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한왕(기원전 19년 사망)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원삼국시대 이전
단군조선위만조선진국삼한연맹
단군역대 군주진왕천군
예맥
부여예맥족장최씨낙랑국비류국
역대 군주남려최리송양
고리국졸본부여비류백제온조백제
영품리추모비류온조
마한
초대제2대제3대제?대
준왕마한왕 2세마한왕 3세마한왕
진한
실직국감문국골벌국음즙벌국
안일왕금효왕아음부타추간
진한변한탐라
사로국금관국반파국탐라국
거서간김수로이진아시역대 군주


시호미상
성씨미상[1]
미상
선대 군주준왕(準王)
생몰년도? ~ 기원전 19년
재위년도? ~ 기원전 19년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원삼국시대 마한의 군주로 준왕 이후 확인되는 마한왕이다. 휘와 시호는 전해지지 않으며 누구에게 왕위를 세습받았는지도 전해지지 않는다.

마한왕 2세로 표기되어 있는데 이는 실제 2대 군주는 아니나, 실체가 파악된 순서로는 2번째 마한왕이기에 편의상 2세로 표기된 것이다.


2. 생애[편집]


진·변한(辰·卞韓)은 우리의 속국인데 근년에 공물을 보내지 않으니 큰 나라를 섬기는 예의가 어찌 이와 같은가?

辰·卞二韓, 爲我屬囯, 比年不輸職貢, 事大之禮, 其若是乎.


기원전 20년(혁거세 38년), 박혁거세가 호공을 마한에 사신으로 보냈는데 마한왕은 호공을 꾸짖으며 공물을 받치지 않은 것을 책망하지만 호공은 성인이 일어나신 후 낙랑, 변한, 왜국 모두가 신라를 두려워하는데도, 마한왕에게 자신을 보내 안부를 물었으니 예가 지나치다고 응수했다. 이에 분개한 마한왕은 호공을 죽이려했지만 신하들이 말려서 호공을 살려보내게 된다.

이후 1년 뒤, 마한왕은 사망하는데 신라에서 어떤 이가 마한을 정벌할 기회라고 박혁거세에게 아뢰지만, 박혁거세는 "남의 재앙을 다행으로 삼는 것은 어질지 않은 짓이다."라고 하며 설득에 따르지 않고 대신 조문 사절을 보냈다고 한다.

일단 연대만 보면 사로국 같은 경우 진한 일대의 소국간 우열을 확고히 하여 간접 지배로 편제한 게 고고학적으로는 4세기로 풀이되지만, 그전부터도 사로국이 적어도 목지국처럼 명목상으로나마 진한 전체의 맹주였을 개연성은 매우 높다. 굳이 문제가 있다면 고고학적으로 볼 때, 박혁거세가 실존했을 개연성이 높은 시간대가 적어도 기원전 1세기는 아니라는 것이다.

한편 천안 청당동에 소재했던 마한 그리고 더 나아가 삼한 전체의 명목상 맹주국인 목지국이 처음으로 천안 일대에 자리잡은 건 기원후 1세기 후반~2세기 초반으로 나오는데[2], 박씨 족단으로 추정되는 낙랑인 집단이 기존 서라벌에 있는 세력들[3]을 아우른 2세기 초중반보다는 아주 약간 빠르긴 하다. 이 당시 마한왕은 건마국 혹은 목지국의 우두머리일 가능성이 높은데, 어느 쪽으로 봐도 말이 되기에 일단 현재로선 알 수가 없다.

[1] 삼국사기에 등장하는 마한왕이 준왕의 후예인지는 알려진 바가 없다.[2] 주로 낙랑에서 내려온 조선계 집단인 것으로 파악된다.[3] 기존 선주민인 이들은 고조선이 연나라한테 한참 밀릴 때 내려온 집단, 위만조선이 성립할 때 위만에게 반대하여 내려온 집단, 위만조선이 서한에게 망할 때 내려온 집단 등, 전원 조선계긴 하지만 내려온 시기에 각기 차이가 있어서 문화나 정체성이 완전히 같을 순 없었던 걸로 보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마한왕 문서의 r5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마한왕 문서의 r5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9 08:28:21에 나무위키 마한왕(기원전 19년 사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