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산구청장

덤프버전 :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width=20%><rowbgcolor=#004EA2> ||<bgcolor=#004EA2><width=20%> ||<bgcolor=#004EA2><width=20%> ||<bgcolor=#004EA2><width=20%> ||<bgcolor=#004EA2><width=20%> 광산 ||
|| 임택 || 김이강 || 김병내 || 문인 || 박병규 ||
||<-5> 민선 1기 / 민선 2기 / 민선 3기 / 민선 4기 / 민선 5기 / 민선 6기 / 민선 7기 ||



파일:광산구 CI_White.svg
광주광역시 광산구청장
[ 펼치기 · 접기 ]
초대
장재필
제2대
오현섭
제3대
신두희
제4대
문영식
제5대
송병태
제6대
이연수
제7대
송광운
제8대
임우진
제9대
고재유
제10·11대}}}송병태
제12대
전갑길
제13·14대}}}민형배
제15대
김삼호
제16대
박병규
파일:민선 8기 광산구 구정 슬로건.png



파일:광산구 CI_White.svg
'''광주광역시 광산구청장
光州廣域市 光山區廳長

Mayor of Gwangsan-gu
'''

파일:광산구청_박병규.jpg}}}
현직박병규 / 제16대 (민선 8기)
취임일2022년 7월 1일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홈페이지파일:광산구 CI.svg
1. 개요
2. 상세
3. 역대 광산구청장
4. 역대 선거 결과
5. 역대 정당별 전적
6. 역대 구정 목표
7. 여담
8.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광주광역시 광산구청장광주광역시 광산구를 대표하고, 그 사무를 총괄하는 기초자치단체장이다. 근무지는 광주광역시 광산구 광산로29번길 15번지 (송정동)에 있는 광산구청이다. 2급 공무원 상당[1]의 대우를 받고, 4년에 1회마다 치러지는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주민들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며 3회까지 연임할 수 있다.

2. 상세[편집]



3. 역대 광산구청장[편집]


대수이름임기당적[2]비고
민선
9대고재유 (高在維)1995년 7월 1일 ~ 1998년 3월 6일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3][4]
권한대행-1998년 3월 7일 ~ 1998년 6월 30일-
10대송병태 (宋炳泰)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5]
11대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6]
12대전갑길 (全甲吉)2006년 7월 1일 ~ 2010년 2월 18일
[[민주당(2005년)|
파일:민주당(2005년) 흰색 로고타입.svg
]]
[7][8]
권한대행-2010년 2월 19일 ~ 2010년 6월 30일-
13대민형배 (閔馨培)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민주당(2008년)|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9]
14대2014년 7월 1일 ~ 2018년 3월 7일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10][11]
권한대행-2018년 3월 8일 ~ 2018년 6월 30일-
15대김삼호 (金三鎬)2018년 7월 1일 ~ 2022년 4월 14일[12]
권한대행이돈국 (李敦國)2022년 4월 15일 ~ 2022년 6월 30일부구청장
16대박병규 (朴炳奎)2022년 7월 1일 ~ 현재[13]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1 [[파일:광산구 CI_White.svg}}} 역대 민선 광주광역시 광산구청장
19951998200220062010
민주당
새정치국민회의
새천년민주당
민주당
민주당
고재유송병태전갑길민형배
201420182022
새정치민주연합
더불어민주당
민형배김삼호박병규
[ 펼치기 · 접기 ]
구분주요 후보 득표율
1995년1위: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고재유 91.68%

2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양해달 8.31%
1998년1위: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송병태 86.02%

2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김승재 13.97%
2002년1위: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송병태 100%
[주의]
2006년1위:
[[민주당(2005년)|
파일:민주당(2005년) 흰색 로고타입.svg
]]
전갑길 36.81%

2위:
[[무소속|
무소속
]]
송병태 27.99%
3위: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이상갑 20.13%
4위: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이승남 11.85%
2010년1위:
[[민주당(2008년)|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민형배 55.04%

2위:
[[국민참여당|
파일:국민참여당 로고타입.svg
]]
송병태 29.00%
2014년1위: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민형배 83.36%

2위:
[[통합진보당|
파일:통합진보당 흰색 로고타입.svg
]]
박오열 16.63%
2018년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삼호 75.82%

2위:
[[민주평화당|
파일:민주평화당 흰색 로고타입.svg
]]
이정현 15.55%
2022년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박병규 무투표 당선
[주의] 지금과는 공직선거법이 달랐기 때문에 기초자치단체장은 단독 출마라도 무투표 당선 될 수 없었다. 당시 공직선거법 제191조 2항에 따르면 단독 출마일 경우 득표수가 투표자 총수의 3분의 1이상에 달하여야 당선인으로 결정되었다. 이는 2010년 1월 25일 삭제되었다.

4.1. 1995년[편집]


{+1 [[파일:광산구 CI_White.svg}}} 광산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양해달(梁解達)5,9852위
8.31%낙선
2고재유(高在維)66,0151위
91.68%당선
선거인 수109,470투표율
67.45%
투표 수73,835
무효표 수1,835

지역(이장동) 출신의 민주당 고재유 후보가 광산구청장에 당선되었다. 광산구청장 재임 후에 곧바로 광주광역시장이 되었다. 지금까지 유일한 민선 광산구청장 출신 광주광역시장이다.

4.2. 1998년[편집]


{+1 [[파일:광산구 CI_White.svg}}} 광산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송병태(宋炳泰)63,8111위
86.02%당선
3김승재(金承在)10,3622위
13.97%낙선
선거인 수152,091투표율
49.77%
투표 수75,699
무효표 수1,526

4.3. 2002년[편집]


{+1 [[파일:광산구 CI_White.svg}}} 광산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송병태(宋炳泰)68,0031위[주의]
100%당선
선거인 수175,804투표율
42.91%
투표 수75,449
무효표 수7,446

지역(본량동) 출신이며 관선 광산구청장을 지낸 송병태 전 광산구청장이 재선에 성공했다.

4.4. 2006년[편집]


{+1 [[파일:광산구 CI_White.svg}}} 광산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상갑(李相鉀)19,3923위
20.13%낙선
3전갑길(全甲吉)35,4601위
36.81%당선
4이승남(李承南)11,4174위
11.85%낙선
6김익주(金益主)3,0795위
3.19%낙선
7송병태(宋炳泰)26,9632위
27.99%낙선
선거인 수208,000투표율
46.88%
투표 수97,521
무효표 수1,210

지역(하남동) 출신이며 광산구 국회의원을 지낸 민주당 전갑길 후보가 무소속 송병태 후보를 제치고 광산구청장에 당선되었다.

4.5. 2010년[편집]


{+1 [[파일:광산구 CI_White.svg}}} 광산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창원(朴昌源)5,5484위
4.80%낙선
2민형배(閔馨培)63,5431위
55.04%당선
5신중철(信中哲)12,8613위
11.14%낙선
7송병태(宋炳泰)33,4842위
29.00%낙선
선거인 수242,692투표율
48.23%
투표 수117,056
무효표 수1,620

4.6. 2014년[편집]


{+1 [[파일:광산구 CI_White.svg}}} 광산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민형배(閔馨培)121,4371위
83.36%당선
3박오열(朴吳悅)25,4262위
16.63%낙선
선거인 수285,875투표율
54.62%
투표 수156,159
무효표 수3,296

민선 최초 타 지역(해남군) 출신의 민형배 전 광산구청장이 재선에 성공했다.

4.7. 2018년[편집]


{+1 [[파일:광산구 CI_White.svg}}} 광산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삼호(金三鎬)132,4111위
75.82%당선
4이정현(李貞鉉)27,1712위
15.55%낙선
6장성수(長成數)15,0443위
8.61%낙선
선거인 수307,011투표율
57.98%
투표 수178,024
무효표 수3,398

민형배 전 광산구청장은 광주광역시장에 도전했다 중도 사퇴하고 2년 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광산구 을에 출마해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민형배 전 광산구청장 시절에 광산구시설관리공단 초대 이사장을 지낸 곡성군 출신의 더불어민주당 김삼호 후보가 광산구청장에 당선되었다.

2022년 4월 14일, 김삼호 전 광산구청장이 공직선거법 위반 대법원 확정 판결[14]로 광산구청장직을 상실했다.

4.8. 2022년[편집]


{+1 [[파일:광산구 CI_White.svg}}} 광산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병규(朴炳奎)무투표
당선
1위
당선

민선 이래 광주광역시 기초자치단체장으로서는 최초로 더불어민주당 박병규 후보가 무투표 당선되었다.

5. 역대 정당별 전적[편집]


민주당계 정당보수 정당제3후보[15]
1회고재유양해달-
당선 91.68%낙선 8.31%
2회송병태-김승재[16]
당선 86.02%낙선 13.97%
3회송병태--
당선 100%
4회이상갑-전갑길[17]
낙선 20.13%당선 36.81%
5회민형배박창원송병태[18]
당선 55.04%낙선 4.80%낙선 29.00%
6회민형배-박오열[19]
당선 83.36%낙선 16.63%
7회김삼호-이정현[20]
당선 75.82%낙선 15.55%
8회박병규--
무투표 당선

6. 역대 구정 목표[편집]


구청장구정 목표
고재유 (민선 1기)-
송병태 (민선 2·3기)-
전갑길 (민선 4기)-
민형배 (민선 5·6기)사람사는 세상 더 좋은 광산
김삼호 (민선 7기)내 삶이 행복한 매력 활력 품격 광산
박병규 (민선 8기)상생과 혁신으로 광산을 새롭게 시민을 이롭게!

7. 여담[편집]



8. 관련 문서[편집]




[1] 인구 50만명 이상의 기초자치단체의 수장은 1급, 10만 이상 50만 미만은 2급, 그 이하는 3급 상당의 대우를 받으며 각 급수의 최고호봉 상당의 급료를 받는다.[2] 선거 당시 당적.[3] 1995.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탈당.
1995.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입당.
[4] 1998.3.6. 광주광역시장 경선 출마를 위해 광산구청장직 사퇴.[5] 2000.1.20.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으로 당명 변경.
[6] 2004.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탈당.
[7] 2007.6.27.
파일:중도통합민주당 남색 글씨.svg
으로 합당.
2007.8.13.
[[민주당(2007년)|
파일:민주당(2005년) 흰색 로고타입.svg
]]
으로 당명 변경.
2008.2.17.
[[통합민주당(2008년)|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으로 신설 합당.
2008.7.6.
[[민주당(2008년)|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으로 당명 변경.
[8] 2010.2.18. 광주광역시장 경선 출마를 위해 광산구청장직 사퇴.[9] 2011.12.23.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으로 신설 합당.
2013.5.4.
[[민주당(2013년)|
파일:민주당(2013년) 흰색 로고타입.svg
]]
으로 당명 변경.
2014.3.26.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으로 당명 변경.
[10] 2015.12.28. 으로 당명 변경.[11] 2018.3.7. 광주광역시장 경선 출마를 위해 광산구청장직 사퇴.[12] 2022.4.14. 당선 무효로 광산구청장직 상실.[13] 무투표로 당선되었다.[주의] 지금과는 공직선거법이 달랐기 때문에 기초자치단체장은 단독 출마라도 무투표 당선 될 수 없었다. 당시 공직선거법 제191조 2항에 따르면 단독 출마일 경우 득표수가 투표자 총수의 3분의 1이상에 달하여야 당선인으로 결정되었다. 이는 2010년 1월 25일 삭제되었다.[14] 징역형 집행유예.[15] 3% 이상 득표자만 기재.[16] 제3지대 정당·보수 정당 후보.[17] 민주당계 정당 후보.[18] 민주당계 정당·진보 정당 후보.[19] 진보 정당·극좌 정당 후보.[20] 제3지대 정당·민주당계 정당 후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