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u!/공식 아티스트

덤프버전 :

분류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osu!


파일:osunewlogo.png

메달 · 모드 · 랭킹 · 매니아 · 게이머 · 비판 · 사건 사고 · osu! World Cup · 타 플랫폼 (osu!droid · osu!stream · opsu!)

NEW


1. 개요
2. 명단
2.1. 숫자 및 기호
2.2. A
2.3. B
2.4. C
2.5. D
2.6. E
2.7. F
2.8. G
2.9. H
2.10. I
2.11. J
2.12. K
2.13. L
2.14. M
2.15. N
2.16. O
2.17. P
2.18. R
2.19. S
2.20. T
2.21. U
2.22. V
2.23. W
2.24. X
2.25. Y
2.26. Z
2.27. Æ




1. 개요[편집]


공식 아티스트 페이지

공식 아티스트들은 osu!와 협력하여 osu!의 오리지널 곡을 작업 중인 분들입니다. osu!팀은 귀르가즘이 오고 비트맵으로 만들기에 제격인 곡들 및 그 아티스트들을 엄선하였습니다. 이 공식 아티스트들 중 몇몇은 이미 osu!에서 사용될 고유한 곡을 작곡하기도 했습니다.

이 곳에 실린 모든 곡들은 타이밍만 맞춘 .osz 파일로 제공되며, 공식적으로 osu! 또는 osu!와 관련된 콘텐츠에 사용되도록 허가되었습니다.


악곡 저작권 문제가 심각해진 만큼 제작자도 아티스트와 직접적인 계약을 통해 여러 작곡가들을 영입하고 있다. 2021년 1월 16일 기준으로 134명, 3143곡으로 페이지에 올라온 곡들은 osz 형태로 무료로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BPM 및 오프셋 타이밍 포인트가 맞춰져 있다.

주의할 점은 페이지에 있는 아티스트라도 Bangin' Burst, larva와 같은 상용 리듬게임에 제공 목적으로 작곡된 곡들은 사용할 수 없으니 주의해야 한다.[1] 그리고 Mapper's Guild 목표로 매핑한다면 그 리스트 내의 악곡만 사용이 가능하다.

2021년 중순 들어서 상당히 적극적인 영입 행보를 보이고 있는데, 거진 3~4일 간격으로 FA 영입 소식이 올라오고 있다. 소문에 따르면 이미 상당수의 작곡가들과 계약을 완료했으며, 3~4일 간격을 지키면서 공개하고 있기 때문에 아직 공개되지 않은 FA도 있다고 한다. 항목을 보면 전세계의 다양한 작곡가들이 눈에 띄며, 코나미비마니 시리즈세가게키츄마이등 내로라하는 유명 리듬게임 프랜차이즈에서 활동하는 아티스트들도 다수 있다.


2. 명단[편집]



2.1. 숫자 및 기호[편집]



2.2. A[편집]


  • A-One
  • A.SAKA
  • A?
  • AAAA
  • ABSOLUTE CASTAWAY
  • Abuse
  • Aether
  • Aethoro
  • Aethral
  • Agressor Bunx
  • Aiobahn
  • Aitsuki Nakuru
  • Aiyru
  • Akira Complex[2]
  • Akiri
  • ALEPH
  • Alkome
  • Allegaeon
  • Amidst
  • Andromedik
  • Annabel
  • antiPLUR / Internet Death Machine
  • Aoi
  • Aquellex
  • aran
  • Archspire
  • Ardolf
  • ARForest
  • Ariabl'eyeS
  • Ashrount
  • Atavistia
  • Avizura

2.3. B[편집]



2.4. C[편집]



2.5. D[편집]


  • dark cat
  • Darkney
  • DGK
  • Dictate[3]
  • Dimrain47
  • Disasterpeace
  • Disko Warp
  • DJ Genki / Gram
  • DJ Raisei
  • Down
  • Dual Alter World

2.6. E[편집]


  • ELFENSJóN
  • Emille's Moonlight Serenade
  • EmoCosine
  • Empty Peperoncino
  • EPICA
  • Erik McClure
  • Extra Terra
  • Exyl

2.7. F[편집]



2.8. G[편집]


  • garlagan
  • Geoxor
  • Getty
  • ginkiha
  • glass beach
  • Good Kid
  • goreshit
  • Grant
  • Grynpyret
  • GYZE

2.9. H[편집]



2.10. I[편집]


  • I love you Orchestra
  • IAHN
  • iFeature
  • II-L
  • Imperial Circus Dead Decadence
  • Imy
  • in love with a ghost
  • Inferi
  • Irreversible Mechanism

2.11. J[편집]


  • James Landino
  • Joe Ford
  • JOYLESS
  • Jun Kuroda

2.12. K[편집]


  • kakichoco
  • Kanone
  • Kanpyohgo
  • katagiri
  • KINEMA106
  • KIRA
  • kiraku
  • Kitazawa Kyouhei
  • Klayton / Celldweller
  • KNOWER
  • KOAN Sound
  • Kobaryo
  • Kola Kid
  • Koven
  • Kuba Oms
  • Kurokotei[4]
  • Kurubukko

2.13. L[편집]


  • La prière
  • LeaF
  • LEAF XCEED Music Division
  • Lexurus
  • Liar-soft
  • Lifetheory
  • Lime / Kankitsu
  • linear ring
  • litmus* / Ester
  • Loki / Thaehan
  • love solfege
  • LukHash
  • Lundy
  • luvlxckdown
  • LV.4

2.14. M[편집]


  • m108
  • Maduk
  • Mage
  • Magnetude
  • Mameyudoufu
  • Marmalade butcher
  • Masahiro "Godspeed" Aoki
  • Matduke
  • MDK
  • meganeko
  • METAROOM
  • Michael Cera Palin
  • Mili
  • MIMI
  • miraie
  • MisoilePunch♪
  • MisomyL
  • Mitsuki / RINYA
  • Mitsukiyo[5]
  • Monstercat
  • Morimori Atsushi
  • MOtOLOiD
  • MuryokuP / Powerless
  • MUZZ
  • my sound life
  • MYLK
  • MYUKKE.

2.15. N[편집]


  • Nakanojojo
  • nanobii
  • Nashimoto Ui
  • Native Construct
  • Natsume Itsuki
  • Ne Obliviscaris
  • Neko Hacker
  • nekodex[6]
  • Nekrogoblikon
  • Never Say Die
  • Nile
  • NILFRUITS
  • Nitro Fun
  • NIWASHI
  • Noisia
  • NOISZ[7]
  • nora2r
  • Numtack05

2.16. O[편집]


  • O2i3
  • OISHII
  • Omoi
  • onumi
  • orangetle / Yu_Asahina
  • Origami Angel
  • Our Stolen Theory
  • ovEnola

2.17. P[편집]



2.18. R[편집]


  • Rabbit House[8]
  • Raimukun
  • Rameses B
  • Receptor
  • Redside
  • rejection
  • Reku Mochizuki
  • Release Hallucination
  • Rezonate
  • Ricky Montgomery
  • Rin / Function Phantom
  • RiraN
  • Risa Yuzuki
  • Rish
  • Rising Sun Traxx
  • Rivers of Nihil
  • Riya
  • rN
  • Rohi
  • Rootkit
  • Rusty K

2.19. S[편집]



2.20. T[편집]


  • T & Sugah
  • Tanchiky
  • Task Horizon
  • Tasty
  • technoplanet
  • Tedjimo yomigY
  • Terminite
  • Tenchio
  • Thank You Scientist
  • The Flashbulb
  • The Gentle Men
  • tieff
  • Tiny Waves
  • tokiwa
  • Tokyo Machine
  • Toromaru
  • Trial & Error
  • Umeboshi Chazuke

2.21. U[편집]


  • UNDEAD CORPORATION[9]
  • URBANGARDE
  • USAO

2.22. V[편집]


  • Vansire
  • Vektor
  • Venetian Snares
  • VINXIS
  • Virtual Self
  • Voicians

2.23. W[편집]



2.24. X[편집]


  • Xanthochroid
  • xi[10]

2.25. Y[편집]



2.26. Z[편집]



2.27. Æ[편집]


  • Æther Realm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5-21 02:46:09에 나무위키 osu!/공식 아티스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예를 들어 モリモリあつし의 경우에는 FA 리스트 이외 곡을 명시적으로 사용 금지하고 있다.[2] 2023년 6월 26일 부고 소식이 전해지면서 추모를 위해 한시적으로 stable 클라이언트 첫 곡으로 Reality Distortion이 재생된다.[3] osu!의 할로윈 테마인 ghouls!를 작곡했다.[4] Featured Artist가 되기 이전에 Galaxy Collapse의 작곡 및 태고 맵을 직접 만들어 랭크시킨 적이 있다.[5] Unwelcome School블루 아카이브에 곡을 투고한 작곡가.[6] 처음 osu!를 시작하면 나오는 circles! 곡을 작곡했다.[7] NOISZ re:||VERSE의 OST 8곡 외 총 20곡 제공[8] FREEDOM DiVE - FOUR DIMENSIONS의 매핑을 하였다.[9] Everything will freeze, Flowering Night Fever 등을 작곡했다.[10] 다른 아티스트들은 번호가 FA 등록순인 반면 xi는 osu!의 유명한 밈인 727에서 따와서 번호가 727 이다. 마침 727pp가 발생한 2곡 모두가 xi 작곡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