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이탈리아) (r1판)

편집일시 :


파일:이탈리아 상원 심볼.svg 이탈리아 의회
원내 구성
파일:이탈리아 하원 심볼.svg}}}
[ 펼치기 · 접기 ]
멜로니 내각
(2022-현재)
연립정부
파일:이탈리아의 형제들 로고.svg파일:동맹(정당) 로고.png파일:전진 이탈리아 로고.svg
이탈리아의 형제들
65 • 119석
동맹
30 • 66석
전진 이탈리아
18 • 45석
기타 정당

6 • 9석
야당
파일:민주당(이탈리아) 로고.svg파일:오성운동 로고.png파일:녹색과 좌파동맹 로고.svg
민주당
40 • 69석
오성운동
28 • 52석
녹색좌파동맹*
4 • 12석
파일:행동(이탈리아 정당) 로고.png파일:생동하는 이탈리아 로고.png파일:남티롤 인민당 로고.png
행동
4 • 12석
생동하는 이탈리아
3 • 9석
남티롤 인민당
2 • 3석
기타 정당

11 • 16석
* 녹색 유럽과 이탈리아 좌파의 정당연합
의석수 표기는 상원(左, 전체 200석), 하원(右, 전체 400석) 순.


파일:민주당(이탈리아) 로고.svg
Partito Democratico
[ 펼치기 · 접기 ]
영문 명칭Democratic Party
한글 명칭민주당
약칭PD
창당일2007년 10월 14일
당사 주소로마
Via Sant'Andrea delle Fratte 16
당원 수412,675명 (2019년 기준)
대표엔리코 레타
유럽 정당유럽 사회당
유럽의회 정당사회민주진보동맹
정당 연합중도좌파 연합
국제 조직
청년 조직젊은 민주당(GD)
기관지Immagina
하원의원
69석 / 400석 (17.2%)
상원의원
40석 / 200석 (20.0%)
유럽의회의원
17석 / 76석 (24.6%)
주지사
5명 / 20명 (35.0%)
지방의원
183석 / 897석 (24.3%)
스펙트럼중도좌파
이념사회민주주의
친유럽주의
경제적 개입주의

내부계파 :
사회자유주의
기독교 좌파[1]
공식 사이트홈페이지
SNS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트위터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이들의 영향력으로 인해 (아예 사회보수주의까진 아니지만) 타국 중도좌파 정당들에 비해 이탈리아 민주당은 문화적 자유주의 성향이 상대적으로 약하게 나타난다는 지적도 많다.
1. 개요
2. 상세
3. 역대 대표
4. 역대 선거 결과
4.1. 이탈리아 의회 선거
4.2. 유럽의회 선거
5. 기타



1. 개요[편집]


Partito Democratico

이탈리아의 정당. 이탈리아의 선거연합인 중도좌파 연합의 수장이다. 제1야당이다.


2. 상세[편집]


2007년에 창당되었다. 이탈리아 공산당의 후신인 좌파민주당과 구 기독교민주당 세력이 주축이 된 라 마르게리타 등 여러 중도좌파 성향 정당을 규합하였다.[1] 덕분에 과거 이탈리아 좌파를 주도하던 사회당, 공산당 등을 실질적으로 대신하게 되었다. 과거 이탈리아 공산당의 표밭이던 중부 이탈리아 지역[2]과 전국 대도시에서 높은 지지율이 나온다.

창당 후 당시 거물 정치인 실비오 베를루스코니의 대표적인 경쟁 상대로 떠오르면서, 2000년대부터 2010년대 중반까지 이탈리아 정계를 호령했다. 로마노 프로디, 마리오 몬티, 엔리코 레타, 마테오 렌치, 파올로 젠틸로니 등의 전직 총리들이 이 당 출신. 다만 2010년대 후반 들어 난민 이슈 등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면서 결국 2018년 오성운동북부동맹 등에 대패해 정권을 상실했다.

2018년 이후 오성운동 지지율이 점점 떨어지고 그 지지율을 조금씩 받아먹다, 오성운동과 북부동맹의 연정이 깨지자 2019년 8월 새롭게 오성운동과 연정을 구성해 여당으로 복귀했다. 다만 총리직은 주세페 콘테 총리가 그대로 맡는다. 다만 이 연정으로 인해 마테오 렌치 전 총리로 대변되는 민주당 내 중도인사들이 반발하여 탈당, 생동하는 이탈리아를 창당했다. 다만 이후 생동하는 이탈리아 역시 연정에 참여했다.(...)

2020년 후반 들어 여론조사에서 1위 북부동맹과 3%p 차로 붙은 2위를 차지하고 있다가 2021년 11월부터는 이탈리아의 형제들과 경쟁 중으로 1%~2% 차이를 내고 있다.

2021년 10월 3일부터 4일간 열린 지방선거에서 오성운동을 배제하고도 범좌파 진영의 단일화를 주도하며 대승을 거둬, 2018년 암흑기를 어느정도 벗어난 것으로 평가받는다. 우파가 강세를 보이던 밀라노와 함께 나폴리 등 이탈리아 남부 지역에서도 선전한 것이 백미. 엔리코 레타 대표 본인도 같은날 열린 시에나 지역구 하원의원 보궐선거에서 49.9%를 득표해 승리한 뒤 “이번 선거는 우리가 우파연합을 이길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며 자축했다.#

10월 17일부터 18일 열린 결선투표에서도 로마와 토리노를 탈환하는 등 성과를 거두었다. 이에 대해 레타 대표는 “역사적인 승리”라며 극찬했다.#

이후에도 보궐선거에서 승리하고 이탈리아의 형제들과 1, 2위 자리를 다투고 있었지만 마리오 드라기 내각이 무너지면서 2022년 9월 25일 치러진 조기 총선에서 민주당 이끈 중도좌파 연합이 우파연합에 완패하면서 패배의 쓴잔을 들이켜야 했다.

3. 역대 대표[편집]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이탈리아 의회 선거[편집]


  • 붉은색은 민주당 주도 범좌파 진영 단독 집권, 회색은 거국내각 내지 타 진영과의 연정을 의미함.

연도대표의석수순위득표율득표율 증감집권 여부
2008발테르 벨트로니하원217석/630석2위33.1%2007년 창당비집권
(2008~2013)
상원118석/315석2위33.1%
2013피에르 루이지 베르사니하원297석/630석1위25.5%-7.6%p엔리코 레타 내각
(2013~2014)
상원112석/315석1위27.4%-5.7%p마테오 렌치 내각
(2014~2016)
파올로 젠틸로니 내각
(2016~2018)
2018마테오 렌치하원112석/630석3위18.8%-6.7%p비집권
(2018~2019)
상원53석/315석3위19.1%-8.3%p주세페 콘테 2기 내각
(2019~2021)
마리오 드라기 내각
(2021~2022)
2022엔리코 레타하원69석/400석2위19.0%+0.2%p비집권
(2022~현재)
상원40석/200석2위18.9%-0.2%p

4.2. 유럽의회 선거[편집]


연도대표의석수순위득표율득표율 증감
2009다리오 프란체스치니21석/72석26.1%2위2007년 창당
2014마테오 렌치31석/73석40.8%1위+14.7%p
2019니콜라 진가레티19석/76석22.7%2위-18.1%p

5. 기타[편집]


  • 이탈리아 반도에 있는 미니국가 산마리노사회민주당(Partito dei Socialisti e dei Democratici)과 제휴하고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2-10 02:41:08에 나무위키 민주당(이탈리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빅 텐트 정당이었던 기민당의 당내 좌파가 구 공산당사회당 세력과 연합한 것이 현 민주당, 당내 우파가 실비오 베를루스코니를 중심으로 뭉친 것이 현 전진 이탈리아이다.[2] 에밀리아로마냐, 토스카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