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roboros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외의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우로보로스 문서
우로보로스번 문단을
우로보로스#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Geometry Dash의 온라인 레벨: Ouroboros


1. Geometry Dash[편집]



1.1. Geometry Dash의 온라인 레벨: Ouroboros[편집]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072619
56703691
2분 37초
267211
2019.07.26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116.69
데몬리스트 점수(53%) (공식포럼)
29.17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74.725
Ouroboros by ViPriN and more[* AbstractDark, Terron, Rustam, Darwin, TheDevon, FerdeFunky, Desticy, ChaSe, Viprin (Gameplay by TrusTa), G4lvatron (Gameplay by TrusTa), Osiris GD, Loserchik67 (Gameplay by TrusTa), ChaSe (again)], published by ViPriN, verified by Technical

All beings are born from nothing, and to nothing they shall return. This inevitable truth is governed by one beast. Verified by Technical49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공식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53% 이상이 필요합니다.
13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8개가 100%입니다.
한국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48% 이상이 필요합니다.
2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1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steven
100%
Youtube
Rainstorm[!]
100%
Youtube
BrianTheBurger
100%
Youtube
Dolphy
100%
Youtube
stardream999
100%
Youtube
Wolfy
100%
Youtube
nSwish
100%
Youtube
Aether22
100%
Youtube
Ozzy612
88%
Youtube
Gizbro
82%
Youtube
RicoLP
69%
Youtube
Shia
69%
Youtube
ItzMezzo
58%
Youtube
VoTcHi[?]
56%
Youtube


- Viprin이 주도하여 만든 지옥 테마의 합작이자, 2.1 Awards 데몬 합작 부분 1위를 한 명작.

기존 지옥 테마의 맵들과는 다르게 보라색, 주황색, 빨간색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색을 통일한 탓인지 기존의 Digital Descent 등에서 재기되어왔던 문제점인 파트간의 핏은 역대 합작 데몬들 중에서도 아주 잘 맞는다. 그 외에도 멤버들의 라인업이 상당한데, 훌륭한 디자인으로 매우 주목을 받지만 맵을 아주 가끔 만들고 합작에도 별로 참여하지 않는 유저인 Namtar이나 Subsonic, Digital Descent의 파트로 유명한 TheDevon을 비롯해서 많은 유명 크리에이터들이 참여했다. Viprin의 말대로 이 맵에는 드래곤 보스가 있으며, Rustam의 파트에 잠깐 등장하더니 마지막 파트[1]에서 보스파이트로 등장.

첫 프리뷰에서는 TheDevon의 파트까지 공개되었으며, 5개월 반만인 2018년 3월 18일에 두 번째 프리뷰가 나왔다. #[2]

두번짜 프리뷰 당시 공개된 Viprin의 파트는 평소와는 다르게 Chronos의 파트를 연상하게 하는 엄청난 마법진 아트를 보여줬다. 또 loserchik도 아트 크리에이터로 알려진 만큼 훌륭한 아트를 보여주기도 했다. 다만 앞부분이 디자인 위주로 진행된 것에 반해 Viprin은 마법진 배경을 이용해 다른 파트들과 맞지 않다는 평가를 받고, loserchik은 아트 및 테마 위주의 구간이 나왔기 때문에 핏 문제에 대해서 걱정된다는 의견이 있었다.[3]

첫 프리뷰 당시 Viprin이 Verify와 업로드는 TrusTa가 맡을 것이라고 말했다. 여기서 주목할 점으로는 Artificial Ascent를 비롯한 Viprin의 여러 합작을 보면 다른 사람이 주도했으나 주최자가 접는 등 여러 사정으로 인해 Viprin이 대신 업로드 하는 경우가 많았다는 점이다. [4] 이외에도 Trusta는 Viprin과 Loserchik의 파트 레이아웃을 제작하기도 했다.

그리고 2019년 1월 6일, 세번째 프리뷰가 공개되었다. Viprin의 합작들 중에서도 매우 느리게 작업되었으나 그만큼 훌륭한 레벨로 제작되었다는 평. Trusta가 WOW를 마지막으로 접으면서 Knobbelboy가 베리파이를 하게 되었다.[5] 그 외에도 자잘한 멤버 교체가 이루어졌다.

2019년 3월 9일 49%를 간 영상을 올렸다. 그의 말대로는 Bloodlust보다는 어렵지 않더라도 최소 PPF 이상이라고 한다.
2019년 3월 24일 65-100, 52-93%를 갔다. 여기에서 보이듯 보스전은 Rustam파트의 드래곤이 맞다.
2019년 7월 14일 71%를 달성하였다.

그러나 71% 영상을 끝으로 Knobbelboy가 베리파이 권한을 공식적으로 포기하고 Technical49에게 물려줬다.[6]

Knobbelboy가 베리파이 권한을 포기하자 그 다음날 Technical49는 31, 67-100%를 갔다. 그리고 7월 18일 76%를 갔다!

이후 Technical49가 90%까지 간 것으로 보아 이전까지 이 맵이 겪었던 수많은 멤버 교체 등의 고난도 곧 끝날 것으로 보였고, 2019년 7월 26일 Technical49가 10351 어템을 사용하여 베리파이했다. [7] 그의 말로는 Gamma보다 쉬운 10위급 난이도의 익데라 한다.

8월 2일, Ragnarok의 밑인 11위에 배치되었다.

여담으로 곡이 제작자 요청으로 게임 내에서 사용 불가였었다. (원곡 : Dan Johansen - Synergetic Enigma) 뉴그라운즈 제작자 채널에 Ouroboros에 이 음악이 사용될 것이다라고 올린 것을 보면 Time Leaper처럼 맵이 양산되는 것을 막기 위해 사용을 막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이 맵이 올라간 이후 사용이 가능해졌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762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762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5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1 14:00:28에 나무위키 Ouroboros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Chase가 담당하였다.[2] 이때 멤버에 변동이 생김을 알렸는데, EpicLucas와 Knobbelboy가 퇴출되고 Knobbelboy의 자리를 ChaSe가 채웠다. EpicLucas는 진작에 게임을 접었으며, Knobbelboy는 안 그래도 해야 할 프로젝트가 많다는 점에서 부득이하게 합작을 포기하게 된 듯하다.[3] 이 부분은 이후 완성본이 공개되자 어느 정도 해결되었다.[4] 본인이 이에 대한 영상을 만든 적도 있었고 유저들 사이에서는 밈으로 퍼졌을 정도이다.[5] God Eater 베리파이 영상에서 밝힌 바로는, Knobbelboy가 Viprin에게 Ouroboros 첫 프리뷰때 Ouroboros를 베리파이 해도 되겠냐고 물어봐서 Viprin은 Bloodlust와 God Eater를 베리파이 한다면 가능하다고 답했다고 한다. 이에 Knobbelboy는 트위치에 Ouroboros 진행상황을 올리겠다고 했다.[6] 3주간의 미국 여행으로 인해서 이 기간동안 이 맵을 플레이할 수 없기 때문에 부득이하게 베리파이를 포기한 것으로 보인다.[7] 베리파이 하기 약 2시간 전에 95%라는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