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학교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에 위치한 연세대학교의 분교에 대한 내용은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문서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번 문단을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 문서는 나무위키의 이 토론에서 해당 문서 상단 개요 표에 미래캠퍼스 주소 및 관련 통계를 병기한다.(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타 위키에서의 합의내용이 더위키에서 강제되지는 않지만 문서를 편집하실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의 대학

[ 펼치기 · 접기 ]

이원화캠퍼스 목록 / 분교 목록 / 전문대학 목록 / 대학원대학 목록 / 원격대학 목록 / 평생교육기관 목록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의 대학

[ 펼치기 · 접기 ]
각 대학의 제1캠퍼스(본교)는 캠퍼스를 표기하지 않고, 2캠퍼스(이원화)부터 "OO대학교(AA캠퍼스)"과 같이 표기함. 분교는 캠퍼스명 표시에서 OO대학교 AA캠퍼스로 괄호 없이 표시함.

전문대학 목록 / 대학원대학 목록 / 대학 목록



대한민국의 개신교 산하 대학

[ 펼치기 · 접기 ]

감리회, 그리스도의교회, 루터교회, 성공회 산하 [ 펼치기 · 접기 ]
감리회
기독교대한감리회(기감)
파일:감리교신학대학교 UI.svg

신대원
감리교신학대학교
파일:목원대학교 심볼.svg

신대원
목원대학교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신대원
연세대학교[1]
파일:협성대학교 UI.svg

신대원
협성대학교
감리회 계열 초교파[2]
파일:남서울대학교 UI.svg
남서울대학교
파일:배재대학교 엠블럼.svg

신대원
배재대학교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신대원
이화여자대학교
[1] 감리회 계열과 장로회 계열이 공동 운영함.
[2] 재단이 감리회 계열이지만 어느 교단에도 소속하지 않은 대학.
연세대, 이화여대, 배재대는 재단과 별개로 신학대학원이 KAICAM과 인준하였다.

그리스도의교회
그리스도의교회교역자협의회
(무악기파)

그리스도의 교회협의회
(유악기파)

파일:강서대학교 엠블럼.svg

신대원
강서대학교
파일:서울기독대학교 UI.svg

신대원
서울기독대학교
파일:동서대학교 로고.svg
동서대학교
루터교회
기독교한국루터회(기루)
파일:루터대학교 UI.svg

신대원
루터대학교
성공회
대한성공회
파일:성공회대학교 UI.svg

신대원
성공회대학교 {{{#!wiki style="display:inline; padding:2px 3px; border:1px solid black; border-radius:3px; font-size: .8em;"
KAATS


장로회 산하 [ 펼치기 · 접기 ]
장로회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고신)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대신)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백석)

파일:고신대학교 심볼.svg

신대원
고신대학교
파일:안양대학교 UI.svg

신대원
안양대학교
파일:백석대학교 UI.svg

신대원
백석대학교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통합)
파일:대전신학대학교 UI.svg

신대원
대전신학대학교
파일:부산장신대학교 UI.svg

신대원
부산장신대학교
파일:서울여자대학교_UI.svg
서울여자대학교
파일:서울장신대학교 UI.svg

신대원
서울장신대학교
파일:숭실대학교 엠블럼.svg
숭실대학교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신대원
연세대학교[4]
파일:영남신학대학교 교표.svg

신대원
영남신학대학교
파일:장로회신학대학교 UI.svg

신대원
장로회신학대학교
파일:한남대학교 UI.svg

신대원
한남대학교
파일:한일장신대학교 UI.svg

신대원
한일장신대학교
파일:호남신학대학교 UI.svg

신대원
호남신학대학교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피어선)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한영)

한국기독교장로회
(기장)

파일:평택대학교 엠블럼.svg

신대원
평택대학교
파일:서울한영대학교 UI.svg

신대원
서울한영대학교
파일:한신대학교 UI.svg

신대원
한신대학교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합동)
파일:광신대학교 UI.svg

신대원
광신대학교
파일:대신대학교 UI.svg

신대원
대신대학교
파일:총신대학교 엠블럼.svg

신대원
총신대학교
파일:중부대학교 UI.svg
중부대학교
파일:칼빈대학교 UI.svg

신대원
칼빈대학교
장로회 계열 초교파[5]
파일:경성대학교 UI.svg

신대원
경성대학교
파일:김천대학교 UI.svg

신대원
김천대학교
파일:대구대학교 UI.svg
대구대학교
파일:신한대학교 UI.svg
신한대학교
파일:전주대학교_심볼.svg
전주대학교
파일:창신대학교 UI.svg
창신대학교
[4] 장로회 계열과 감리회 계열이 공동 운영함.
[5] 재단이 장로회 계열이지만 어느 교단에도 소속하지 않은 대학.
연세대, 경성대, 김천대, 한남대는 재단과 별개로 신학대학원이 KAICAM과 인준하였다.



성결교회, 오순절교회, 침례회, 재림교회, 초교파 산하 [ 펼치기 · 접기 ]
성결교회
기독교대한성결교회
(기성)

대한기독교나사렛성결회
(나사렛/나성)

예수교대한성결교회
(예성)

파일:서울신학대학교 UI.svg

신대원
서울신학대학교
파일:나사렛대학교 UI.svg

신대원
나사렛대학교
파일:성결대학교 UI.svg

신대원
성결대학교
오순절교회
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
(기하성)

파일:한세대학교 UI.svg

신대원
한세대학교
파일:순복음총회신학교 UI.svg
순복음총회신학교[3]
[3] 학사학력 인정 각종학교.
재림교회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재림)

파일:삼육대학교.svg

신대원
삼육대학교
침례회
기독교한국침례회
(기침)

침례회 계열
초교파
[6]

파일:한국침례신학대학교 UI.svg

신대원
한국침례신학대학교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6] 재단이 침례회 계열이지만 어떤 교단에도 소속하지 않은 대학
초교파
한국독립교회및선교단체연합회(KAICAM)
파일:계명대학교 심볼.svg

신대원
계명대학교
파일:명지대학교 엠블럼.svg

신대원
명지대학교
파일:아신대학교 심볼.svg

신대원
아신대학교
파일:한국성서대학교 심볼.svg

신대원
한국성서대학교
파일:호서대학교 UI.svg

신대원
호서대학교
無교단 초교파[7]
파일:강남대학교_UI.svg

신대원
강남대학교
파일:부산외국어대학교 심볼.svg
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
파일:예수대학교 UI.svg
예수대학교
파일:차의과학대학교 심볼.svg
차의과학대학교
파일:한동대학교 엠블럼.svg
한동대학교
[7]: 어떤 교단에도 소속하지 않은 개신교 성향 대학


신대원
: 해당 교단의 목사를 양성하는 신학대학원 목회학과 설치

전문대학 목록 / 대학원대학 목록 / 대학 목록 / 원격대학 목록 / 평생교육기관 목록



대한민국의 장로회 산하 고등교육기관

[ 펼치기 · 접기 ]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개혁)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개혁국제)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고신)

파일:개신대학원대학교 UI.svg

신대원
개신대학원대학교
파일:국제신대 UI.jpg

신대원
수도국제대학원대학교
파일:고신대학교 심볼.svg

신대원
고신대학교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대신)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대신석수)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순장)

파일:안양대학교 UI.svg

신대원
안양대학교
파일: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png

신대원
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
파일:서울성경신학대학원대학교.jpg

신대원
서울성경신학대학원대학교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백석)
파일:백석대학교 UI.svg

신대원
백석대학교
파일:백석문화대학교 심볼.svg
백석문화대학교
파일:백석예술대학교 UI.svg
백석예술대학교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제신)

대한예수교장로회[1]
(예장중앙)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피어선)

파일:제신대 UI.png

신대원
제네바신학대학원대학교
파일:온석대 UI.png

신대원
온석대학원대학교
파일:평택대학교 엠블럼.svg

신대원
평택대학교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통합)
파일:광주보건대학교 UI.svg
광주보건대학교
파일:기독간호대학교 심볼.svg
기독간호대학교
파일:경안대학원대학교 엠블럼.svg

신대원
경안대학원대학교
파일:대전신학대학교 UI.svg

신대원
대전신학대학교
파일:부산장신대학교 UI.svg

신대원
부산장신대학교
파일:서울여자대학교_UI.svg
서울여자대학교
파일:서울장신대학교 UI.svg

신대원
서울장신대학교
파일:숭실대학교 엠블럼.svg
숭실대학교
파일:숭실사이버대학교 엠블럼.svg
숭실사이버대학교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2]
파일:영남신학대학교 교표.svg

신대원
영남신학대학교
파일:장로회신학대학교 UI.svg

신대원
장로회신학대학교
파일:한남대학교 UI.svg
한남대학교
파일:한일장신대학교 UI.svg

신대원
한일장신대학교
파일:호남신학대학교 UI.svg

신대원
호남신학대학교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한영)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합신)

한국기독교장로회
(기장)

파일:서울한영대학교 UI.svg

신대원
서울한영대학교
파일:합신대 UI.gif

신대원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파일:한신대학교 UI.svg

신대원
한신대학교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합동)
파일:광신대학교 UI.svg

신대원
광신대학교
파일:대신대학교 UI.svg

신대원
대신대학교
파일:총신대학교 엠블럼.svg

신대원
총신대학교
파일:중부대학교 UI.svg
중부대학교
파일:칼빈대학교 UI.svg

신대원
칼빈대학교
파일:대전과학기술대학교 UI.svg
대전과학기술대학교
장로회 계열 초교파[3]
파일:경성대학교 UI.svg
경성대학교
파일:김천대학교 UI.svg
김천대학교
파일:대구대학교 UI.svg
대구대학교
파일:대구사이버대학교 UI.svg
대구사이버대학교
파일:신한대학교 UI.svg
신한대학교
파일:전주대학교_심볼.svg
전주대학교
파일:창신대학교 UI.svg
창신대학교
파일:경민대학교 교표.svg
경민대학교
파일:경북과학대학교 심볼.svg
경북과학대학교
파일:선린대학교 심볼.svg
선린대학교
파일:숭의여자대학교 UI.svg
숭의여자대학교
파일:신안산대학교 UI.svg
신안산대학교
파일:전주기전대학 UI.svg
전주기전대학
파일:전주비전대학교 UI.svg
전주비전대학교
[1] 백기환 목사가 창립한 정통교단.
[2] 장로회 계열과 감리회 계열이 공동 운영함.
[3] 재단이 장로회 계열이지만 어느 교단에도 소속되지 않은 대학. 그러나 예장합동과 연관있는 경성대와 예장고신과 연관있는 창신대를 제외하면 모두 예장통합과 연관있다.





대한민국의 감리회 산하 고등교육기관

[ 펼치기 · 접기 ]
기독교대한감리회(기감)
[[감리교신학대학교|파일:감리교신학대학교 UI.svg

신대원
감리교​신학대학교]]
파일:목원대학교 심볼.svg

신대원
목원대학교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1]
파일:협성대학교 UI.svg

신대원
협성대학교
감리회 계열 초교파[2]
파일:남서울대학교 UI.svg
남서울​대학교

파일:배재대학교 엠블럼.svg
배재대학교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이화여자​대학교

파일:배화여자대학교 UI.svg
배화여자대학교
파일:안산대학교 UI.svg
안산대학교
파일:인덕대학교 엠블렘.svg
인덕대학교
[1] 감리회 계열과 장로회 계열이 공동 운영함.
[2] 재단이 감리회 계열이지만 어느 교단에도 소속되지 않은 대학.









파일:정부상징.svg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 펼치기 · 접기 ]
가천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강릉원주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강원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경남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경북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경상국립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국립공주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군산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대진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동국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목포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부산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서울교육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서울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순천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아주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국립안동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연세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울산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인천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전남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전북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제주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창원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청주교육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충남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충북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 펼치기 · 접기 ]
인증 현황 (2021년 6월 기준#)
대학
Accredited
School
Educational
Membership
대학
Accredited
School
Educational
Membership
파일:건국대 로고 수정판.png 건국대학교
O
O
파일:KNU_logo1.png 경북대학교
O
O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
O
O
파일:동국대학교 심벌마크.svg 동국대학교
O
O
파일:SGU Symbol.png 서강대학교
O
O
파일:external/www.timeshighereducation.com/sungkyunkwan-university-skku-_logo.png 성균관대학교
O
O
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 세종대학교
O
O
파일:wsu_logo (2).png 우송대학교
O
O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
O
O
파일:UNIST_emblem.svg 울산과학기술원
O
O
파일:이화여자대학교 교표.png 이화여자대학교
O
O
파일:인하대.png 인하대학교
O
O
파일:chunganglogo2017.png 중앙대학교
O
O
파일:전남대학교 교표.svg 전남대학교
O
O
파일:KAIST_emblem.svg 한국과학기술원
O
O
파일:½É¹ú_N.gif 한국외국어대학교
O
O
파일:한양대 로고 수정판.png 한양대학교
O
O
파일:한양대 로고 수정판.png 한양대학교 ERICA
O
O
본교에 해당하는 경우 별도로 캠퍼스 표기를 하지 아니함.




파일:B9EF5F8E-E323-4859-8610-D9401180142E.jpg

[ 펼치기 · 접기 ]
2020학년도 기준
대학
EAC
CAC
ETAC
어코드
대학
EAC
CAC
ETAC
어코드
가천대학교
O
-
-
워싱턴
가톨릭대학교
O
-
-
워싱턴
강릉원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강원대학교
O
-
-
워싱턴
거제대학교
-
-
O
시드니
건국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건양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경기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경남대학교
O
O
-
워싱턴
경복대학교
-
-
O
더블린
경북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경상국립대학교
O
-
-
워싱턴
경성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경일대학교
O
-
-
워싱턴
경희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계명대학교
O
O
-
워싱턴
고려대학교
O
-
-
워싱턴
공주대학교(천안)
O
-
-
워싱턴
광운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구미대학교
-
-
O
더블린
국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군산대학교
O
-
-
워싱턴
금오공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단국대학교(죽전)
O
O
-
서울/워싱턴
단국대학교(천안)
O
-
-
서울/워싱턴
대구대학교
O
-
-
워싱턴
대덕대학교
-
-
O
더블린/시드니
대진대학교
O
-
-
워싱턴
동국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동국대학교 경주
O
-
-
워싱턴
동명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동서대학교
O
-
-
워싱턴
동서울대학교
-
-
O
더블린/시드니
동신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동아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동원대학교
-
-
O
시드니
동의과학대학교
-
-
O
더블린
동의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두원공과대학교
-
-
O
더블린/시드니
마산대학교
-
-
O
더블린
명지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목원대학교
O
-
-
워싱턴
목포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부경대학교
O
-
-
워싱턴
부산대학교
O
O
-
워싱턴
백석대학교
-
O
-
서울
상명대학교(서울)
-
O
-
서울
상명대학교(천안)
O
-
-
워싱턴
상지대학교
O
-
-
워싱턴
서강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서영대학교
-
-
O
더블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서울대학교
O
-
-
워싱턴
서울시립대학교
O
-
-
워싱턴
선문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성결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성균관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세종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수원과학대학교
-
-
O
더블린
숙명여자대학교
-
O
-
서울
순천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순천향대학교
O
-
-
워싱턴
숭실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신라대학교
O
-
-
워싱턴
아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아주자동차대학교
-
-
O
더블린
안동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연성대학교
-
-
O
시드니
연세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영남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영남이공대학교
-
-
O
더블린/시드니
영진전문대
-
-
O
더블린
울산과학대학교
-
-
O
시드니/더블린
울산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원광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이화여자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인제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인천대학교
O
-
-
워싱턴
인하대학교
O
-
-
워싱턴
전남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전북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전주대학교
O
-
-
워싱턴
제주대학교
O
-
-
워싱턴
제주한라대학교
-
-
O
시드니/더블린
조선대학교
O
O
-
워싱턴
중앙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창원대학교
O
-
-
워싱턴
청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충남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충북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경대학교
O
-
-
워싱턴
한국교통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국기술교육대학교
O
-
-
워싱턴
한국산업기술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국외국어대학교
O
-
-
워싱턴
한국항공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국해양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남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동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밭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성대학교
O
-
-
워싱턴
한신대학교
O
-
-
워싱턴
한양대학교
-
O
-
워싱턴
한양대학교 ERICA
-
O
-
워싱턴
호남대학교
O
-
-
워싱턴
호서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호원대학교
-
O
-
서울
홍익대학교(서울)
O
O
-
서울/워싱턴
홍익대학교(세종)
O
-
-
워싱턴





파일:KAAB-logo.gif


[ 펼치기 · 접기 ]
국내 건축학교육 인증프로그램
프로그램
홈페이지
인증기간
가톨릭관동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4-2022
강원대학교(춘천)
문화예술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8-2023
건국대학교
#대학원석사
건축전문대학원
#
2009-2024
경기대학교
창의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09-2025
경남과학기술대학교
건설환경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8-2023
경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20-2023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9-2024
경일대학교
SMART인프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21-2025
경상국립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1-2026
경성대학교
공과대학 건축디자인학부
건축학전공
#
2021-2026
경희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13-2022
계명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토목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8-2022
광운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4-2021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2-2022
공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4-2024
국민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건축설계전공
#
2010-2026
금오공과대학교
공학계열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7-2025
남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7-2022
단국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0-2023
동국대학교
#대학원석사
일반대학원 건축공학과(4+2)
#
2017-2026
동명대학교
건축•디자인대학 건축학부
건축학과(5년)
#
2018-2022
동서대학교
건축토목계열
건축학과
#
2012-2023
동아대학교
디자인환경대학
건축학과
#
2009-2025
동의대학교
공과대학 건설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3-2024
대구가톨릭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14-2025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7-2022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전통건축전공
#
2017-2022
목원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20-2025
목포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1-2026
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8-2023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건설융합학부
건축학전공
#
2011-2022
배재대학교
문화예술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7-2021
삼육대학교
문화예술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7-202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8-2023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전공
#
2007-2022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7-2022
선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2-2023
성균관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9-2023
세종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1-2026
순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
2019-2023
숭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2-2021
아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전공
#
2011-2026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
건축학전공
#
2009-2025
영남대학교
건축학전공
#
2008-2026
울산대학교
디자인·건축융합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8-2024
원광대학교
창의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6-2024
이화여자대학교
엘텍공과대학 미래사회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1-2026
인천대학교
#대학원석사
일반대학원 건축학과(4+2)
#
2021-2025
인하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4-2024
전남대학교(광주)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1-2026
전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7-2023
조선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2-2023
중앙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4-2024
제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2-2024
창원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
2017-2022
청주대학교
공과대학 휴먼환경디자인학부
건축학ㆍ건축공학전공
#
2012-2023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8-2023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2-2022
한경대학교
디자인건축융합학부
건축학전공
#
2013-2024
한국교통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과
#
2010-2026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건축과
#
2015-2026
한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15-2026
한밭대학교
건설환경조형대학
건축학과
#
2010-2025
한양대학교(서울)
공과대학
건축학부
#
2008-2023
한양대학교(에리카)
공학대학
건축학부
#
2009-2023
호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9-2025
홍익대학교(서울)
건축도시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7-2023
홍익대학교(세종)
과학기술대학 건축공학부
건축디자인전공
#
2012-2023
국외 건축학교육 인증프로그램
프로그램
홈페이지
인증기간
인도네시아 반둥공과대학교
#대학원석사
(ITB, Institute Technology Bandung)
#
2016-2024
인도네시아 이슬람대학교
(UII, University Islam Indonesia)
#
2017-2025
인도네시아 가자마다대학교
(UGM, Universitas Gadjah Mada)
#
2020-2022
* 대학교학사 : 대학교 건축학사 (Bachelor of Architecture) 학위
* 대학원석사 : 대학원 건축석사 (Master of Architecture) 학위
별도의 표기가 없는 경우, 대학교 건축학사(B.Arch) 과정임
건축학교육인증의 인증현황은 이곳에서도 확인 가능함
위의 표는 2021년 7월 31일의 인증현황을 기준으로 함











파일:ACUCA 로고.svg

Association of Christian Universities and Colleges in Asia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계명대학교

한동대학교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고베여학원대학난잔대학도시샤대학
도쿄여자대학메이지가쿠인대학모모야마가쿠인대학세이난가쿠인대학
아오야마가쿠인대학오비린대학오사카여학원대학
간세이가쿠인대학호쿠세이가쿠인대학히로시마여학원대학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특별행정구
링난대학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대만
성 요한 과기대학
원자오외어대학중위안대학진리대학
징이대학창룽대학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놈멘슨 대학교댜나푸라 대학교두타와차나 기독교대학교마라나타 기독교대학교
사나타다르마 대학교수기야프라나타 가톨릭 대학교앗마자야 가톨릭 대학교
앗마자야 욕야카르타 가톨릭 대학교위댜만디라 가톨릭 대학교크리다와차나 기독교대학교
타라카니타 통신비서대학플리타하라판 대학교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데라살 대학교 다스마리나스라콘솔라션 대학교
미리암 대학성 폴 대학교
어섬션 대학웨슬리언 대학교 필리핀
필라메르 기독교대학교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아시아태평양 국제대학교어섬션 대학교태국기독교대학교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미얀마 신학대학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그리스도 대학교도크 여사 대학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창립 회원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1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3D3D3"
전 회원
* 숭전대학교로서 창립했다










[ 펼치기 · 접기 ]
-1 ||<-2><tablewidth=100%><table bgcolor=#ffffff,#191919><colcolor=#fff><colbgcolor=#0B6138> '''[[아시아|{{{#fff,#ddd 아시아}}}]]''' || ||<width=1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fff,#ddd 대한민국}}}]] ||<colcolor=#000,#fff> [[경남대학교]] · [[경희대학교]] · [[고려대학교]] · [[광주교육대학교]] · [[광주대학교]] · [[국민대학교]] · [[군산대학교]] · [[대구교육대학교]] · [[동서대학교]] · [[동아대학교]] · [[동의대학교]] · [[목포대학교]] · [[목포해양대학교]] · [[부경대학교]] · [[부산대학교]] · [[부산외국어대학교]] · [[상명대학교]] · [[서울교육대학교]] · [[서울여자대학교]] · [[성결대학교]] · [[성균관대학교]] · [[성신여자대학교]] · [[숙명여자대학교]] · [[아주대학교]] · [[연세대학교]] · [[이화여자대학교]] · [[인천대학교]] · [[제주대학교]] · [[포항공과대학교]] · [[한국항공대학교]] · [[한국해양대학교]] · [[한남대학교]] · [[한양대학교/서울캠퍼스|한양대학교]] · [[호서대학교]] || || [[파일:대만 국기.svg|width=20]] [[대만|{{{#fff,#ddd 대만}}}]] || [[국립가오슝제일과기대학]] · [[국립타이완대학|국립대만대학]] · [[국립대만예술대학]] · [[국립대만해양대학]] · [[국립연합대학]] · [[국립윈린과기대학]] · [[국립자이대학]] · [[국립중앙대학]] · [[국립타이중교육대학]] · [[난타이과기대학]] · [[둥하이대학]] · [[슈더과기대학]] · [[징이대학]] · [[창룽대학]] · [[카이난대학]] || || [[파일:몽골 국기.svg|width=20]] [[몽골|{{{#fff,#ddd 몽골}}}]] || [[몽골과학기술대학교]] || ||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width=20]] [[방글라데시|{{{#fff,#ddd 방글라데시}}}]] || [[국제경영농업기술대학교]] · [[다카 대학교]] · [[다포딜 국제대학교]] || || [[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20]] [[베트남|{{{#fff,#ddd 베트남}}}]] || [[베트남상매대학]] · [[호찌민 교육대학]] · [[호찌민 사범대학]] · [[호찌민 인문사회과학대학]] || || [[파일:인도 국기.svg|width=20]] [[인도|{{{#fff,#ddd 인도}}}]] || [[공업경영대학교]] || ||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20]] [[인도네시아|{{{#fff,#ddd 인도네시아}}}]] || [[11월 10일 공과대학교]] · [[가자마다 대학교]] · [[다르마프르사다 대학교]] · [[반둥 공과대학교]] · [[붕 하타 대학교]] · [[사탸와차나 기독대학교]] · [[시아쿠알라 대학교]] · [[아이를랑가 대학교]] · [[우다야나 대학교]] · [[인도네시아 대학교]] · [[하사누딘 대학교]]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일본|{{{#fff,#ddd 일본}}}]] || [[간사이국제대학]] · [[고베가쿠인대학]] · [[고베국제대학]] · [[고베대학]] · [[고베쇼인여자학원대학]] · [[고베시간호대학]] · [[고베시외국어대학]] · [[고베신와대학]] · [[고베약과대학]] · [[고베여자대학]] · [[고베여학원대학]] · [[고베예술공과대학]] · [[무코가와여자대학]] · [[소노다학원여자대학]] · [[아시야대학]] · [[오테마에대학]] · [[유통과학대학]] · [[간세이가쿠인대학]] · [[코난대학]] · [[코난여자대학]] · [[코시엔대학]] · [[효고교육대학]] · [[효고대학]] · [[효고현립대학]] · [[히메지대학]] · [[히메지독쿄대학]] ||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중국|{{{#fff,#ddd 중국}}}]] || [[광둥공업대학]] · [[광둥외어외역대학]] · [[난징대학]] · [[난카이대학]] · [[내몽골대학]] · [[닝보대학]] · [[다롄이공대학]] · [[다롄해사대학]] · [[둥베이사범대학]] · [[베이징공업대학]] · [[베이징대학]] · [[베이징사범대학]] · [[베이징외국어대학]] · [[베이징체신대학]] · [[상하이해양대학]] · [[쑤저우과기대학]] · [[쑤저우대학]] · [[쑤저우시립대학]] · [[연변대학]] · [[자오칭대학]] · [[저장대학]] · [[중국의과대학]] · [[중국인민대학]] · [[중산대학]] · [[지린대학]] · [[톈진공업대학]] · [[톈진외국어대학]] · [[푸단대학]] · [[하이난대학]] · [[하이난사범대학]] · [[홍콩중문대학]] · [[화난사범대학]] · [[화둥사범대학]] · [[후난과기학원]] || || [[파일:태국 국기.svg|width=20]] [[태국|{{{#fff,#ddd 태국}}}]] || [[라차팟 수안두싯 대학교]] · [[수라나리 공과대학교]] · [[쭐랄롱꼰 대학교]] · [[치앙마이 대학교]] · [[타이니치 공과대학교]] · [[탐마삿 대학교]] || || [[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20]] [[필리핀|{{{#fff,#ddd 필리핀}}}]] || [[AMA 대학교]] · [[마닐라 아테네오 대학교]] · [[미리엄 칼리지]] · [[아시아 트리니티 대학교]] · [[어셤션 대학교]] · [[엔데룬 칼리지]] · [[필리핀 대학교]] || ||<-2> '''[[아메리카|{{{#fff,#ddd 아메리카}}}]]'''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미국|{{{#fff,#ddd 미국}}}]] || [[곤자가 대학교]] · [[세인트 마틴 칼리지]] · [[애리조나 대학교]] · [[에버그린 주립 칼리지]] · [[오거스타나 대학교]] · [[와이오밍 대학교]] · [[워싱턴 대학교]] · [[이스턴 워싱턴 대학교]] · [[일리노이 대학교/어배너-섐페인 캠퍼스]] · [[피츠버그 대학교]] · [[하와이 대학교]] ||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브라질|{{{#fff,#ddd 브라질}}}]] || [[론드리나 주립대학교]] · [[파라나 연방기술교육센터]] · [[파라나 연방대학교]]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0]] [[캐나다|{{{#fff,#ddd 캐나다}}}]] || [[퀸스 대학교(캐나다)|퀸스 대학교]] || || [[파일:UN기.svg|width=20]] [[유엔|{{{#fff,#ddd 유엔}}}]][br]{{{-2 ([[코스타리카|{{{#fff,#ddd 코스타리카}}}]])}}} || [[평화대학교]] || ||<-2> '''[[오세아니아|{{{#fff,#ddd 오세아니아}}}]]''' ||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0]] [[뉴질랜드|{{{#fff,#ddd 뉴질랜드}}}]] || [[와이카토 대학교]] · [[캔터베리 대학교]] || || [[파일:호주 국기.svg|width=20]] [[호주|{{{#fff,#ddd 호주}}}]] || [[그리피스 대학교]] ·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 · [[머독 대학교]] · [[서호주 대학교]] · [[선샤인 코스트 대학교]] · [[에디스 코완 대학교]] · [[커틴 대학교]] · [[퀸즐랜드 공과대학교]] · [[퀸즐랜드 대학교]] · [[호주 노틀데임 대학교]] · [[호주해양대학]] ||










[ 펼치기 · 접기 ]
사업단
참여대학
BEST Alliance [5]#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
파일:히토츠바시.png 히토츠바시대학
파일:베이징대학 엠블럼.svg 베이징대학
Risk Management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
파일:고베 대학 마크.png 고베대학
파일:1200px-Fudan_University_Logo.svg.png 푸단대학
파일:Phra_Kiao.svg 쭐랄롱꼰 대학교
파일:라오스 국립대 문장.png 라오스 국립대학교
Joint Campus
파일:동서대학교 심볼.svg 동서대학교
파일:리츠메이칸 대학교 아이콘.png 리츠메이칸대학
파일:광동외어대.png 광둥외어외무대학
파일:jun_symbol_logo_basic_color.jpg 리츠메이칸APU
Energy & Environment
Science & Technology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
파일:규슈대학 엠블럼.svg 규슈대학
파일:상하이교통대학 엠블럼.svg 상하이교통대학
파일:UTM-LOGO.png 말레이시아 공과대학교
BESETO DDMP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
파일:도쿄대학 심볼마크.svg 도쿄대학
파일:베이징대학 엠블럼.svg 베이징대학
파일:싱가포르 국립대학 문장.svg 싱가포르 국립대학
Jus Commune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
파일:나고야대학 엠블럼.svg 나고야대학
파일:인민대학.png 중국인민대학
파일:싱가포르 국립대학 문장.svg 싱가포르 국립대학
파일:SKKU_Emblem.svg 성균관대학교
파일:칭화대.png 칭화대학
파일:상하이교통대학 엠블럼.svg 상하이교통대학
TKT
파일:KAIST_emblem.svg 한국과학기술원
파일:Tokyo_Institute_of_Technology.svg.png 도쿄공업대학
파일:칭화대.png 칭화대학
파일:NTS 아이콘.png 난양 공과대학교
ENGAGE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
파일:와세다대학 문장.svg 와세다대학
파일:베이징대학 엠블럼.svg 베이징대학
파일:NTS 아이콘.png 난양 공과대학교
SUAE Asia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
파일:규슈대학 엠블럼.svg 규슈대학
파일:퉁지대.png 퉁지대학
파일:싱가포르 국립대학 문장.svg 싱가포르 국립대학
NLIE Project
파일:SKKU_Emblem.svg 성균관대학교
파일:나가사키대학.png 나가사키대학
파일:산둥대학 엠블렘.jpg 산둥대학
파일:NTS 아이콘.png 난양 공과대학교
파일:라오스 국립대 문장.png 라오스 국립대학교
CAMPH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
파일:칭화대.png 칭화대학
파일:베이징대학 엠블럼.svg 베이징대학
파일:광동제약대 로고.png 광동제약대학
파일:오사카대학 엠블럼.svg 오사카대학
파일:수정됨_천진중의약대.png 톈진중의약대학
파일:상하이교통대학 엠블럼.svg 상하이교통대학
파일:마히돌 대학교 로고.png 마히돌대학교
Design Leadership
파일:연세미래.png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파일:치바대학 로고.png 치바대학
파일:저장대학.png 저장대학
파일:Seal_of_King_Mongkut's_University_of_Technology_Thonburi.svg.png 톤부리 킹몽꿋 기술대학교
파일:external/www.lib.shibaura-it.ac.jp/logo.png 시바우라공업대학
파일:마히돌 대학교 로고.png 마히돌대학교
파일:UTM-LOGO.png 말레이시아 공과대학교
KGC Int'l. Co-work
& Joint MFA Project
of Animation

파일:한예종_엠블럼.svg 한국예술종합학교
파일:도쿄예대.png 도쿄예술대학
파일:Communication_University_of_China_logo.png 중국전매대학
파일:180px-Silpakorn_University_Logo_02.png 실파콘대학교
Marine Science
& Technology ERASMUS

파일:한국해양대학교 심볼.svg 한국해양대학교
파일:도쿄해양대.png 도쿄해양대학
파일:Phra_Kiao.svg 쭐랄롱꼰 대학교
파일:말라야 대학교 문장.svg.png 말라야대학교
파일:상해해양대학.png 상하이해양대학
파일:Kasetsart_University_Logo.svg.png 카셋삿 대학교
파일:Bogor_Agricultural_University_(IPB)_symbol.svg.png 보고르 농과대학교
AFIMA Leaders Program
파일:부경대학교 엠블럼.svg 부경대학교
파일:나가사키대학 로고.jpg 나가사키대학
파일:중국해양대학 엠블렘.jpg 중국해양대학
파일:1920px-Logo_Rasmi_UMT.png 말레이시아 트랭가누대학교
A³I
파일:부경대학교 엠블럼.svg 부경대학교
파일:야마나시대학 로고.jpg 야마나시대학
파일:항저우전자과학기술대학 로고.jpg 항저우전자과학기술대학
파일:UniMAP.svg.png 말레이시아 펄리스대학교
The ACE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
파일:rikkyo university logo.png 릿쿄대학
파일:베이징대학 엠블럼.svg 베이징대학
파일:싱가포르 국립대학 문장.svg 싱가포르 국립대학
MGLD[1]
through Asian-Model Dentistry Consortium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
파일:도호쿠대학 엠블럼.svg 도호쿠대학
파일:베이징대학 엠블럼.svg 베이징대학
파일:Phra_Kiao.svg 쭐랄롱꼰 대학교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
파일:Sichuan_University_logo.png 쓰촨대학
파일:471px-UI_Logo.svg.png 인도네시아 대학교
DPP-EPM[2]
Contributing to Solving Global-Scale Issues

파일:한국교원대학교 심볼.svg 한국교원대학교
파일:쓰쿠바대학 로고.jpg 츠쿠바대학
파일:화둥사범대학 로고.png 화둥사범대학
파일:UTM-LOGO.png 말레이시아 공과대학교
파일:콘캔대학교 로고.png 콘캔 대학교
파일:1280px-Institut_Teknologi_Bandung_logo.svg.png 반둥 공과대학교
ICHRDP[3]
in Asia to Foster Inclusive Minds

파일:한국외국어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외국어대학교
파일:히로시마대학 로고.png 히로시마대학
파일:BNU_logo_2.png 베이징사범대학
파일:Logo_Almamater_UPI.png 인도네시아 교육대학교
파일:창춘대 로고.jpg 창춘대학
파일:Kasetsart_University_Logo.svg.png 카셋삿 대학교
FHR[4] for C-Zeroization in Asia Countries
파일:KMOU_LOGO.png 한국해양대학교
파일:나고야대학 엠블럼.svg 나고야대학
파일:상하이교통대학 엠블럼.svg 상하이교통대학
파일:Phra_Kiao.svg 쭐랄롱꼰 대학교
종료된 사업단
Common Good
파일:SKKU_Emblem.svg 성균관대학교
파일:오카야마대학.png 오카야마대학
파일:지린대학.png 지린대학
IGPTE
파일:서울교육대학교 교표.svg 서울교육대학교
파일:학예대.png 도쿄학예대학
파일:BNU_logo_2.png 베이징사범대학
Campus Asia CJK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
파일:도쿄대학 심볼마크.svg 도쿄대학
파일:베이징대학 엠블럼.svg 베이징대학
[1] Multimodal Global Leaders Development [2] Development Program for Professionals in Educational Policy Management [3] International Collaborativ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Program [4] Fostering Humans Resources [5] 2023년 기준 복수학위, 교환학생, 교류행사 등 서울대, 히토츠바시, 북경대 3개교 간 적극 진행 중이며 캠퍼스아시아와 별개로 폐지설이 돌았으나 적어도 2025년까지는 변동 사항 없을 예정




International Student Exchange Program Community>
국제교환학생 프로그램




















연세대학교
延世大學校
Yonsei University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교훈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1]
VERITAS VOS LIBERABIT



슬로건

-[2]
동물
독수리
교색

YONSEI BLUE
[3]
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분류
사립대학, 4년제 종합대학
설립자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4]
개교
1885년 4월 10일 (139주년) 광혜원
종교
개신교[5]
총장
제19대 서승환 (경제학부)
재단 및 법인
학교법인 연세대학교




학부생


서울
17,412명(2022년)

미래
6,499명(2022년)

대학원생


서울
11,528명(2022년)[6]

미래
991명(2022년)[7]




교원


서울
5,426명(2022년)[8]

미래
940명(2022년)[9]

직원


서울
1,032명(2022년)

미래
233명(2022년)

대학기본역량진단


서울
일반재정지원 선정대학(2021년)

미래
일반재정지원 선정대학(2021년)




본교


신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 (신촌동)[10]

국제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과학로 85 (송도동)

삼애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중산로 160-30 (중산동)


매지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흥업면 연세대길 1 (매지리)

일산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일산로 20 (일산동)

[ 지도 펼치기 ]




신촌캠퍼스








국제캠퍼스
삼애캠퍼스








매지캠퍼스
일산캠퍼스

웹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국문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영문
소셜미디어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Threads 아이콘.svg




1. 개요[편집]


연세대학교의 경관, 홍보 영상

[ 펼치기 · 접기 ]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

VERITAS VOS LIBERABIT

연세대학교(, YONSEI UNIVERSITY)는 학교법인 연세대학교 산하의 4년제 사립 종합대학이다.

개신교 산하 미션스쿨로, '너희가 내 말에 거하면 참 내 제자가 되고 진리를 알지니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는 교훈을 바탕으로 진리와 자유의 정신을 체득한 지도자를 양성한다는 건학 정신을 가지고 있다.

1977년 12월 28일문교부로부터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원주분교의 설립을 인가 받았다.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에 대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고.


2. 역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연세대학교/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연세대학교는 1885년 설립된 광혜원(제중원)[11]1915년 설립된 조선기독교대학[12]에 연원을 두고 있다. 조선기독교대학을 모체로 하는 연희전문학교1946년에 연희대학교로 승격, 광혜원을 모체로 하는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1947년에 세브란스의과대학으로 승격하였고, 1957년에 연희대학교와 세브란스의과대학이 통합하여 연세대학교가 되었다.

3. 상징[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연세대학교/상징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학교 생활[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연세대학교/학교 생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1. 학사제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연세대학교/학사제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2. 총학생회[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연세대학교/총학생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3. 교환학생[편집]





4.4. 학회[편집]





4.5. 동아리[편집]





4.6. 행사[편집]




4.6.1. 연고전[편집]




4.6.2. 응원가[편집]





5. 학부대학원[편집]






2022년 기준 신촌캠퍼스국제캠퍼스에 19개 단과대학 및 대학원, 7개 전문대학원, 9개 특수대학원이 설치되어 있다.


5.1. 입학[편집]





6. 운동부[편집]




7. 캠퍼스[편집]


연세대학교 본교를 구성하는 캠퍼스는 신촌, 국제, 삼애 총 세 개이다. 본교를 통틀어 "서울캠퍼스"라고 부르기도 한다.[13]

  • 신촌캠퍼스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에 위치한 메인 캠퍼스이다. 경우에 따라 의료원도 캠퍼스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아래 관련기관 문단 참조.

  • 국제캠퍼스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과학로 85에 위치한 이원화 캠퍼스이다. 송도국제도시 개발에 따라 설립되었으며 지명을 따서 송도캠퍼스라고 부르기도 한다. 음악대학을 제외한 서울캠퍼스 신입생 전원이 이곳에서 생활하며 RC교육을 이수하게 된다. 약대, 글로벌융합공학부, 국제대 일부 학과는 이곳에서 4년간 생활한다.

  • 삼애캠퍼스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중산로 160-30에 자리하며, 삼애교회, 운동장, 천문대 등의 시설이 있다. 강의동도 없는 캠퍼스이기 때문에 교육기능은 사실상 천문대 이외에는 없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7.1. 생활협동조합[편집]


연세대학교 생활협동조합

연세대학교 생활협동조합은 1992년에 설립되었으며, 5,000원의 출자금을 납부한 학생과 교직원의 경우 조합원이 될 수 있다.[14] 다만 조합원이 아니라고 해서 생활협동조합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생협이 운영하는 모든 교내 매장 및 자판기는 이윤 창출이 아닌 학생들의 복리 증진에 목적이 있기 때문에, 이익금은 출자자들인 학생들과 교직원에게 가격하락의 형식으로 되돌아가게 된다. 따라서 학교 내 매장 상품가격은 외부보다 월등히 저렴하다. 또한 생활협동조합 운영 잉여금의 일부는 총학생회 생협장학기금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생협의 일부 매장은 외부 업체가 운영하는데, 예를 들어 학생회관 지하의 카페테리아(맛나샘)와 1층의 부를샘은 삼성 웰스토리에서 위탁 운영하고 있다.

각 캠퍼스별 생활협동조합에서 운영하는 매장 목록은 아래 참조.

[ 신촌캠퍼스 생협 매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 학생회관
    • 아름다운샘: 미용실[1]
    • 하얀샘: 직영 편의점
    • 빌리샘[2]: IT 기기 렌탈
    • 고를샘: 식당(파스타, 김밥 등등)[3]
    • 맛나샘(구 Cafeteria): 식당(당일 메뉴[4] 및 분식[5])
    • 부를샘(구 프레프레): 식당(한식, 중식, 일식, 양식 등)
    • 카페 트레비앙(학관점): 카페[6]
    • 푸른샘
    • 밝은샘: 안경점

  • 중앙도서관
    • 솟을샘: 도서관 간이 매점. 카페는 있지만 식사류는 팔지 않는다. 다만 식당처럼 테이블은 있어서 편의점에서 샌드위치 등을 사 끼니를 해결하기도.
    • 트레비앙(신중도옥상점): 카페

  • 제2공학관
    • 한울샘: 매점[7]

  • 공학원
    • 한울FnB: 평화의집을 이어 받은 식당인 휴나지움을 이어받은 식당으로 공슐리를 제공한다. (생협소속이 아니라서 학생들의 외부음식 반입을 금지하고 있다. 2020. 9.14일 부로 영업 종료 [8])
    • 써브웨이
    • 공차
    • 오가다

  • 대우관
    • 상록샘: 매점 겸 식당(돈까스, 볶음밥, 비빔밥, 스낵류)

  • 위당관
    • 청경관[9]: 매점 겸 식당(스파게티, 한식, 김밥, 간식)

  • 과학관
    • 이슬샘: 매점

  • 한경관
    • 어울샘: 교직원식당

  • 백양누리
    • 알뜰샘: 문구점, 서점
    • 잠바주스
    • 마호가니
    • 스타벅스
    • 샐러디
[1] 복불복으로 블루클럽급의 저질 머리를 만들어 놓는다 카더라고 하여 깎을샘 혹은 "파괴샘"이라는 비하하는 의미의 별칭으로 불리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실제 이용해본 학생의 말로는 결과물도 나쁘지 않다고 하며, 따라서 자주 이용하는 학생도 있는 듯. 다만, 가격이 저렴한만큼 머리는 직접 감아야 하며, 직원의 도움을 받으려면 추가금을 내야 한다.[2] 진짜로 입구에 Billy Sam이라 적혀있다. 현재는 미운영.[3] 2000년까지는 일부 기사식당이나 고속도로 휴게소처럼 밥과 갖가지 반찬들을 접시단위로 담아놓고 자기가 먹고싶은걸 골라서 계산한 다음 나와서 먹는 식당이었기 때문에 '고를'샘이었으나 2003년 이후 그냥 일반적인 형태의 식당으로 바뀌었다.[4] 백반, 퓨전 등 4가지 카테고리를 고를 수 있고, 각각 당일의 메뉴가 나온다.[5] 김밥, 주먹밥, 라면 등 간편식 위주.[6] 글로벌라운지 옆에 그라치에라는 테익아웃카페도 있었지만 사라졌다.[7] 공대에 매점이 생길때 이름공모를 했는데, 공대샘, 쉬샘, 오샘, 쳐드샘, 수학샘, 과외샘, 덧샘, 뺄샘, 곱샘, 침샘, 땀샘 등의 의견이 다수 나왔지만 여러모로 무난한 한울샘으로 선정[8] 휴나지움 시절 써브웨이가 들어선 이후 매출이 꽤 감소했다고 한다.[9] 샘으로 끝나지 않는 이유는 1980년대까지 실제로 근처에 청경관이라는 매점 겸 식당 건물이 있었는데, 위당관 때문에 철거되었고 이를 대체하려고 만든 곳이기 때문이다.

[ 국제캠퍼스 생협 매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 언더우드기념도서관
    • 가온샘: 기념품점
    • 샘나샘: 옷가게
    • 굴리샘: 자전거 대여
    • 빌리샘: IT 기기 렌탈 국제캠퍼스 지점(예약만 가능)[1]
    • 인헤어: 미용실
    • 트레비앙: 카페(지하 Y-Plaza)
    • 나눌샘: 식당 (맛나샘느낌의 식당)
    • 하늘샘: 편의점
    • 본뜰샘: 복사, 출력
    • 독수리 안경: 안경점

  • 송도1학사
    • 델리코: 기존에 트레비앙 1호 점이 지하에 있었는데, 2013년 12월 부터 델리코라는 카페로 교체 되었다. 대부분 메뉴의 가격은 동일하지만, 메뉴가 약간씩 달라졌다.

  • 송도2학사
    • Cafe N: 트레비앙과 거의 같은데 이름만 다른 카페라고 보면 된다. 1층 식당 안에 있다.
[1] 참고로 빌리샘에서는 한학기 20만원도 안 되는 가격에 노트북을 대여할 수 있다. 1년 내에 군대에 갈 것 같은데 노트북 구입이 아깝다면 빌리샘을 적극 이용하자.



8. 연세인[편집]



8.1. 총동문회[편집]


연세대학교 총동문회는 서울/미래캠퍼스가 통합운영되고 있으며 학부생이나 대학원생이 졸업을 하게 되면 자동으로 총동문회에 정회원으로 가입이 된다.[15] 정회원은 의결권/선거권피선거권을 가지고 회비(연회비, 평생회비) 납부 의무가 있다고 하지만 회비를 의무적으로 내지 않아도 된다. 다만 회비의 경우에 연회비(3만원 - 1년 기한), 평생회비(50만원 - 평생 기한) 에 따라 다르지만 세브란스병원 검진센터 일정 비율 할인, 중앙도서관 출입, 동문회 주차장 무료이용 혜택 등이 주어진다.


8.2. 출신 인물[편집]





8.3. 총장[편집]





9. 국제 평가[편집]





10. 관련기관[편집]



10.1. 재단 및 법인[편집]





10.2. 연세대학교 의료원[편집]



연세대학교 의무부총장 겸 의료원장 산하 행정 조직. 실질적인 의미의 캠퍼스라기보다는 단순 학교 행정상의 분류로 볼 수 있지만, 일단 연세대학교 공식 브로슈어에는 캠퍼스로 구분되어 있다. 산하에 의과대학, 치과대학, 간호대학의 3개 대학과 보건대학원, 간호대학원의 2개 대학원, 그리고 세브란스병원, 연세암병원, 강남세브란스병원, 용인세브란스병원, 치과대학병원 등 모든 연세대학교 부속 진료기관이 속해 있다.

10.3. 연세우유[편집]





10.4. 노동조합 [편집]




11. 사건사고[편집]





12. 관련 문서[편집]





[1] 원문은 코이네 그리스어로 ἡ ἀλήθεια ἐλευθερώσει ὑμᾶς. 요한복음 8장 32절에서 예수가 그의 신도들에게 하는 말이다. 후술하겠지만, 미션스쿨이기 때문에 모토에서도 종교적 성향이 드러난다. 라틴어로 Veritas vos liberabit라고도 하며, 연세대학교와 마찬가지로 세계적으로 많은 대학들이 모토로 쓰고 있는 글귀이다.[2] 총장이 새롭게 부임하면 새로운 슬로건을 사용하면서 학교 공식 자료에 함께 적어 넣는 것이 전통인데, 제19대 서승환 총장의 부임 이후에는 제정된 것이 없다. 따라서 기존에 슬로건을 넣던 자리에 교훈을 대신 영어로 사용하는 중.[3] 밝은 감청색(#4169E1) ~ 짙은 군청색(#002366)에 해당하는 로열 블루 계열의 색상이다. 활용에 따라 조금씩 색상 변화가 있는 편이며, 교표에 활용되는 색상은 #003876.[4] 연세대학교의 전신 연희전문학교(경신학교 대학부)의 설립자, 건국훈장 대통령장 서훈[5]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총회, 기독교대한감리회[6] 석사과정 8,087명 + 박사과정 3,441명[7] 석사과정 696명 + 박사과정 295명[8] 학부 (전임 1,576명, 비전임 3,050명), 대학원 (전임 155명, 비전임 645명)[9] 학부 (전임 400명, 비전임 515명), 대학원 (전임 0명, 비전임 25명)[10] 서대문구 연희동, 신촌동, 대신동, 창천동에 걸쳐져 있다.[11] 다만 이에 대해서는 연세의료원서울대학교병원 사이에 정통성 논란이 있었다. 자세한 내용은 제중원 문서 참조.[12] 경신학교 대학부, Chosen Christian College[13] 이 서울캠퍼스라는 명칭은 특히 대학교 입시 과정에서 사용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연세대학교 입학처와 학칙에서 입학 정원을 발표할 때 사용하기 때문. 이외에는 평상시에 "신촌캠퍼스"라고만 말하여도 본교 전체를 지칭하는 것으로 통용된다.[14] 등록금 납부 시 자율적으로 납부 여부를 선택할 수 있으며, 출자금은 졸업 시에 반환된다.[15] 총동문회 가입하고 싶지 않을 경우 탈퇴 가능하다. 총동문회 연락처인 02-365-0631~4로 연락해서 총동문회 탈퇴 의사 밝히면 된다. 탈퇴 못해준다거나 아니면 시간을 끄는 경우엔 국민신문고로 교육부에 민원 넣으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