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버스 송정33 (r1판)

편집일시 :




파일:광주광역시 휘장.svg 첨단2지구 연계 노선
[ 펼치기 · 접기 ]
간선일곡10첨단22첨단23[a]첨단30[a]
지선송정33첨단193[a]
마을700북구788[a]북구799
[a] 임방울대로 소재 복룡입구 정류장만 경유.



파일:20160120_132851-1.jpg파일:송정33.jpg
현재 이 차량은 일곡10번으로 넘어갔다.2017년 2월 개편 직전. 위 차량 역시 송정29번으로 넘어갔다.
삼원(예전 사명 천일), 대진, 현대가 공배하던 간선버스 시절.
파일:Photo_Blur_Jan102018_114812.jpg
현재 모습.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기타 사건사고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파일:Seal_of_gwangju_little.png 광주광역시 지선버스 송정33번
기점광주광역시 광산구 도산동(도산동)종점광주광역시 북구 매곡동(비엔날레주차장)
종점행첫차06:00기점행첫차06:00
막차22:00막차22:00
평일배차15~25분주말배차25~35분
운수사명대창운수(본사 소속)인가대수평일 12대 / 주말 9대
노선도산동 - 광주송정역 - 아리랑고개 - 상수도광산사업소 - 우산시영2단지 - 광주여자대학교 - 하남홈플러스 - 수완모아엘가 - 응암공원 - 첨단초교후문 - 광주과학기술원 - 첨단병원입구 - 첨단롯데마트 - 신용초등학교 - 빛고을고입구 - 첨단과학산업단지 - 연제현대아파트 - 광주박물관 - 비엔날레주차장


2. 개요[편집]


대창운수에서 운행 중인 지선버스 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호남고속선이 완공되면서 하남2지구ㆍ수완지구ㆍ첨단지구에서 광주송정역으로의 접근성 향상을 위해 2015년 6월 8일에 신설되었다.[1] 기존 수완11번, 송정29번, 첨단40번이 이미 다니고 있었지만, 광주송정역 경유로 바꾸기엔 다소 무리가 있어 노선을 아예 새로 만들었다. 원래는 소촌산단을 경유할 계획이었으나 최종 아리랑고개 경유로 신설되었다. 당시에는 10개 회사가 공동 배차로 운행했으나, 차량 출고 지연으로 인해 6대만 운행하였다.

  • 2015년 7월 이후에는 12대로 증차하여 12~16분 간격으로 운행했다.

  • 차량 재분배를 거쳐 현대교통, 천일버스(현 삼원운수), 대진운수만 운행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배차도 썩 좋지 않게 되었다.

  • 2017년 2월 25일 개편 때 지선노선으로 전환되었으며, 대창운수가 단독으로 운행하게 되고 노선이 변경 및 연장되었다. '도산동 - 과기원'은 송정주공 경유를 제외하면 간선으로 다니던 기존 송정33번과 동일하나, 첨단공영차고지로 가지 않고 '첨단병원 - 롯데마트 - 첨단2지구 - 첨단과학산업단지 - 연제동 - 본촌산단 - 광주박물관'을 거쳐 비엔날레주차장에서 잠깐 휴식한 후 도산동으로 돌아간다. 관련 공지사항 관련 기사 지선으로 전환되면서 현재는 간선이 된 일곡10번에서 9대를 빼 왔고, 첨단92번 2대 감차분과 송암68번 감차분 3대 중 1대가 송정33번으로 옮겨와 운행 중이다.

  • 2019년 7월 10일부터 8월 21일까지 수영선수권대회 선수촌 구간을 우회 운행한다. 도산동 방향은 소촌금호아파트 경유로 직선화 운행하며, 비엔날레 방향은 우산동중흥S클래스 대신 임시승강장에 정차한다.

4. 특징[편집]


  • 믿기 어렵지만 첨단지구/첨단2지구/연제동에서 광주송정역을 이어주는 유일한 노선이다.[2]수완지구 성덕교 주변에서 광주송정역으로 가는 시내버스는 이 노선이 유일하며 진곡196번은 농수산물유통센터에서 새한포유 방면으로 꺾는다. 평동701번도 있긴 하나 평일은 2시간 간격에, 주말은 아예 운행하지 않는다.[3]

  • 출퇴근 시간대에는 당연 가축수송이며, 이외 시간대에도 어느 정도 승객이 있는 편이다. 시간이 지난 후에는 광주송정역에서 하남홈플러스[4], 아리랑고개 지역의 인지도가 높아져서 이 쪽에서 수완지구까지 가는데 자주 이용한다.

  • 생긴지 얼마 안 된 노선임에도 불구하고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중 위협운전 및 보복운전 등의 민원이 가장 많은 노선이다. 킬포선진?특히 위협운전으로 불필요한 경적, 상향등 이용, 진로 방해로 다른 운전자들에게 피해를 주는 민원이 많은 불명예 노선이다[5].

  • 노선이 길어졌지만, 버스가 부족하다. 간선버스 시절보다 첨단2지구 구간이 연장되었으며, 배차간격을 맞추다 보니 단속 카메라가 없는 구간에는 과속운전 및 난폭운전 등이 많다. 하지만, 버스기사의 위협운전 및 보복운전 등의 민원이 많아 단순 배차간격을 맞추기 위해 과속을 한다기 보다 기사들의 운전습관이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 17년 개편 이전의 구간을 이어받은 도산동-응암공원 구간은 훌륭한 선형을 자랑하지만, 연장구간인 첨단1.2지구 굴곡이 특히 심하다. 쌍암공원-첨단병원입구 구간은 기존 정류장과 거리가 멀지 않음에도 첨단병원 앞 먹자골목으로 들어가면서 RH시간대에 몇십분을 잡아먹기가 일쑤이며, 첨단2지구 공단일대는 지금 첨단22번형태로 운행하면 될 것을, 불필요하게 ㄷ자형태로 돌아가기때문에 소요시간이 더욱 늘어나게되었다. 첨단2지구 주거지역의 도로형태 상, 어쩔 수 없이 택지지구를 반바퀴 돌아야하는 현상이 생긴다.[6] 연제동 구간은 세대 수에 비해 버스노선이 주거지역을 제대로 지나가지 않아 용전85번만 존재했던 터라, 동네 주민들은 꽤나 긍정적인 반응이다. 하지만 연제동의 대중교통이 아직 개선되지 않아서, 구도심으로 나가는 주민들의 불편은 여전하다고 한다.

4.1. 기타 사건사고[편집]


  • 2017년 12월 버스를 이용하려는 승객을 확인하지 않고 출입문을 닫아 손가락이 끼어 약 20m를 끌려가 뒷바퀴에 깔려 중상을 입힌 사고가 있었다. 관련 기사 이런 문제와 관련하여 2018년 1월, 안전센서가 설치된 17년식, 18년식을 투입하여 12대 전 차량이 그린시티 신차가 되었다.


5. 연계 철도역[편집]



[1] 접근성 향상이 이유인 탓인지 신설 직후의 노선 선형은 첨단지구 쪽을 제외하면 굴곡이 별로 없는 비교적 깔끔한 선형이었다.[2] 첨단2지구/연제동 쪽 한정으로 상무22번이 운행했으나, 2017년 개편으로 노선이 분리되어 첨단2지구/연제동을 대체하는 첨단22번과 나머지 북구 구간을 대체하는 첨단23번모두 광주송정역으로 가지 않는다.[3] 송정700번도 있으나, 이 노선은 광주송정역쪽이 아닌 송정시장쪽을 경유하며 비아 - 하남공단 - 수완지구 쪽으로 뺑뺑 돈다.[4] 특히 이쪽은 배차간격 4시간 임곡290번만 지나다녔다.[5] 특히 첨단과 수완지구 쪽 민원접수가 많은 편이다. 주로 무분별한 경적과 상향등 이용, 무리한 끼어들기, 보복운전 등의 위협운전 접수가 많다. 광주광역시에서 교통량이 많은 지역이라 더욱 민원접수가 많은 듯하다. 시청에서는 버스회사 측에 안전교육을 실시하라고 요구하였지만, 여전히 근절되지 않고 있다.[6] 첨단2지구를 경유하는 노선들의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