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광(군인)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해군 출신}}}
해병대 출신}}}

파일:major general_white.png
초대}}}
조성태
제2대}}}
최기홍
제3대}}}
한승의
제4대}}}
김인종
제5대}}}
이강언
제6대}}}
이상희
제7대}}}
차영구
제8대}}}
김선규
제9대}}}
김태영
제10대}}}
김국헌
제11대}}}
방효복
제12대}}}
한민구
제13대}}}
정승조
제14대}}}
이홍기
제15대}}}
권오성
제16대}}}
류제승
제17대}}}
신원식
제18대}}}
연제욱
제19대}}}
장혁
제20대}}}
장경석
제21대}}}
장경수
제22대}}}
박인호
제23대}}}
윤현주
제24대}}}
이진형
제25대}}}
이두희
제26대}}}
김봉수
제27대}}}
김성민
제28대}}}
김수광
제29대}}}
윤봉희
직책 변천 : 국방정책실 소속(제1-5대) ▸ 정책기획국장(제5-9대) ▸
정책실 소속(제10-11대) ▸ 정책홍보실 소속(제12대) ▸
정책홍보본부 소속(제12-14대) ▸ 국방정책실 소속(제15대~현재)
계급 : 현역 소장 / 고위공무원단 나급 일반직공무원(제23대)
※ 관련 직위 둘러보기



국방부 방위정책관
김수광
Kim Sookwang
복무대한민국 육군
1993년 ~ 현재
학력대기고등학교 (졸업 / 3회)
미국 해군대학원 (군사전략 /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제정치학 / 박사[1])
임관육군사관학교 (49기)
현재 계급소장 (대한민국 육군)
현재 보직국방부 방위정책관
주요 보직국방부 정책기획관
합동참모본부 전략기획부장
합동참모본부 전략기획차장
합동참모본부 군사전략과장
국가안보실 국방개혁비서관실 행정관
제27보병사단 제78보병연대
제7보병사단 제3보병연대 1대대장

1. 개요
2. 생애
3. 주요 보직
4. 여담



1. 개요[편집]


대한민국 육군군인. 현재 계급은 소장이다.


2. 생애[편집]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신풍리 출신으로 풍천초·표선중과 대기고등학교(3기)[2]를 졸업했다. 1989년 육군사관학교에 49기로 입교하여 1993년 졸업과 함께 육군 소위로 임관했다. 병과는 보병. 서울대 외교학과 대학원에서 국제정치학 박사를 받은 군사전략 전문가다.


3. 주요 보직[편집]


  • 중령 2010년 진급
    • 육군대학 정규과정 수료 (합동참모의장상, 2010)[3]
    • 제7보병사단 제3보병연대 1대대장 (2010)
  • 대령 2016년 진급
    • 제27보병사단 제78보병연대(2016)
    • 국가안보실 국방개혁비서관실 국방개혁담당 행정관[4]
    • 합동참모본부 전략기획본부 전략기획부 군사전략과장[5][6]
  • 준장 2020년 12월 2차 진급
    • 합동참모본부 전략기획본부 전략기획부 차장 (2020.12 ~ 2022.06)[7]
  • 소장 2022년 6월 2차 진급
    • 합동참모본부 전략기획본부 전략기획부장[8] (2022.06 ~ 2023.04)[9]
    • 국방부 국방정책실 정책기획관 (2023.04 ~ 2023.11)[10]
    • 국방부 국방정책실 방위정책관 (2023.11 ~ 현재)[11]


4. 여담[편집]


  • 동기로는 김흥준, 문병삼, 어창준, 이승오, 서진하, 류승민, 최성진, 박춘식, 강관범, 김진익, 박재열, 오병석, 오혁재 (이상 소장), 석용규, 조용근, 박정환, 김병기, 양윤석 (이상 준장) 등이 있다.
  • 동기 김흥준 소장과는 같은 제주특별자치도 출신이다. 다만, 출신 고등학교는 다른데 김흥준 소장은 남녕고등학교 출신이다.
  • 육사 한 기수 위인 김성민 중장[12], 한 기수 아래인 최병옥 소장과 비슷하게 정책/전략통으로서 소장 진급 후에도 사단장 보직 경험 없이 요직을 도맡고 있다.
  • 준장 시절, 합참 근무중 국방부 원광사 금강회장[13]을 맡았다. *. 종교는 불교로 추정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30 18:43:04에 나무위키 김수광(군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박사 학위 논문: 닉슨-포드 행정부의 대 한반도 안보정책 연구 : 한국방위의 한국화 정책과 한미연합방위체제의 변화 (2008. 02.)[2] 육사 3기수 아래 양진혁 준장이 3년 후배[3] 육군대학 정규과정은 소령 진급 후 입교하나 김수광 장군은 정규과정 교육 도중 중령(진)이 되었다. 상당히 늦게 입교하였다. 석박사 위탁교육 때문일 것으로 추정된다.[4] 당시 비서관은 김현종 예) 중장.[5] 전략분야 대령에게는 국방부 미국정책과장, 청와대 안보정책담당 행정관과 함께 최고 요직으로 꼽히는 자리이며, 김관진, 이상희, 류제승, 박찬주, 위승호, 임종득, 정해일, 박진희 등 이 분야에서 잔뼈가 굵은 인물들이 역임하였다.[6] 후임자 박진희[7] 전임자 김성민, 후임자 곽태신[8] 본래 22년 12월까지는 합참 전략기획부장이 겸하던 핵•WMD대응센터의 장도 맡았는데, 이 조직이 대한민국 전략사령부 창설 준비를 위해 핵•WMD대응본부로 격상되며 별도로 박후성 육군 소장이 23년 1월부터 본부장을 맡게 되었다. [9] 전임자 김규하, 후임자 정진팔[10] 전임자 김성민, 후임 윤봉희[11] 전임자 최병옥[12] 석사 학위도 미국 해군대학원에서 취득하였다는 점에서 동일하다.[13] 국방부 영내 사찰의 신도회장인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