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MBY Rails/게임 플레이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NIMBY Rails

1. 개요
2. 건설
2.1. 선로 및 건물 건설 모드
2.2. 선로 건설 모드
2.3. 승강장 건설 모드
2.4. 분기기 건설 모드
2.5. 차량기지 건설 모드
2.6. 건물 건설 모드
2.7. 신호 설치 모드
2.8. 신호 선택 및 편집 모드
3. 노선 설정 모드
3.1. 노선 목록
3.2. 노선 상세
4. 열차 구매 및 편집 메뉴
4.1. 1.4 이전
4.1.1. 열차 보기 및 편집 메뉴
4.1.2. 열차 다중 선택 및 편집 메뉴
4.1.3. 새 열차 구매 메뉴
4.2. 1.5 이후
4.2.1. 열차 보기 및 편집 메뉴
4.2.1.1. 시간표 편집 탭
4.2.1.2. 그룹 탭
4.2.2. 새 열차 구매 메뉴
4.2.3. 새 커스텀 열차 구매 메뉴
5. 신호
5.1. 일방통행 신호
5.2. 정차 위치 신호
5.3. 폐색 종료 신호
5.4. 경로 신호
5.5. 통행금지 신호
6. 기타


1. 개요[편집]


게임 플레이는 싱글/멀티로 나뉘어져있고, 돈무한모드와 비무한모드로 나뉘어서 게임플레이를 할 수 있다.

이곳에서 서술되는 단축키들은 외우지 않고 UI의 버튼을 사용해도 된다.


2. 건설[편집]


F2를 눌러 건설 모드에 들어갈 수 있다.
  • 건설을 하면 청사진이 그려지며, 청사진 건설 기능을 통해 건설해야 한다.
    • 청사진 상태의 선로에서는 열차가 주행할 수 없다. 선로가 안지어졌기 때문이다.
    • 이미 건설된 선로는 편집할 수 없다.
  • 선로는 고속 (350 km/h), 중속 (160 km/h), 그리고 트램 (60 km/h)[2]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선로를 -∞, -3, -2, -1, Ground, +1, +2, +3, +∞의 7개 층에 건설할 수 있다.
    • 고속 선로가 제일 비싸고, 그 다음이 중속, 그 다음이 트램이다.
    • 지하 선로(-∞ 에서 -1)가 가장 비싸고, 그 다음이 고가(+1 에서 +∞), 그리고 그 다음이 지상이다.
    • 곡선 선로를 건설하게 되면 속도가 감소하게 된다. 원래는 시속 350 km로 주행할 수 있는 고속 선로라고 해도 급커브를 집어넣으면 시속 50 km 미만으로 떨어지기도 한다.[1]
  • 철도를 건설하고 철거할 수는 있지만, 지도의 도로나 하천 등은 처음부터 고정되어있어서 변경하지 못한다. 이 때문에 기존 철도가 있었어서 '비워져'있는 자리가 아닌 곳에 지상 철도를 짓기가 꽤 까다로울 수 있다.
  • J를 통해 단선/복선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3]
    • 단선 모드에서는 선로 가닥 하나하나를 별도로 이을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복복선 선로도 건설 가능하다.
    • 복선 모드에서는 선로 뭉치를 통째로 건설할 수 있으며, 복복선 이상 선로도 Node parenting 기능을 통해 묶으면 한번에 건설할 수 있다.
    • 차량기지 건설 모드는 이 설정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2.1. 선로 및 건물 건설 모드[편집]


M을 눌러 건물 및 선로 선택 및 편집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Move)
  • 선로 노드에 클릭을 하여 선로를 선택할 수 있다.
  • 건물 중앙에 표기되는 노란색 네모를 클릭하여 건물을 선택할 수 있다.
  • 왼쪽 위에 표시되는 청사진 메뉴를 통해 자신이 지은 모든 청사진 건설하기(멀티전용), 선택한 청사진 건설하기, 및 모든 청사진 건설하기를 할 수 있다.
  • 노드가 아닌 곳에 클릭하고 드래그하여 다중 선택할 수 있다.
  • 이미 건설한 선로나 건물을 선택한 후 Insert를 눌러 다시 청사진으로 전환할 수 있다.(단축키로만 가능하다.)
  • 아직 청사진 상태의 선로라면 노드를 클릭하고 드래그 하여 선형을 조정하거나 승강장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 아직 청사진 상태의 건물이라면 건물의 테투리 중앙에 표기되는 작은 네모를 드래그 하여 크기를 조정하거나, 중앙의 네모를 드래그 하여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 선로를 선택한 후 컨트롤 + C를 눌러 복사할 수 있다. 복사한 선로는 컨트롤 + V로 설치한다.
  • 선로나 건물을 선택한 후 다른 선로에 종속시킬 수 있다.
    • 이 기능을 이용하면 복선 이상의 선로도 하나의 선로처럼 묶을 수 있다.[4]
    • 건물을 종속시키면 건물이 그 선로의 굴곡을 따라가게 할 수 있다.[5]


2.2. 선로 건설 모드[편집]


N을 눌러 건설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New Track)
  • 아무것도 없는 공간에 클릭을 하여 새 선로를 지을 수 있다.
  • 끊어진 선로나 승강장에 표시되는 + 표시를 눌러 지어진 선로를 더 이을 수 있다.
  • 선로를 잇다가 다른 끊어진 선로의 +에 클릭을 하여 선로를 하나로 이을 수 있다.
    • 단, 역과 역 사이는 바로 이을 수 없다.[6]


2.3. 승강장 건설 모드[편집]


T를 눌러 승강장 건설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Station)
  • 승강장 건설 모드에서는 왼쪽의 메뉴에 더 많은 옵션이 생기는데, 이를 통해 선로 통행 방향, 건넘선 유무, 일방통행 신호 유무, 기본 승강장 유무 등을 조정할 수 있다.
  • 단선 승강장 모드를 통해 승강장을 일일이 건설하면 더 복잡한 구조의 역도 지을 수 있다.
  • 승강장 길이는 노드 하나당 최소 10미터에서 400미터까지 가능하다.
  • 기존에는 노드 2개짜리 역만 지을 수 있었으나, 1.9부터는 이 제한이 사라졌다. 다만, 노드가 1개인 역의 경우, 고급 모드를 사용해야 역 지정이 가능하다.

2.4. 분기기 건설 모드[편집]


B를 눌러 분기기 건설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Branch)
  • 분기기는 승강장 선로와 분기 선로를 제외한 모든 선로에 건설할 수 있다.
  • 복선 이상의 선로에 복선 모드로 분기를 시도하면 버그가 발생하니 단선 모드로 건설하는 것을 추천한다. [7]
  • 분기기 모드를 이용하여 지선 뿐 아니라 회차선이나 건넘선도 지을 수 있다.


2.5. 차량기지 건설 모드[편집]


P를 눌러 차량기지 건설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Depot)
  • 1.5 버전에 삭제될 예정이다 (대신 차량기지는 승강장으로 대체되며, 승강장에 "주박 노선"을 이용하면 차량기지처럼 행동하게 된다.) 제작자가 언젠가는 되살리겠다고 말은 했으나 그게 언제가 될지는 아무도 모른다...
  • 야간에 주박을 하지 않고 24시간 운행을 한다면 차량기지는 건설할 필요가 없다.


2.6. 건물 건설 모드[편집]


U를 눌러 건물 건설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Building)

승강장, 지붕, 선로 노반 등 건설에 사용된다.
  • 메뉴에서 건물의 종류와 색상을 설정하고 건설할 수 있다.
    • 다만 특정 폭의 건물만 지을 수 있기 때문에 길이 뿐 아니라 폭도 조정하고자 한다면 선로 및 건물 편집 기능을 이용해야 한다.
  • Platform Footprint Extension을 선택하여 역 여러 개를 이어주면 서로 동떨어진 막장환승 역을 지을 수 있다. 때문에 신길역, 신당역, 노원역 등 환승역이지만 승강장이 서로 떨어져 있는 역들을 고증에 맞게 건설할 수 있게 되었다.
  • User Label을 선택하여 사용자 지정 레이블을 추가할 수 있다.


2.7. 신호 설치 모드[편집]


L를 눌러 신호 설치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 신호는 5 종류가 있으며, 각기 다른 역할을 한다. 해당 문단 참고.
  • 선로에 마우스 커서를 올리면 선로에 신호 위치가 잡히며, 클릭 하면 표시된 위치에 신호가 설치된다.
  • 쉬프트를 누른 상태로 설치하여 신호의 방향을 바꿀 수 있다.


2.8. 신호 선택 및 편집 모드[편집]


K을 눌러 신호 편집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 신호의 주변에 표기되는 노란색 동그라미를 눌러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 왼쪽 위의 메뉴에서 신호의 성질을 조절할 수 있다
  • delete 나 backspace를 이용하여 신호를 삭제할 수 있다.
  • F를 눌러서 신호의 방향을 뒤집을 수 있다.


3. 노선 설정 모드[편집]


F3을 눌러 노선 설정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3.1. 노선 목록[편집]


왼쪽 끝의 메뉴는 노선 목록을 보여준다.
  • 맨 아래의 버튼 중 +가 들어가 있는 버튼을 눌러 새 노선을 만들 수 있다.
  • 맨 위의 드롭다운 메뉴에서 노선의 정렬을 바꿀 수 있다.
  • 노선을 클릭하여 노선을 선택할 수 있다.


3.2. 노선 상세[편집]


노선 목록 오른쪽에 표시되는 메뉴이다. 탭 3개로 나누어져 있다.

  • 첫 번째 탭은 노선의 정보를 보고 편집할 수 있다.
    • 맨 위에서 노선의 이름, 노선 코드 (열차 아이콘에 표기된다), 기본요금, 거리비례 요금을 지정할 수 있다.
      • 기본요금은 말 그대로 열차에 탈 때 내는 비용이고, 거리비례 요금은 1 킬로미터당 부과되는 비용이다.
    • 그 아래에서 노선의 타이밍 설정(영업속도, 배차간격, 정차시간, 등)을 변경할 수 있다.
    • 맨 아래에서 노선의 정차역을 보고 편집할 수 있다.
      • 오른쪽 아래에 있는 버튼 두 개 중 "Append new stops" 버튼을 이용하여 정차역을 더 추가할 수 있다. 이 모드에서는 승강장에 표시되는 화살표를 클릭하여 정차역을 추가할 수 있다.
      • "Append new waypoint" 버튼을 이용하여 경유지를 추가할 수 있다. 이 모드에서는 선로에 표기되는 화살표를 클릭하여 경유지를 추가할 수 있으며, 그 노선의 열차들은 무조건 그 선로를 통과하게 된다.
      • 왼쪽 아래의 휴지통 버튼을 눌러서 선택된 역을 삭제할 수 있다.
      • 왼쪽 아래의 화살표 버튼들을 눌러서 선택된 역을 앞이나 뒤로 옮길 수 있다. 가끔 역의 순서가 꼬여서 제대로 운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기는데 그럴 때 유용하다.
  • 두 번째 탭은 현재 노선의 회계 통계를 보여준다.
    • 여기서 이 노선이 돈을 얼마나 벌고 잃는지, 잃는다면 어디서 잃고 있는지 등을 파악할 수 있다.[8]
  • 세 번째 탭은 노선의 열차들의 위치를 보여준다.


4. 열차 구매 및 편집 메뉴[편집]


F4를 눌러 이 메뉴에 진입할 수 있다.

1.5에서 많이 변경된 부분이다.


4.1. 1.4 이전[편집]


  • 열차의 시간표를 편집할 때는 특정 시간에 노선을 운행하거나 차량기지에 들어가게 할 수 있다.
    • 만약 차량기지에 가게끔 돼 있는 시간에 노선을 운행중이라면 즉시 노선 운행을 중단하고 차량기지로 가게 되어, 승객들이 차량기지로 납치될 수 있다.


4.1.1. 열차 보기 및 편집 메뉴[편집]

  • 이 메뉴에서는 열차를 일일이 선택하고 시간표를 편집하거나, 열차의 이름을 바꾸거나, 열차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 열차 정보를 조회하거나 열차에게 인터벤션[9]을 넣을 수 있다.


4.1.2. 열차 다중 선택 및 편집 메뉴[편집]

  • 이 메뉴에서는 열차 여러 대의 일정을 편집할 수 있다. 주로 열차 하나의 시간표를 여러 대의 열차에 복사할 때 사용된다.
  • 열차 하나하나의 시간표를 요일별로 변경하고 시간표를 비교할 수도 있다.


4.1.3. 새 열차 구매 메뉴[편집]

  • 새 열차를 구매할 수 있다. 이때 다음의 사항들을 지정할 수 있다.
    • 열차의 편성을 변경할 수 있다.[10]
    • 열차의 이름 형식을 지정할 수 있다.[11]
    • 열차의 행동을 지정할 수 있다.
      • 추후 수동으로 설정하기
      • 자동으로 특정 노선을 어떤 역 부터 운행하기
      • 다른 열차의 시간표 복제하기


4.2. 1.5 이후[편집]



4.2.1. 열차 보기 및 편집 메뉴[편집]

  • 1.4에서처럼 열차를 선택하고 열차의 정보를 편집할 수 있다.
  • 1.7부터는 커스텀 조성 가능한 열차들에 한해 열차의 조성을 변경할 수 있다. 차량 하나하나를 대차하거나 증결을 하는 등이 가능하다.
열차 조성을 변경할 때도 새 열차를 구매할 때 처럼 연결기 규칙을 지켜야 한다.


4.2.1.1. 시간표 편집 탭[편집]

  • 시간표를 편집할 수 있는데 1.4와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 열차의 시간표를 짤 때 빈 공간이 없도록 되어 있다.
    • 시간표에서 각 역에 도착하는 시간과 출발하는 시간 등을 볼 수 있게 되었다.
  • 시간표에는 크게 4가지 모드가 있다.
    • 오토 런 모드
      • 이 모드에서는 차량기지에 들어가거나 하지 않고 자동으로 특정 노선을 무한히 운행한다. 1.4 시절의 일반적인 운행 방식.
      • 이 상태에서의 노선 운행 설정은 열차 편집 모드가 아닌 노선 편집 모드에서 하게 된다.
    • 매뉴얼 오더 모드
      • 이 모드에서는 수동으로 시간표를 설정해 줄 수 있다.
      • 차량기지에 들어갈 때는 repeat until next schedule을 꺼야 차량기지에 한 번 들어가서 계속 주박해 있게 된다.
      • 노선을 운행할 때는 enter at 과 exit at 을 차량기지 다음과 전 역으로 설정해야 차량기지에 정상적으로 들어가게 된다.[12]
      • 만약 열차 한 대로 여러 노선을 운행하고자 한다면 시간표를 매우 세심하게 설정해줘야 한다.[13]
    • 오토 카피 매뉴얼 오더 모드
      • 이 모드에서는 다른 열차의 시간표를 자동으로 복사하여 운행하게 된다
      • 복사되는 열차에 들어가서 설정을 해 주거나 수동으로 각 열차의 오프셋 설정을 해 주어야 한다.
        • MANAGED BY GROUP 모드에서는 복사되는 열차의 그룹 설정에서 각 열차의 오프셋을 설정할 수 있다.
        • custom 모드에서는 수동으로 배차간격을 설정할 수 있다. 그 시간만큼 열차가 배차를 벌리고 운행하게 된다.
        • 만약 오프셋을 설정하지 않거나 열차 여러 대의 오프셋이 겹치게 되면 열차가 뭉쳐서 운행하게 되니 주의하자.
    • "좀약 처리됨" 모드
      • 영어로 "Mothballed" 라고 표기된다.
      • 한마디로 사용하지 않는 열차를 꽁쳐두는 것으로, 이 모드를 활용하면 열차가 마치 존재하지 않는 것 처럼 보이지 않는 어딘가에 보관돼 있게 된다.
      • 편성 변경이 불가능하니 만약 이미 운행하는 노선에 더 길거나 더 빠른 열차를 도입하게 되면 기존 열차를 팔아버리지 말고 이 모드를 이용하여 다른 노선으로 이적시키거나 보관해두는 것이 가능하다.


4.2.1.2. 그룹 탭[편집]

수동 시간표로 설정된 열차들에게만 등장하는 탭으로, 해당 열차의 시간표를 복사하는 열차들의 시간표를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열차들이 해당 열차에 오토 카피가 돼 있는 경우, 이 탭에서 그 열차들의 시간표 오프셋을 얼마로 할지 정할 수 있다.


4.2.2. 새 열차 구매 메뉴[편집]

  • 1.4에서처럼 새 열차를 구매하며 다양한 사항을 설정할 수 있다.
  • 1.4와 달리 더 많은 종류의 기본 행동을 설정할 수 있다.[14]


4.2.3. 새 커스텀 열차 구매 메뉴[편집]

1.7에 추가된 메뉴로, 커스텀 조성이 가능한 열차들을 이용하여 열차를 직접 조성하여 구매할 수 있게 해 주는 메뉴이다.

모드나 열차 제작자들이 차량별로 연결기 설정을 할 수 있으며, 연결기 설정 무시 모드가 꺼져 있다면 이런 연결기의 특성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
  • Mandatory(의무)/Optional(선택) 설정은 해당 열차의 앞이나 뒤에 다른 차가 연결되어 있어야 하는지를 뜻한다.
  • 연결기 설정은 유니버셜, 프리셋, 커스텀, 그리고 없음이 있다.
    • 만약 별도의 연결기 설정을 하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유니버셜(Universal)로 지정된다
유니버셜 연결기는 모든 프리셋 연결기와 연결할 수 있다.
  • 프리셋 연결기는 게임에 내장된 연결기 설정으로, 6종류가 있으며, 같은 종류의 연결기나 유니버셜과 연결할 수 있다.
프리셋 연결기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각 연결기의 종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연결기 문서를 참고하기 바란다.
  • 버퍼 앤 체인 연결기
  • AAR 연결기
  • 샤펜베르크형 연결기
  • SA3 연결기
  • 델르너형 연결기
  • 와드형 연결기
  • 커스텀 연결기는 모드 제작자가 프리셋이 아닌 연결기를 별도로 정의하는 것으로, 유니버셜과 연결할 수 없다.
  • 연결기가 없는 열차는 다른 열차를 연결할 수 없다. 이는 연결기 의무 설정을 무시하게 된다.



5. 신호[편집]


파일:님비레일신호.png
님비레일에 존재하는 신호들, 위에서부터 다음과 같다.
  1. 일방통행 신호
  2. 정차 위치 신호
  3. 폐색 종료 신호
  4. 경로 신호
  5. 통행금지 신호

신호는 위에 서술했듯이 L을 눌러 신호 설치 모드를 사용해 설치하고, K를 눌러 신호 편집 모드를 사용해 편집하고 움직일 수 있다.


5.1. 일방통행 신호[편집]


아무 선로에나 설치할 수 있는 신호, 열차들은 신호에 적혀있는 방향으로만 통행할 수 있다.
승강장에 설치하게 되면 노선 설정 모드에서 표시되는 정차 역 화살표를 제한할 수 있다. 이는 Alt를 눌러 무시할 수 있다.
역방향으로 되어 있는 경로 신호의 폐색을 종료하는 역할도 한다.


5.2. 정차 위치 신호[편집]


아무 선로에나 설치할 수 있는 신호, 역에 정차하거나 해당 세그먼트의 경유지에 정차할 때 기본 정차 위치 대신 이 위치에 정차하게 된다.
이 신호가 없는 경우 승강장 중앙에 정차하게 된다.


5.3. 폐색 종료 신호[편집]


경로 신호의 폐색을 종료시키는 신호, 이 신호를 지난 후에는 알아서 앞 열차에 부딪히지 않게 너무 가까워지면 멈추는 방식으로 운행하게 된다.
승강장에는 설치할 수 없다.


5.4. 경로 신호[편집]


승강장에 설치할 수 없는 신호이다.
열차가 이 신호를 지나고자 하면 해당 열차의 경로에 따라 다른 열차가 지나고 있거나 다른 열차가 "예약" 해 둔 경로와 겹치는 동안 빨간불을 유지하여 충돌을 방지해 준다.
경로 신호의 경로 탐색은 다음 경로 신호 또는 폐색 종료 신호까지이며, 다음 경로 신호나 다음 폐색 종료 신호 뒤에 열차가 있건 경로가 겹치건 신경쓰지 않는다.


5.5. 통행금지 신호[편집]


승강장에 설치할 수 없는 신호이다.
말 그대로 열차가 해당 신호가 있는 선로를 지나지 못하도록 하는 신호이다.


6. 기타[편집]


  • 열차의 가선유무는 전혀 고려하지 않으며, 신호와 배차간격으로 열차 운행을 제어한다.
  • 시간이 매우 현실적이다.
    • 하루는 24시간이다.
    • 새벽시간대는 사람이 거의 탑승하지 않기 때문에 야간 주박을 해야 돈을 아낄 수 있다.[15]
    • 평일에는 출퇴근 시간대에 사람이 몰린다. 평시에는 현실에서처럼 수요가 줄어든다.
    • 토요일과 일요일에는 사람이 더 적게 탄다. 이때 일요일의 경우 저녁 시간대에 승객이 몰린다. 토요일은 전반적으로 수요가 적다.
  • 1.3버전 이후로는 인구가 비교적 현실적이다. 이에 따라 서울 같은 대도시(특히 강북구)에 역을 지을 경우, 역세권 인구가 수만 명은 기본이고 십만 명이 넘는 경우(!)도 있다.
    • 이런 역에는 승객이 매우 빨리 들어오는데, 기본적인 복선 역은 승객을 한 번에 200명밖에 수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열차를 매우 자주 운행하거나(여러 대도시들이 그렇듯이 중전철로 몇 분에 한 대 꼴로), 트램 승강장을 추가하여 편법으로 수용량을 늘리는 것이 좋다.
  • 장거리와 단거리 승객의 비율을 딱히 정하지 않고 역을 랜덤하게 고르는 것인지, 너무 넓은 네트워크를 지으면 장거리 수요가 좀 과다하게 나온다. 예를 들어서 남한 전국을 커버하는 네트워크를 지을 경우, 부산에서 서울로 전철을 타고 출근하는 사람이 나오는 등, 상당히 괴랄한 광경을 볼 수 있다. 그래도 시간 개념은 있는 승객들이라, 같은 구간을 잇는 더 빠른 노선이 생기면 장거리 수요는 대부분 그리로 빠져나간다.
  • 모든 역의 시스템상 최대 수용인원은 10,000명이다. [16]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95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4;"
, 4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95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4;"
, 4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31 18:49:29에 나무위키 NIMBY Rails/게임 플레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다만 곡선에서도 감속이 되지 않는 선로가 창작마당에 올라와 있다.[2] 트램 선로답게 도로와 겹칠 수 있다.[3] 1.2 버전에 추가된 기능으로, 이전에는 우측통행 복선 선로만 건설할 수 있었다.[4] 이 상태에서는 선로 건설 모드에서 하나의 선로로 취급된다.[5] 곡선 승강장을 짓고자 한다면 이 기능을 써야 한다.[6] 만약 바로 잇게 되면 하나의 긴 승강장이 돼 버리기 때문이다.[7] Shift를 눌른 상태로 지으면 된다.[8] 예를 들어서 환승역에 사람이 너무 많이 모여서 환불이 발생한다면 Compensation: Full Station 이라고 표기된다.[9] intervention, 열차가 사고가 났거나 신호가 오작동 할 때 이걸 사용하면 열차를 다음 목적지로 순간이동 시킬 수 있다.[10] 편성은 추후 변경이 불가능하니 처음 뽑을 때 제대로 뽑아야 한다.[11] 예를 들어서 Seoul Metro 1\#\#\#이라고 지정하면 자동으로 Seoul Metro 1001부터 1씩 숫자를 올려준다. 단, 중간에 편성을 잘못 지정하는 등 실수를 해서 다시 열차를 구매해야 할 때는 위 방식으로 하면 기존의 공백이 메꿔지지 않고 마지막 번호에서 이어지므로 신중하게 구매해야 한다. (ex: 총 24개의 열차를 구매했는데 13번째 열차에 문제가 있어 판매하고 다시 구매할 경우 13이 메꿔지지 않고 25, 26, 27 순으로 이어진다.)[12] 차량기지가 노선 끝에 있다면 신경써 주지 않아도 된다.[13] 한 노선을 운행하고 난 뒤 다음 노선 운행 전에 시간이 붕 뜬다면 붕 뜨는 시간 동안 전 노선의 마지막 역에서 그 시간 만큼 대기를 하기 때문이다.[14] 대부분 시간표 모드의 행동을 처음 구매할 때 부터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15] 다만 잘못 설정하는 경우 승객이 차량기지에 갇혀 환불을 해 줘야 할 수도 있다.[16] 환승역이 터져나가는 경우 간혹 그 역의 최대수용인원(ex: 복선 승강장이 2개 있을 경우 800명)을 무시하고 역 안에 사람들이 계속 들이차는 광경을 볼 수 있다. 그리고 그 역은 이후 십중팔구 적자 크리를 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