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학교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중앙대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름에 같은 한자를 사용하는 일본의 대학에 대한 내용은 주오대학 문서
주오대학번 문단을
주오대학#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중앙대학교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의 대학

[ 펼치기 · 접기 ]

이원화캠퍼스 목록 / 분교 목록 / 전문대학 목록 / 대학원대학 목록 / 원격대학 목록 / 평생교육기관 목록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의 대학

[ 펼치기 · 접기 ]
국립

파일:경인교육대학교 엠블럼.svg 경인교육대학교(경기캠퍼스)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시흥캠퍼스)

파일:한경국립대학교 UI.svg[[파일:한경국립대학교 UI 블루.svg 한경국립대학교 · 파일:한국교통대학교 심볼.svg 한국교통대학교(의왕캠퍼스)
사립

파일:가천대학교 엠블럼.svg 가천대학교 · 파일:가톨릭대학교 앰블럼.svg 가톨릭대학교 · 파일:강남대학교_UI.svg 강남대학교 · 파일:경기대학교 로고.svg 경기대학교 · 파일:경동대학교 UI.svg 경동대학교(메트로폴캠퍼스) · 파일:경희대학교 로고.svg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파일:단국대학교 엠블럼.svg 단국대학교 · 파일:대진대학교 UI.svg 대진대학교 · 파일:동국대학교 심벌마크.svg 동국대학교(바이오메디캠퍼스) · 파일:동양대학교 엠블럼.svg 동양대학교(동두천캠퍼스)

파일:루터대학교 UI.svg 루터대학교

파일:명지대학교 엠블럼.svg 명지대학교(자연캠퍼스)

파일:서울신학대학교 UI.svg 서울신학대학교 · 파일:서울장신대학교 UI.svg 서울장신대학교 · 파일:성결대학교 UI.svg 성결대학교 · 파일:SKKU_Emblem.svg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 파일:수원가톨릭대학교 UI.svg 수원가톨릭대학교 · 파일:수원대학교 심볼.svg 수원대학교 · 파일:신한대학교 UI.svg 신한대학교(의정부캠퍼스 · 동두천캠퍼스)

파일:아신대학교 심볼.svg 아신대학교 · 파일:아주대학교 엠블럼.svg 아주대학교 · 파일:안양대학교 UI.svg 안양대학교 ·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삼애캠퍼스) · 파일:예원예술대학교 교표.svg 예원예술대학교(양주캠퍼스) · 파일:용인대학교 엠블럼.svg 용인대학교 · 파일:을지대학교 UI.svg 을지대학교(성남캠퍼스 · 의정부캠퍼스)

파일:중부대학교 UI.svg 중부대학교(고양캠퍼스) · 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중앙대학교(다빈치캠퍼스) · 파일:중앙승가대학교 UI.svg 중앙승가대학교

파일:차의과학대학교 심볼.svg 차의과학대학교 · 파일:총신대학교 엠블럼.svg 총신대학교(양지캠퍼스)(대학원)

파일:칼빈대학교 UI.svg 칼빈대학교

파일:평택대학교 엠블럼.svg 평택대학교

파일:한국공학대학교 심볼.svg 한국공학대학교 · 파일:한국외국어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 파일:한국항공대학교_UI.svg 한국항공대학교 · 파일:한세대학교 UI.svg 한세대학교 · 파일:한신대학교 UI.svg 한신대학교 ·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ERICA · 파일:협성대학교 UI.svg 협성대학교 · 파일:홍익대학교_UI_Blue.svg 홍익대학교(화성캠퍼스) · 파일:화성의과학대학교 UI.svg 화성의과학대학교
각 대학의 제1캠퍼스(본교)는 캠퍼스를 표기하지 않고, 2캠퍼스(이원화)부터 "OO대학교(AA캠퍼스)"과 같이 표기함.
분교는 캠퍼스명 표시에서 OO대학교 AA캠퍼스로 괄호 없이 표시함.
(대학원)은 경기도에 대학원만 있는 캠퍼스이다.


전문대학 목록 / 대학원대학 목록 / 대학 목록 / 원격대학 목록 / 평생교육기관 목록


파일:두산그룹 워드마크 화이트.svg

[ 펼치기 · 접기 ]
지주회사
(주)두산 (두산전자 · 두산퓨얼셀 파워 · 두산디지털이노베이션 · 두산유통)
ISB
두산에너빌리티 (두산밥콕 · 두산스코다파워 · 두산밥캣) · 하이엑시움모터스 · 두산산업차량 · 두산퓨얼셀 · 두산포터블파워 · 두산로보틱스 · 두산로지스틱스솔루션 ·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 · 두산테스나 · 솔루스첨단소재
CSB
오리콤 · 한컴 · 두산매거진 · 두산 베어스 · 두산큐벡스
기타
신분당선주식회사 · 네오트랜스 · 두산백과사전 · 두산 핸드볼단 · FC 빅토리아 플젠
부속기관
두산연강재단 · 두산아트센터 · 두산경영연구원
학교법인
학교법인 중앙대학교 (중앙대학교 · 부속유치원 · 부속초등학교 · 부속중학교 · 부속고등학교)














[ 펼치기 · 접기 ]
인증 현황 (2021년 6월 기준#)
대학
Accredited
School
Educational
Membership
대학
Accredited
School
Educational
Membership
파일:건국대 로고 수정판.png 건국대학교
O
O
파일:KNU_logo1.png 경북대학교
O
O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
O
O
파일:동국대학교 심벌마크.svg 동국대학교
O
O
파일:SGU Symbol.png 서강대학교
O
O
파일:external/www.timeshighereducation.com/sungkyunkwan-university-skku-_logo.png 성균관대학교
O
O
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 세종대학교
O
O
파일:wsu_logo (2).png 우송대학교
O
O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
O
O
파일:UNIST_emblem.svg 울산과학기술원
O
O
파일:이화여자대학교 교표.png 이화여자대학교
O
O
파일:인하대.png 인하대학교
O
O
파일:chunganglogo2017.png 중앙대학교
O
O
파일:전남대학교 교표.svg 전남대학교
O
O
파일:KAIST_emblem.svg 한국과학기술원
O
O
파일:½É¹ú_N.gif 한국외국어대학교
O
O
파일:한양대 로고 수정판.png 한양대학교
O
O
파일:한양대 로고 수정판.png 한양대학교 ERICA
O
O
본교에 해당하는 경우 별도로 캠퍼스 표기를 하지 아니함.






[ 펼치기 · 접기 ]
회원대학
대학
파일:가야대학교 UI.svg 가야대학교파일:가톨릭관동대학교 로고.svg 가톨릭관동대학교파일:강서대학교 엠블럼.svg 강서대학교파일:경기대학교 로고.svg 경기대학교파일:경일대학교 UI.svg 경일대학교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파일:공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공주대학교파일:광운대학교 엠블럼.svg 광운대학교파일:광주교육대학교 UI.svg 광주교육대학교파일:광주대학교 UI.svg 광주대학교
파일:국민대학교 엠블럼.svg 국민대학교파일:김천대학교 UI.svg 김천대학교파일:남부대학교 UI.svg 남부대학교파일:나사렛대학교 UI.svg 나사렛대학교파일:단국대학교 엠블럼.svg 단국대학교
파일:대구가톨릭대학교 엠블럼.svg 대구가톨릭대학교파일:대구대학교 UI.svg 대구대학교파일:대구한의대학교 UI.svg 대구한의대학교파일:대전대학교 엠블럼.svg 대전대학교파일:대진대학교 UI.svg 대진대학교
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 서울캠퍼스파일:동서대학교 엠블럼.svg 동서대학교파일:동신대학교 엠블럼.svg 동신대학교
파일:동아대학교 UI.svg 동아대학교파일:동양대학교 엠블럼.svg 동양대학교파일:동의대학교 UI.svg 동의대학교파일:명지대학교 엠블럼.svg 명지대학교파일:백석대학교 UI.svg 백석대학교
파일:부산외국어대학교 심볼.svg 부산외국어대학교파일:서울신학대학교 UI.svg 서울신학대학교파일:서원대학교 UI.svg 서원대학교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 세종대학교파일:송원대학교 엠블럼.svg 송원대학교
파일:수원대학교 심볼.svg 수원대학교파일:숙명여자대학교 엠블럼.svg 숙명여자대학교파일:숭실대학교 엠블럼.svg 숭실대학교파일:신라대학교 교표.svg 신라대학교파일:아주대학교 엠블럼.svg 아주대학교
파일:영남대학교 엠블럼.svg 영남대학교파일:용인대학교 엠블럼.svg 용인대학교파일:우석대학교 UI.svg 우석대학교파일:울산대학교 심볼마크.svg 울산대학교파일:원광대학교 엠블럼.svg 원광대학교
파일:유원대학교 UI.svg 유원대학교파일:을지대학교 UI.svg 을지대학교파일:인제대학교 교표.svg 인제대학교파일:인하대학교 엠블럼.svg 인하대학교파일:중부대학교 UI.svg 중부대학교
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중앙대학교파일:차의과학대학교 심볼.svg 차의과학대학교파일:청운대학교 심볼.svg 청운대학교파일:청주대학교 UI.svg 청주대학교파일:추계예술대학교 엠블럼.svg 추계예술대학교
파일:POSTECH_emblem.svg 포항공과대학교파일:한경국립대학교 로고.svg 한경국립대학교파일:한국공학대학교 심볼.svg 한국공학대학교파일:한남대학교 UI.svg 한남대학교파일:한동대학교 엠블럼.svg 한동대학교
파일:한라대학교 엠블럼.svg 한라대학교파일:한림대학교 앰블럼.svg 한림대학교파일:한신대학교 UI.svg 한신대학교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파일:협성대학교 UI.svg 협성대학교
파일:호남대학교 UI.svg 호남대학교파일:호원대학교 UI.svg 호원대학교
전문대학
파일:경남정보대학교 UI.svg 경남정보대학교파일:경인여자대학교 엠블럼.svg 경인여자대학교파일:계원예술대학교 UI.svg 계원예술대학교파일:김해대학교 UI.svg 김해대학교파일:대구보건대학교 UI.svg 대구보건대학교
파일:마산대학교 UI.svg 마산대학교파일:삼육보건대학교 UI.svg 삼육보건대학교파일:선린대학교 심볼.svg 선린대학교파일:용인예술과학대학교 UI.svg 용인예술과학대학교파일:전남과학대학교 UI.svg 전남과학대학교
파일:조선이공대학교 심볼.svg 조선이공대학교파일:춘해보건대학교 UI.svg 춘해보건대학교파일:한국관광대학교 UI.svg 한국관광대학교파일:한양여자대학교 엠블럼.svg 한양여자대학교파일:한영대학교 UI.svg 한영대학교
대학원대학
파일: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엠블럼.svg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파일:B9EF5F8E-E323-4859-8610-D9401180142E.jpg

[ 펼치기 · 접기 ]
2020학년도 기준
대학
EAC
CAC
ETAC
어코드
대학
EAC
CAC
ETAC
어코드
가천대학교
O
-
-
워싱턴
가톨릭대학교
O
-
-
워싱턴
강릉원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강원대학교
O
-
-
워싱턴
거제대학교
-
-
O
시드니
건국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건양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경기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경남대학교
O
O
-
워싱턴
경복대학교
-
-
O
더블린
경북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경상국립대학교
O
-
-
워싱턴
경성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경일대학교
O
-
-
워싱턴
경희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계명대학교
O
O
-
워싱턴
고려대학교
O
-
-
워싱턴
공주대학교(천안)
O
-
-
워싱턴
광운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구미대학교
-
-
O
더블린
국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군산대학교
O
-
-
워싱턴
금오공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단국대학교(죽전)
O
O
-
서울/워싱턴
단국대학교(천안)
O
-
-
서울/워싱턴
대구대학교
O
-
-
워싱턴
대덕대학교
-
-
O
더블린/시드니
대진대학교
O
-
-
워싱턴
동국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동국대학교 경주
O
-
-
워싱턴
동명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동서대학교
O
-
-
워싱턴
동서울대학교
-
-
O
더블린/시드니
동신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동아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동원대학교
-
-
O
시드니
동의과학대학교
-
-
O
더블린
동의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두원공과대학교
-
-
O
더블린/시드니
마산대학교
-
-
O
더블린
명지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목원대학교
O
-
-
워싱턴
목포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부경대학교
O
-
-
워싱턴
부산대학교
O
O
-
워싱턴
백석대학교
-
O
-
서울
상명대학교(서울)
-
O
-
서울
상명대학교(천안)
O
-
-
워싱턴
상지대학교
O
-
-
워싱턴
서강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서영대학교
-
-
O
더블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서울대학교
O
-
-
워싱턴
서울시립대학교
O
-
-
워싱턴
선문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성결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성균관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세종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수원과학대학교
-
-
O
더블린
숙명여자대학교
-
O
-
서울
순천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순천향대학교
O
-
-
워싱턴
숭실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신라대학교
O
-
-
워싱턴
아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아주자동차대학교
-
-
O
더블린
안동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연성대학교
-
-
O
시드니
연세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영남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영남이공대학교
-
-
O
더블린/시드니
영진전문대
-
-
O
더블린
울산과학대학교
-
-
O
시드니/더블린
울산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원광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이화여자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인제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인천대학교
O
-
-
워싱턴
인하대학교
O
-
-
워싱턴
전남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전북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전주대학교
O
-
-
워싱턴
제주대학교
O
-
-
워싱턴
제주한라대학교
-
-
O
시드니/더블린
조선대학교
O
O
-
워싱턴
중앙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창원대학교
O
-
-
워싱턴
청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충남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충북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경대학교
O
-
-
워싱턴
한국교통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국기술교육대학교
O
-
-
워싱턴
한국산업기술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국외국어대학교
O
-
-
워싱턴
한국항공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국해양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남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동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밭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성대학교
O
-
-
워싱턴
한신대학교
O
-
-
워싱턴
한양대학교
-
O
-
워싱턴
한양대학교 ERICA
-
O
-
워싱턴
호남대학교
O
-
-
워싱턴
호서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호원대학교
-
O
-
서울
홍익대학교(서울)
O
O
-
서울/워싱턴
홍익대학교(세종)
O
-
-
워싱턴




파일:KAAB-logo.gif


[ 펼치기 · 접기 ]
국내 건축학교육 인증프로그램
프로그램
홈페이지
인증기간
가톨릭관동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4-2022
강원대학교(춘천)
문화예술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8-2023
건국대학교
#대학원석사
건축전문대학원
#
2009-2024
경기대학교
창의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09-2025
경남과학기술대학교
건설환경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8-2023
경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20-2023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9-2024
경일대학교
SMART인프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21-2025
경상국립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1-2026
경성대학교
공과대학 건축디자인학부
건축학전공
#
2021-2026
경희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13-2022
계명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토목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8-2022
광운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4-2021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2-2022
공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4-2024
국민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건축설계전공
#
2010-2026
금오공과대학교
공학계열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7-2025
남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7-2022
단국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0-2023
동국대학교
#대학원석사
일반대학원 건축공학과(4+2)
#
2017-2026
동명대학교
건축•디자인대학 건축학부
건축학과(5년)
#
2018-2022
동서대학교
건축토목계열
건축학과
#
2012-2023
동아대학교
디자인환경대학
건축학과
#
2009-2025
동의대학교
공과대학 건설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3-2024
대구가톨릭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14-2025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7-2022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전통건축전공
#
2017-2022
목원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20-2025
목포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1-2026
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8-2023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건설융합학부
건축학전공
#
2011-2022
배재대학교
문화예술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7-2021
삼육대학교
문화예술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7-202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8-2023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전공
#
2007-2022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7-2022
선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2-2023
성균관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9-2023
세종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1-2026
순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
2019-2023
숭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2-2021
아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전공
#
2011-2026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
건축학전공
#
2009-2025
영남대학교
건축학전공
#
2008-2026
울산대학교
디자인·건축융합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8-2024
원광대학교
창의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6-2024
이화여자대학교
엘텍공과대학 미래사회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1-2026
인천대학교
#대학원석사
일반대학원 건축학과(4+2)
#
2021-2025
인하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4-2024
전남대학교(광주)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1-2026
전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7-2023
조선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2-2023
중앙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4-2024
제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2-2024
창원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
2017-2022
청주대학교
공과대학 휴먼환경디자인학부
건축학ㆍ건축공학전공
#
2012-2023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8-2023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2-2022
한경대학교
디자인건축융합학부
건축학전공
#
2013-2024
한국교통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과
#
2010-2026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건축과
#
2015-2026
한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15-2026
한밭대학교
건설환경조형대학
건축학과
#
2010-2025
한양대학교(서울)
공과대학
건축학부
#
2008-2023
한양대학교(에리카)
공학대학
건축학부
#
2009-2023
호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9-2025
홍익대학교(서울)
건축도시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7-2023
홍익대학교(세종)
과학기술대학 건축공학부
건축디자인전공
#
2012-2023
국외 건축학교육 인증프로그램
프로그램
홈페이지
인증기간
인도네시아 반둥공과대학교
#대학원석사
(ITB, Institute Technology Bandung)
#
2016-2024
인도네시아 이슬람대학교
(UII, University Islam Indonesia)
#
2017-2025
인도네시아 가자마다대학교
(UGM, Universitas Gadjah Mada)
#
2020-2022
* 대학교학사 : 대학교 건축학사 (Bachelor of Architecture) 학위
* 대학원석사 : 대학원 건축석사 (Master of Architecture) 학위
별도의 표기가 없는 경우, 대학교 건축학사(B.Arch) 과정임
건축학교육인증의 인증현황은 이곳에서도 확인 가능함
위의 표는 2021년 7월 31일의 인증현황을 기준으로 함








파일:열린대학교육협의회 심볼.svg
OCU 컨소시엄


[ 펼치기 · 접기 ]
주관대학
(10개교)

강릉원주대학교
국립공주대학교
부경대학교
제주대학교
충북대학교
동덕여자대학교
부산외국어대학교
순천향대학교
용인대학교
인제대학교
회원대학
(71개교)

경상국립대학교
군산대학교
금오공과대학교
목포대학교
목포해양대학교
부산교육대학교
부산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순천대학교
국립안동대학교
육군사관학교
인천대학교
진주교육대학교
창원대학교
한경국립대학교
한국교통대학교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해양대학교
국립한밭대학교

가야대학교
경남대학교
경동대학교
경성대학교
경희대학교
고신대학교
국민대학교
극동대학교
김천대학교
나사렛대학교
남부대학교
단국대학교
대진대학교
동명대학교
동서대학교
동신대학교
동아대학교
동의대학교
백석대학교
부산가톨릭대학교
부산장신대학교
서강대학교
서경대학교
서울신학대학교
서울장신대학교
서울한영대학교
서원대학교
선문대학교
성결대학교
성공회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세명대학교
숭실대학교
신라대학교
신한대학교
아신대학교
안양대학교
영산대학교
울산대학교
유원대학교
인천가톨릭대학교
제주국제대학교
중앙대학교
중원대학교
창신대학교
청운대학교
한국항공대학교
한신대학교
한서대학교
협성대학교
호서대학교
홍익대학교


운영대학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Leaders 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LINC 3.0 / 일반대)>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


[ 펼치기 · 접기 ]




중앙대학교
中央大學校
Chung-Ang University
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교훈
의에 죽고 참에 살자
Live in truth. Live for justice




슬로건

한국의 중앙에서 세계의 중앙으로
교목
느릅나무
교수
청룡
교색
[ 교색 펼치기 · 접기 ]
CAU BLUE (#004C97)


CAU RED (#EF3340)


CAU GOLD (#866D4B)


CAU SILVER (#8A8D8F)


CAU GRAY (#888B8D)


CAU LIGHT GRAY (#D0D3D4)
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분류
사립대학, 4년제 종합대학
지역
서울특별시 | 경기도
개교
1916년 10월 17일 (107주년)
중앙유치원
설립자
임영신[1]
총장
제16대 박상규
법인
학교법인 중앙대학교
대학병원
중앙대학교병원
중앙대학교광명병원


서울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로 84 (흑석동 221)
다빈치
경기도 안성시 대덕면 서동대로 4726 (내리 72-1)
평동
서울특별시 종로구 경교장길 8 (평동 85-15)

공연예
술원
[2]

서울특별시 종로구 이화장길 86-8 (동숭동 192-10)




학부생

23,938명(2021년)[3]

대학원생

5,793명(2021년)[4]
교직원
2,523명(2021년)[5]

일반재정지원 선정대학(2021년)
웹사이트
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공식 홈페이지
소셜 미디어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지도 펼치기 ]




서울캠퍼스




다빈치캠퍼스




평동캠퍼스




공연예술원

한국의 중앙에서 세계의 중앙으로




1. 개요[편집]


서울특별시 동작구경기도 안성시에 위치한 학교법인 중앙대학교 산하 사립 종합대학교.

1916년 중앙교회 부설 중앙유치원으로 설립되었고, 1922년 중앙유치원 내에 중앙유치사범과가 설치되며 전문교육기관으로서의 역사를 시작하였다. 이후 1928년 중앙보육학교 출범후 1935년 승당 임영신 박사에 의해 중앙보육학교가 인수되었고, 1937년 흑석동에 기틀을 잡으며 현재의 서울캠퍼스가 조성되었다. 이어 1946년 중앙여자전문학교, 1947년 중앙여자대학, 1948년 중앙대학을 거쳐 1953년 종합대학 중앙대학교가 출범하였다. 또한, 1972년 서라벌예술대학, 2011년 적십자간호대학과의 통합을 통해 대학의 규모를 키워 왔다. 1980년 안성시다빈치캠퍼스가 설립되었고, 2011년에 본·분교 통합을 통해 현재의 이원화 캠퍼스 체제를 갖추게 되었다.

한국 제약업계 CEO의 70% 이상의 동문을 배출한 약학대학[6]을 비롯해 전통적으로 심리학과 신문방송과 광고홍보학과연극영화과[7], 사진학과 등 예술 전반 분야에서 유명하다. 또한 국내 최초로 개설된 경영학과를 필두로 두산 재단이 들어선뒤 경영, 경제 계열의 지원에 힘입어 공인회계사(CPA) 시험에서 백 명 이상의 합격생을 배출하며 2년 연속 대학별 합격자수 3위를 차지하였다.[8]

국문 약칭은 중대, 영문 약칭은 CAU, 구호는 의혈중앙이다. 2008년부터 학교법인의 운영에 두산그룹이 참여하고 있다.

2. 역사[편집]




중앙대학교 공식 홍보영상 역사편 (2019)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중앙대학교/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1. 임원[편집]




[ 펼치기 · 접기 ]

초대·3대·5대

임영신

2대

황소향

4대

임민규

6대

방우영

7대

임철순

8대

김희수

9대

박용성

10대

김철수

11대

박용현

12대

이현순





[ 펼치기 · 접기 ]

초대/3대

임영신

2대

임성희

4대

임철순

5대

이석희

6대

문병집

7대

이재철

8대

하경근

9대

김민하

10대

이종훈

11대

박명수

12대

박범훈

13대

안국신

14대

이용구

15대

김창수

16대

박상규




3. 상징[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중앙대학교/상징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교가[편집]




중앙대학교 교가

남산이 영을 넘어 바라보이고

뒤로는 관악산이 높이 솟았네

한강수 구비치는 노들의 강변

명수대 송림속에 우뚝선 중앙

의에 죽고 참에 삶이 모교의 정신

세계에 빛내세 우리 중앙대학교

삼천리 이강산에 꽃을 피우려

굳세고 지혜롭게 모여들었네

진선미 거룩한맘 길러온 정성

힘차게 나라위해 몸바친 중앙

의에죽고 참에 삶이 모교의 정신

세계에 빛내세 우리 중앙대학교

김태오 작사, 나운영 작곡



5. 캠퍼스[편집]



5.1. 서울캠퍼스[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중앙대학교/서울캠퍼스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2. 다빈치캠퍼스[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중앙대학교/다빈치캠퍼스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재단[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학교법인 중앙대학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입학[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중앙대학교/입학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8. 학부[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중앙대학교/학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9. 대학원[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중앙대학교/대학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0. 학사제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중앙대학교/학사제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1. 동아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중앙대학교/동아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2. 총학생회[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중앙대학교/총학생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3. 학내 언론[편집]


중앙대학교의 학내 언론으로는 미디어센터 소속 중대신문(학보사), 중앙헤럴드, UBS(대학방송국), 교지(총 20개) 등이 있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중앙대학교/학내 언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4. 출신 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중앙대학교/출신 인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5. 홍보대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중앙대학교/홍보대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6. 웹사이트[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중앙대학교/웹사이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7. 축제[편집]





18. 교통[편집]





19. 사건사고[편집]





20. 중앙대학교의료원[편집]




20.1. 중앙대학교병원[편집]




20.2. 중앙대학교광명병원[편집]





21. 부속기관[편집]


  • 부속유치원
중문과 후문 사이 비탈길에 위치해 있으며, 부지가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제3캠퍼스로 공시되어 있다. 의외로 유치원 주변의 숲까지 포함하면 넓은 부지를 갖고 있다. 교사는 모두 중앙대학교 출신. 중앙대학교가 유치원에서 시작된 만큼, 1916년에 설립되어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명문 유치원이다.

중앙대학교병원 바로 뒤편[9]에 위치하고 있으며 아이들 집에서 학교까지 거리가 먼 탓에[10] 강남, 동작지역 곳곳에 다니는 노란 스쿨버스가 집 근처에서 등교하는 학생들 태우려고 서 있는걸 볼 수 있다. 버스와는 다르게 별다른 학교 표시가 없어서 티는 안 나지만, 스쿨버스 이외에도 여의도 지역 근처에는 태우러 다니는 노란 봉고차도 여러대 있다. 사립초등학교이므로 무료인 국/공립초등학교와 달리 비싼 학비[11]를 받으며, 유복한 집 아이들이 많이 다닌다.

흑석동 소재. 대학과 거의 붙어 있어서 제2의학관과 학생회관 사이에서 잘 내려다보인다.

1965년 설립. 본래 흑석동에 부속고교와 부속여자고교가 있었으나 두 학교가 합치면서 1997년에 도곡동으로 이전하였다. [12] 도곡역 1번 출구와 가깝다. 학교를 다시 중앙대학교 캠퍼스 인근으로 이전하려 했으나 주민 반대가 심해서 관뒀다고 하지만 이전 후 강남 8학군 버프를 크게 받고 명문고로 성장했다. 최근 들어 인근 흑석동 주민들은 흑석뉴타운 사업과 함께 고등학교 신설을 요구하는 중이다.

  • 중앙대학교 어린이집

  • 중앙대학교의료원 어린이집


22. 대학평가[편집]




중앙대학교는 예체능계와 상경계와 이공계, IT계열에서 많은 인재를 배출하고 있다. 특히, 정부 주도의 BK21사업에서 IT분야에서 다수 선정되는 등 성과를 내고 있다. 중앙대학교 경영경제대학에서는 매년 다수의 CPA합격자를 배출하고 있으며, 2020년, 2021년 연속 전국 대학교에서 세 번째로 많은 합격자를 배출하였다.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역시 2021년 교사 임용에 112명의 합격자를 배출하는 성과를 보였다.

23. 여담[편집]


  • 의혈이라는 학교 슬로건답게 과거 운동권의 주축이었던 학교 중 하나. 대표적인 것이 4.19 혁명6.3 항쟁. 본교 출신인 이재오 특임장관과 이명박 대통령의 인연도 6.3항쟁이 그 시작이었다.



  • 참여정부 시절에 이뤄진 로스쿨 인가 당시 로스쿨 인원 발표 하루 전날 모 신문 측에서 평가자료를 입수하여 인원을 미리 발표했는데, 여기서 80명 정원을 배정받은 것이 확인되자 반짝 축제 분위기였던 적이 있었다. 그러나 정작 공식발표날은 중앙대가 30명이 줄은 50명으로 나왔다. 흑역사이자 설레발이었던 셈이었다. 인가를 받지 못한 대학들의 항의 때문이었다는 설도 있지만 전체적으로 인원이 감축된 것이 아니라 몇몇 대학만이 감축당했으며, 또한 그 감축 때문에 후보 대학들에 대한 평가는 이미 완료된 시점이었고 그 평가대로 인원이 배정된 것인데도 로스쿨별 인원 수의 순위가 바뀌었다. 어쨌거나 이 사건 때문에 지금도 많은 동문들이 이를 박박 갈고 있다.

  • 2011년 5월 2일에는 이명박 대통령이 직접 학교에 내왕하여 중앙대 학생들과 함께 한 자리에서 대화하는 시간을 가졌다. 문제는 그 자리에서 중앙대의 본·분교 통합 로비사건이 터지고야 말았다. 이로 인해 2015년 상반기 학교가 많이 시끄러웠고, 전 총장인 박범훈 당시 청와대 교육문화수석은 징역 3년의 실형이, 박용성 전 이사장[13]에겐 징역 10개월에 집행유예 2년이 선고되었다.

  • 2016년 11월 26일에는 박근혜 즉각 퇴진 5차 범국민행동 참가를 위해, 일 안하는 서울캠 총학생회 대신 운동권 소모임(청년하다 중앙대지부 의혈하다, 약 100여명)과 일부 학과 학생회가 주축이 되어 약 1,000명이 의혈기를 내걸고 한강을 건넜다.[14] 최종적으로는 박근혜 탄핵까지 이뤄졌으니 '의혈이 한강을 건너면 역사가 바뀐다'는 징크스는 어쨌든 유효하게 되었다.


  • 2015학년도 수시모집에서 무려 80,000여 명이 지원하는 기염을 토했다. 심지어 화학신소재공학부는 논술전형 마감 경쟁률이 155대 1이었고 이 해 중앙대학교는 원서 접수비로만 48억을 벌어들였다. 2017학년도 수시모집에서도 역시 무려 81,497여 명이 지원하였다. 전국 4년제 대학중 지원자수가 가장 많았다. 중앙대는 논술 최저학력기준이 인서울 주요 대학들 중 가장 높음에도 불구하고 논술 경쟁률이 1:55으로 상당히 높은 편이다.

파일:1536197760_기념우표 전지.jpg

  • 서울캠퍼스의 5자리 우편번호가 06974이다.

  • 보통 줄여서 중대로 부르는게 일반적이지만 요즘 들어 앙대로 줄여부르는 사람들이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늘고 있다. 한양대-냥대와 비슷한 이미지의 귀여움을 어필 할 수 있다...

  • 가끔 중앙대의 영어 명칭인 Chung-Ang을 Chun-Gang으로 읽어서 춘강대라는 별명으로 부르기도 한다.

24. 관련 문서[편집]





[1] 대한민국 초대 상공부 장관, 헌정 사상 최초의 여성 국회의원[2] 예술대학 공연영상창작학부 연극전공, 공간연출전공이 사용하는 건물이다.[3] 휴학생 8,024명, 학사학위취득유예학생 703명 미포함[4] 휴학생 1,100명 미포함[5] 학부 (전임 968명, 비전임 1089명), 대학원 (전임 103명, 비전임 333명)[6] 약사회장 선거에서도 조직력을 바탕으로 중앙대 출신을 연달아 선출하고 있다.[7] 출신 동문 항목 참고[8] 최근 5년 누적 기록으로는 4위, 2020, 21년에는 3위를 기록 중이다.[9] 2010년까지만 해도 원래 병원은 저만치 훨씬 뒤에 있었다. 그런데 2011년쯤 원래 위치에 있던 병원은 철거하고 새로 학교 뒤에 지은 탓에 학교의 운동장이 다른 초등학교에 비해 상당히 좁은 것을 볼 수 있다.[10] 집 근처로 배정되는 국/공립초등학교와 달리, 사립초등학교에는 학교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사는 학생들도 다닌다.[11] 학교를 졸업한 유경험자에 의하면 3개월 당 기본 150만원은 깔며, 여기다가 자녀들의 방과 후 특수활동, 스쿨버스, 교복 등까지 하면 더 나온다.[12] 현재의 중앙대학교 병원 부지가 예전의 고등학교 소재지였다.[13] 직전 막말 파문으로 이사장 자리를 내놓은 상황이었다.[14] 이 도보행진도 집회로 신고되어 경찰의 보호 하에 진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