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즈 아이데미르

덤프버전 :


나즈 아이데미르의 역임 직책과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444><rowbgcolor=#00012D><rowcolor=#FFF><width=14.2%> 득점상 ||<width=14.2%> 공격상 ||<width=14.2%> 리시브상 ||<width=14.2%> 서브상 ||<width=14.2%> 블로킹상 ||<width=14.2%> 세터상 ||<width=14.2%> 리베로상 ||
||<-7><bgcolor=#00012D> 2005-2006 ||
|| 네슬리한 || 프란시아 || 그륀 || 융크비스트 || 포펑 || || 사노 유코 ||
||<-7><bgcolor=#00012D> 2006-2007 ||
|| 드 카르네
(취리히) || 피치니니
(베르가모) || 로스너
(테네리페) || 가모바
(모스크바) || 벨리코바
(모스크바) || 로 비앙코
(베르가모) || 로페즈
(테네리페) ||
||<-7><bgcolor=#00012D> 2007-2008 ||
|| 스코브론스카
(노바라) || 프란시아
(페루자) || 오스모크로비치
(노바라) || 프로니체바
(오딘초보) || 페르난데즈
(무르시아) || 소자
(무르시아) || 카둘로
(노바라) ||
||<-7><bgcolor=#00012D> 2008-2009 ||
|| 가모바
(모스크바) || 지올리
(모스크바) || 윌러프비
(페루자) || 크리산티
(페루자) || 투쉬케비치
(페루자) || 키릴로바
(모스크바) || 메를로
(베르가모) ||
||<-7><bgcolor=#00012D> 2009-2010 ||
|| 가모바
(페네르바흐체) || 센토니
(칸) || 델 코레
(베르가모) || 오스모크로비치
(페네르바흐체) || 라바
(칸) || 로 비앙코
(베르가모) || 메를로
(베르가모) ||
||<-7><bgcolor=#00012D> 2010-2011 ||
|| 니콜리치
(바키프방크) || 플리에르
(페자로) || 손스르마
(바키프방크) || 맘마도바
(라비타 바쿠) || 폴약
(바키프방크) || 크르다르
(바키프방크) || 귀레셴
(바키프방크) ||
||<-7><bgcolor=#00012D> 2011-2012 ||
|| 김연경
(페네르바흐체) || 김연경
(페네르바흐체) || 라슨
(카잔) || 윌슨
(코르테제) || 보로다코바
(카잔) || 아이데미르
(페네르바흐체) || 카둘로
(칸) ||
||<-7><bgcolor=#00012D> 2012-2013 ||
|| 몬타뇨
(라비타 바쿠) || 칼데론
(갈라타사라이) || 사노
(갈라타사라이) || 브링커
(부스토) || 크르스마노비치
(라비타 바쿠) || 아이데미르
(바키프방크) || 귀레셴
(바키프방크) ||
||<-7><bgcolor=#00012D> 2013-2014 ||
|| 가모바
(카잔) || 데미르
(엑자시바시) || 코스타그란데
(바키프방크) || 델 코레
(카잔) || 라슨
(카잔) || 톰콤
(라비타 바쿠) || 카스티요
(라비타 바쿠) ||
||<-7><bgcolor=#00012D> 역대 우승 구단 · MVP · 기록상 · 베스트7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rowbgcolor=#00012D><width=13.5%> OPP ||<-2><width=27%> OS ||<-2><width=27%> MB ||<width=13.5%> S ||<width=13.5%> L ||
||<-7><bgcolor=#00012D> 2014-2015 슈체친 ||
|| 디우프
부스토 ||<width=13.5%> 데 라 크루스
엑자시바시 || 하벨코바
부스토 ||<width=13.5%> 라시치
바키프방크 || 폴약
엑자시바시 || 오그네노비치
헤믹 폴리체 || 카얄라르
엑자시바시 ||
||<-7><bgcolor=#00012D> 2015-2016 몬티치아리 ||
|| 코주흐
포미 카살마조레 || 김연경
페네르바흐체 ||
바키프방크 || 에르뎀
페네르바흐체 || 스테바노비치
카살마조레 || 로이드
카살마조레 || 외르게
바키프방크 ||
||<-7><bgcolor=#00012D> 2016-2017 트레비소 ||
|| 슬뢰체스
바키프방크 || 로빈슨
코넬리아노 ||
바키프방크 || 라시치
바키프방크 || 아담스
엑자시바시 || 아이데미르
바키프방크 || 데 젠나로
코넬리아노 ||
||<-7><bgcolor=#00012D> 2017-2018 부쿠레슈티 ||
|| 클래거
알바 블라지 || 주팅
바키프방크 ||
코넬리아노 || 라시치
바키프방크 || 온예제크웨
알바 블라지 || 보워시
코넬리아노 || 외르게
바키프방크 ||
||<-7><bgcolor=#00012D> 역대 우승 구단 · MVP · 기록상 · 베스트7 ||


파일:Sultanlar_Ligi_logo.png
터키 리그 역대 기록상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rowbgcolor=#e60881> 시즌 ||<width=13.4%> 득점 ||<width=13.4%> 공격 ||<width=13.4%> 서브 ||<width=13.4%> 블로킹 ||<width=13.4%> 세터 ||<width=13.4%> 리시브 ||<width=13.4%> 리베로 ||
||<bgcolor=#253b84> 09/10 || 가모바
페네르바흐체 || 가모바
페네르바흐체 || 손시르마
바키프방크 || 라스나
페네르바흐체 || 아이데미르
바키프방크 || 손시르마
바키프방크 || 귀넬리길
페네르바흐체 ||
||<bgcolor=#253b84> 10/11 || 글린카
바키프방크 || 에르뎀
페네르바흐체 || 크르다르
바키프방크 || 폴약
바키프방크 || 아이데미르
페네르바흐체 || 귀레셴
바키프방크 || 귀레셴
바키프방크 ||
||<bgcolor=#253b84> 11/12 || 글린카
바키프방크 || 글린카
바키프방크 || 글린카
바키프방크 || 킬리치
엑자시바시 || 아으자
엑자시바시 || 귀뮈쉬
엑자시바시 || 카얄라르
엑자시바시 ||
||<bgcolor=#253b84> 12/13 || 브라코체비치
바키프방크 || 손시르마
바키프방크 || 카라코윤
엑자시바시 || 톡소이
바키프방크 || 아이데미르
바키프방크 || 손시르마
바키프방크 || 카얄라르
엑자시바시 ||
||<bgcolor=#253b84> 13/14 || 김연경
페네르바흐체 || 김연경
페네르바흐체 || 톡소이
바키프방크 || 에르뎀
페네르바흐체 || 아이데미르
바키프방크 || 손시르마
바키프방크 || 달베레르
페네르바흐체 ||
||<bgcolor=#253b84> 14/15 || 김연경
페네르바흐체 || 김연경
페네르바흐체 || 메이너스
갈라타사라이 || 아크만
바키프방크 || 아이데미르
바키프방크 || 손시르마
바키프방크 || 외르게
바키프방크 ||
||<-8> ※ 기록상은 14/15시즌을 마지막으로 폐지되어 포지션별 수상(베스트7)으로 흡수되었다. ||
||<-8><bgcolor=#e60881> MVP · 기록상 · 베스트7 ||


파일:Sultanlar_Ligi_logo.png
터키 리그 역대 베스트팀
[ 펼치기 · 접기 ]
#000,#fff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rowbgcolor=#e60881><width=13.4%> {{{#fff {{{-3 '''OPP'''}}}}}} ||<-2><width=26.8%> {{{#fff {{{-3 '''OS'''}}}}}} ||<-2><width=26.8%> {{{#fff {{{-3 '''MB'''}}}}}} ||<width=13.4%> {{{#fff {{{-3 '''S'''}}}}}} ||<width=13.4%> {{{#fff {{{-3 '''L'''}}}}}} || ||<-7><bgcolor=#253b84> {{{#fff {{{-2 2015-2016}}}}}} || || [[로네크 슬뢰체스|{{{-1 슬뢰체스}}}]] [br] [[바키프방크 SK|{{{-4 바키프방크}}}]] ||<width=13.4%> [[김연경|{{{-1 김연경}}}]] [br] [[페네르바흐체(여자 배구)|{{{-4 페네르바흐체}}}]] || [[조던 라슨|{{{-1 라슨}}}]] [br] [[엑자시바시 비트라|{{{-4 엑자시바시}}}]] || {{{-1 [[에다 에르뎀|에르뎀]]}}} [br] [[페네르바흐체(여자 배구)|{{{-4 페네르바흐체}}}]] ||<width=13.4%> {{{-1 [[밀레나 라시치|라시치]]}}} [br] {{{-4 [[바키프방크 SK|바키프방크]]}}} || [[나즈 아이데미르|{{{-1 아이데미르}}}]] [br] [[바키프방크 SK|{{{-4 바키프방크}}}]] || {{{-1 외르게}}} [br] [[바키프방크 SK|{{{-4 바키프방크}}}]] || ||<-7><bgcolor=#253b84> {{{#fff {{{-2 2016-2017}}}}}} || || {{{-1 [[티아나 보스코비치|보스코비치]]}}} [br] [[바키프방크 SK|{{{-4 바키프방크}}}]] || [[주팅|{{{-1 주팅}}}]] [br] [[바키프방크 SK|{{{-4 바키프방크}}}]] || {{{-1 예르코프}}} [br] {{{-4 차낙칼레}}} || {{{-1 [[에다 에르뎀|에르뎀]]}}} [br] [[페네르바흐체(여자 배구)|{{{-4 페네르바흐체}}}]] || {{{-1 [[밀레나 라시치|라시치]]}}} [br] {{{-4 [[바키프방크 SK|바키프방크]]}}} || [[나즈 아이데미르|{{{-1 아이데미르}}}]] [br] [[바키프방크 SK|{{{-4 바키프방크}}}]] || {{{-1 귀넬리길}}} [br] [[갈라타사라이(여자 배구)|{{{-4 갈라타사라이}}}]] || ||<-7><bgcolor=#253b84> {{{#fff {{{-2 2017-2018}}}}}} || || {{{-1 [[티아나 보스코비치|보스코비치]]}}} [br] [[바키프방크 SK|{{{-4 바키프방크}}}]] || {{{-1 부이스}}} [br] {{{-4 뉠리페르}}} || {{{-1 쿨랜}}} [br] {{{-4 베이릭뒤쥐}}} || {{{-1 귀벨리}}} [br] [[엑자시바시 비트라|{{{-4 엑자시바시}}}]] || {{{-1 다 실바}}} [br] {{{-4 뉠리페르}}} || [[에즈기 딜릭|{{{-1 딜릭}}}]] [br] [[엑자시바시 비트라|{{{-4 엑자시바시}}}]] || {{{-1 에렌}}} [br] {{{-4 베식타슈}}} || ||<-7><bgcolor=#253b84> {{{#fff {{{-2 2018-2019}}}}}} || || [[멜리사 바르가스|{{{-1 바르가스}}}]] [br] [[페네르바흐체(여자 배구)|{{{-4 페네르바흐체}}}]] || [[주팅|{{{-1 주팅}}}]] [br] [[바키프방크 SK|{{{-4 바키프방크}}}]] || {{{-1 브리시오}}} [br] [[페네르바흐체(여자 배구)|{{{-4 페네르바흐체}}}]] || {{{-1 [[에다 에르뎀|에르뎀]]}}} [br] [[페네르바흐체(여자 배구)|{{{-4 페네르바흐체}}}]] || {{{-1 칼라취}}} [br] [[갈라타사라이(여자 배구)|{{{-4 갈라타사라이}}}]] || {{{-1 코쵸을루}}} [br] {{{-4 할크방크}}} || {{{-1 아쿄즈}}} [br] [[엑자시바시 비트라|{{{-4 엑자시바시}}}]] || ||<-7><bgcolor=#253b84> {{{#fff {{{-2 2020-2021}}}}}} || || [[멜리사 바르가스|{{{-1 바르가스}}}]] [br] [[페네르바흐체(여자 배구)|{{{-4 페네르바흐체}}}]] ||<-2> [[미셸 바취-해클리|{{{-1 바치-해클리}}}]] [br] [[바키프방크 SK|{{{-4 바키프방크}}}]] ||<-2> {{{-1 [[에다 에르뎀|에르뎀]]}}} [br] [[페네르바흐체(여자 배구)|{{{-4 페네르바흐체}}}]] || {{{-1 [[마야 오그네노비치|오그네노비치]]}}} [br] [[바키프방크 SK|{{{-4 바키프방크}}}]] || {{{-1 아이카취}}} [br] [[바키프방크 SK|{{{-4 바키프방크}}}]] || ||<-7><bgcolor=#253b84> {{{#fff {{{-2 2021-2022}}}}}} || || [[이사벨 하크|{{{-1 하크}}}]] [br] [[바키프방크 SK|{{{-4 바키프방크}}}]] ||<-2> [[가브리엘라 기마랑이스|{{{-1 가비}}}]] [br] [[바키프방크 SK|{{{-4 바키프방크}}}]] ||<-2> {{{-1 [[에다 에르뎀|에르뎀]]}}} [br] [[페네르바흐체(여자 배구)|{{{-4 페네르바흐체}}}]] || {{{-1 [[잔수 외즈바이|외즈바이]]}}} [br] [[바키프방크 SK|{{{-4 바키프방크}}}]] || {{{-1 외르게}}} [br] [[페네르바흐체(여자 배구)|{{{-4 페네르바흐체}}}]] || ||<-7><bgcolor=#e60881> {{{-2 [[틀:터키 여자 배구 리그 MVP|{{{#fff MVP}}}]] {{{#fff ·}}} [[틀:터키 여자 배구 리그 기록상|{{{#fff 기록상}}}]] {{{#fff ·}}} [[틀:터키 여자 배구 리그 베스트팀|{{{#fff 베스트팀}}}]]}}} ||


}}}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rowbgcolor=#EC184A><rowcolor=#FFF> 2014 ||<width=25%> 2015 ||<width=25%> 2017 ||<width=25%> 2018 ||
|| 괴즈데 손스르마
바키프방크 / OPP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김연경
페네르바흐체 / OS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나즈 아이데미르
바키프방크 / S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조던 라슨
엑자시바시 / OS
파일:미국 국기.svg ||
||<rowbgcolor=#EC184A><rowcolor=#FFF> 2019 ||<width=25%> 2020 ||<width=25%> 2021 ||<width=25%> 2022 ||
|| 티아나 보스코비치
엑자시바시 / OPP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 티아나 보스코비치
엑자시바시 / OPP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 잔수 외즈바이
바키프방크 / S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



파일:나즈.jpg
페네르바체 No. 11
나즈 아이데미르 아키욜
(Naz Aydemir Akyol)
생년월일1990년 8월 14일 (33세)
튀르키예 이스탄불
국적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포지션세터
신체 조건신장 186cm, 체중 65kg
점프 높이스파이크 높이 303cm, 블로킹 높이 300cm
국가대표튀르키예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2008~)
소속팀엑자시바시 비트라 (튀르키예, 2004~2009)
페네르바흐체 (튀르키예, 2009~2012)
바키프방크 SK (튀르키예, 2012~2018)
페네르바흐체 (튀르키예, 2019~)
SN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2. 선수 경력
2.1. 엑자시바시 비트라
2.2. 페네르바흐체 1기
2.3. 바키프방크 SK
2.4. 페네르바흐체 2기
3. 국가대표 경력
4. 개인 수상
5. 여담



1. 개요[편집]


파일:나즈 아이데미르.jpg
튀르키예의 여자 배구선수이다. 포지션은 세터.

186cm으로 세터 포지션에선 상당한 신장을 자랑하는 선수다. 또한 용병 제한이 있는 튀르키예 리그에서 자국세터로 귀중한 선수 자원이다. 김연경이 페네르바체에서 활동했을 때 팀메이트로 뛴 적이 있어 국내 팬에게도 알려진 선수.

튀르키예 국가대표 주전 세터로 오랫동안 뛰었고 출산 후 공백기 이후에는 백업으로 뛰고 있다. 수년간 터키리그 세터상을 도맡아 수상했고 2020 도쿄 올림픽까지도 출전할 정도로 꾸준한 실력과 더불어 미모를 겸비한 튀르키예의 배구스타이다.


2. 선수 경력[편집]



2.1. 엑자시바시 비트라[편집]


2003년 튀르키예 유소년 리그 베스트 세터상을 수상하고 2004년 만 13세에 엑자시바시 비트라 소속 선수로 등록되었다. 2009년까지 엑자 소속으로 유소년 리그를 휩쓸었다.


2.2. 페네르바흐체 1기[편집]


2009년 페네르바체로 이적해 2011-12시즌에는 김연경과 함께 리그 우승을 경험하였다.[1] 하지만 페네르바흐체의 재정난이 심해지자 바키프방크로 바로 이적했고, 이때부터 페네르바흐체의 세터난이 시작된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11-12 시즌 유럽 챔피언스리그 CEV 우승을 차지했다. 이때 챔피언스리그 세터상을 수상했고 김연경이 대회 MVP와 득점왕을 동시석권해서 트로피를 들고 함께 기념촬영도 했다.

파일:c111.jpg


2.3. 바키프방크 SK[편집]




2.4. 페네르바흐체 2기[편집]




3. 국가대표 경력[편집]


  • 올림픽 본선 : 2012 (9위), 2021 (8강)
  • 올림픽 유럽예선전 : 2008 (7위), 2012 (1위), 2016 (4위), 2021 (1위)
  • FIVB 세계선수권 : 2010 (6위), 2014 (9위)
  • FIVB 월드그랑프리 : 2008 (7위), 2012 (3위), 2013 (8위), 2014 (4위), 2016 (10위)
  • FIVB 네이션스리그 : 2021 (3위)
  • 몽트뢰볼리마스터스 : 2015 (1위), 2016 (3위)
  • 유럽선수권 : 2009 (5위), 2013 (7위), 2015 (4위), 2017 (3위), 2019 (2위)

2007 여자배구 유소년 월드컵에서 튀르키예 대표팀 소속으로 은메달을 따고 2008년 성인 대표팀에 콜업되었다.

2010년부터 주전세터를 맡았으나, 2017년 이후 출산을 이유로 잠시 쉬며 대표팀 주전세터 자리도 잔수로에게 넘겨주었다. 2021년에 들어 다시 구이데띠가 대표팀으로 불러 백업으로 뛰고 있다.

2020 도쿄 올림픽에 다시 출전해서 과거 팀메이트 김연경을 상대로 한국과 8강전을 가졌다. 한국에게 5세트 접전끝에 패배하면서 눈물을 삼켜야 했다. 8강전 시점에 자국 튀르키예가 유례없는 산불로 재앙을 겪는 와중에, 배구로 보답하겠다고 밝힌터라 선수들 모두가 패배 후에도 경기장에 주저앉아 울음을 터뜨리고 말았다.


4. 개인 수상[편집]


  • 터키리그 세터상/베스트 세터 (6): 2009-10, 2010-11, 2012-13, 2014-15, 2015-16, 2016-17
  • CEV 챔피언스리그 세터상/베스트 세터 (3): 2011-12, 2012-13, 2016-17

  • 2008 U20 유럽선수권 MVP
  • 2015 몽트뢰볼리마스터스 베스트 세터
  • 2017 튀르키예 슈퍼컵 MVP


5. 여담[편집]


  • 헐리웃 여배우 뺨치는 아름다운 외모로도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구글에 그녀의 이름을 검색해보면 미녀 스포츠스타 모음이 링크되는 경우가 많다. 국내 여러 사이트에서도 여신 배구선수로 많은 포스팅이 올라와 있다.
파일:1327401791_3-vert.jpg
  • 김연경과 페네르바체에서 뛴 후 바키프방크 시절엔 일본 에이스 기무라 사오리와도 뛴 적이 있다.
  • 독일 국가대표 축구 선수 일카이 귄도안과 사촌 관계이다. 귄도안은 터키계 독일인 선수이다.
  • 2013년 1987년생 튀르키예 국가대표 농구선수 젠크 아키욜과 결혼해 아이를 출산하고 다시 선수생활을 이어가고 있다.
  • 김연경의 튀르키예 리그 성공기를 취재한 국내 방송사에서 인터뷰도 했다. 김연경과 페네르바체에서의 영광을 함께하고 바키프방크 이적직후인 12년 12월에 촬영된 것으로 보인다. 김연경의 클래스를 그대로 인정하고 있는 듯.
파일:d222.jpg
  • 배구팬들 사이에서 알 사람은 다 아는 한 성격하는 선수이다. 언니들의 슬램덩크라는 프로그램에서 김연경 선수가 처음 터키로 갔을 때 동료로부터 텃세를 받았다면서 세터가 공을 잘 주지 않았거나 일부러 치기 어려운 공들을 주었다고 했는데 이때의 세터가 나즈였다. [2]
  • 김연경과 나즈가 같이 페네에서 한 시즌을 보낸 후 나즈는 바키프방크로 이적했다. 이때 기무라 사오리 선수도 바키프방크로 이적해 왔었는데 팀에 적응하지 못해 힘들어 하는 모습을 보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8 04:24:36에 나무위키 나즈 아이데미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때 페네르바흐체로 무단 이적하는 바람에 튀르키예 협회의 경고와 몇경기 출장정지를 당했다.[2] 하지만 후에 김연경을 최고의 공격수로 인정해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