013년MBC 연기대상여자 신인상기황후
2014년제50회 백상예술대상TV부문 여자 신인연기상
MBC 연기대상특별기획부문 여자 우수연기상오만과 편견
트라이앵글
2015년10대 스타상내 딸 금사월
2016년제9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여자 최우수연기상
2018년KBS 연기대상미니시리즈부문 여자 우수연기상죽어도 좋아
베스트커플상 (with 최다니엘)저글러스


5. 여담[편집]



  • 일본 성우 호소야 요시마사는 드라마 '트라이앵글'에서 허영달(김재중 분) 역의 성우를 담당했는데 덕분에 상대 여배우인 백진희를 좋아하게 되었다고 한다.

  • 대표적인 토끼상으로 유명하다.

  • 2017년 말 시작한 KBS 드라마 저글러스에서는 하이킥 시리즈 두 번째 작품에 나왔던 최다니엘과 함께 남녀 주인공을 맡았었다.

  • 2018년 7월 식샤를 합시다 3의 여자 주인공 이지우 역으로 출연했다. 역할 탓인지 기존 시트콤에 비해 다소 내성적인 모습으로 비친다.

  • 하트시그널2 출신인 방송인 오영주와 많이 닮았다. 이목구비도 이목구비지만 청순한 느낌의 전체적인 분위기가 비슷하다는 평이다. 또한 원더걸스 출신의 안소희와 외모가 닮았다.

  • 레이디스 코드권리세 역시 생전 매우 닮았다는 평이 많았다. 어느 정도냐면 매니저가 드라마 포스터에 백진희가 나와있는걸 리세한테 저 포스터 허락없이 언제 찍었냐고 화를 냈다가 리세가 “제가 아니라 백진희라는 배우에요!”라고 해명하는 해프닝이 있을 정도로 매우 닮았으며 특히 웃는 모습은 누가 백진희고 누가 권리세인지 구별을 못할 정도로 닮았다.

  • 출연 중인 작품에서는 밥량이 적게 나오지만 실제로는 식탐이 매우 좋다. 아무리 식탐이 좋다해도 강호동, 정준하[13] 정도는 아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08:51:46에 나무위키 백진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빠른생일] [1] 공익광고 영상을 자세히 보면, 실제로 백진희가 성장기 어린시절에 찍은 사진들이 나온다.#[2] 백진희의 고등학교 선배인 배우 박솔미는 해당 프로그램 출연진 중의 한 명인 고영욱과 함께 같은 채널 시트콤 가문의 영광에서 호흡을 맞췄다.[3] 특히 엉덩이를 깐 장면이 있었으나 살구색 속옷을 입고 모자이크 처리를 했던 장면이었다.[4] 사실 라디오 스타에 출연하기 전에 진짜 사나이에 내레이션으로 목소리만 출연한 적이 있긴 하다.[5] 백진희는 "'하이킥'은 내게 너무 고마운 작품이다. 아쉽다고 생각하면 오만한 게 아닐까. 내게 '하이킥'이 없었으면 그다음 작품도 없었을 거고, 지금의 내가 없었을 거다. 또 김병욱 감독님께 너무 감사한 게 내가 힘들 때마다 전화나 문자를 하면 '아직 너한테 맞는 캐릭터를 못 만난 거야. 만나면 진짜 빛 볼 거야'라고 위로를 해주셨다. 나한테는 너무 감사하고 은혜를 갚아야 하는 분이고, '하이킥'도 잊지 않아야 하는 작품이다. 대표작이 있는 것도 감사할 일이다. 이 마음으로 다른 작품에 도전하는 게 맞는 것 같다."고 했고 "아시다시피 시트콤 '하이킥'을 통해 상상 이상의 인지도를 얻었어요. 제 스스로 어린 나이인지라 이를 발판 삼아 승승장구하게 될 줄 알았죠. 그런데 제 뜻대로 흘러가진 않더라고요. 그럼에도 저도 모르는 뚝심이 있었나 봐요. 후회되는 시간도 있었고, 자책도 했지만 돌아가면 다시 할 수 없을 만큼 열심히 노력은 했던 것 같아요. 아직도 힘들지만, 얻는 것도 많은 배우라는 직업을 갖고 있음에 항상 감사하다는 생각밖에 들지 않아요."라고 하며 자신의 생각대로 되진 않았지만 하이킥에 고맙다고 말했다.[6] 원론적으로 보면 무명배우가 지상파 채널의 주요시간대 시트콤에서 주요인물 중 하나로 나왔다면 어떻게든 엄청난 수혜를 입을 수밖에 없다. 여기서 빛을 못 봤다는 소리는 "하이킥 시리즈치곤 빛을 못 봤다"는 보는게 맞다. 전작들은 신인급이거나 무명급인 배우들의 인지도를 획기적으로 올려놓았다. 특히 정일우나 박민영, 신세경은 톱스타급이 되었고, 오랜 경력에도 빵 뜨지 못했던 황정음은 이거 한방으로 떴다. 특히 (부부말고) 장기 러브라인의 수혜자들은 모두 스타가 되었다. 물론 과거작에 비해 젊은 출연진이 많아 주목도가 분산될 수밖에 없는 환경이지만, 그래도 저 정도 비중에 전작들처럼 흥행성적이라면 가장 핫한 젊은 스타 중 하나 정도 위치는 차지했을 것이다.[7] 당장 백진희의 얼굴을 본격적으로 알리기 시작한 하이킥! 짧은 다리의 역습도 MBC 시트콤이다.[8] 이 영화로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신인연기상 후보에 올랐다. 처음으로 주목받은 작품이다.[9] 이때 인터뷰한 기자에게 한국의 아만다 사이프리드란 말을 들었다.[10] 대종상, 청룡영화상 신인여우상 후보에 올랐다.[11] ep.3회 출연[12] 9회[13] 하이킥! 짧은 다리의 역습에서 그 타이틀을 이어받은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