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3·4리그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K3리그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svg 대한민국축구 리그
[ 펼치기 · 접기 ]



K3·4리그
파일:K3·4리그 로고.svg
정식 명칭K3·4리그
영문 명칭K3·4 League
종목축구
창설2020년(4주년)
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명칭 변천K3리그 (2007~2008)
챌린저스 리그 (2009~2013)
K3 챌린저스리그 (2014)[1]
K3리그 (2015~2019)
K3·4리그 (2020~ )
주관대한축구협회
구성K3리그 (3부)
K4리그 (4부)
웹 사이트대한축구협회 K3 K4리그
JoinKFA

1. 개요
2. 로고
3. 출범 과정
4. 산하 리그
7. 기타
8.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대한축구협회에서 주최하는 대한민국의 3, 4부 축구 리그이자 세미프로 축구 리그인 K3리그K4리그를 편의상 통칭하는 표현이다.[2] 이 두 리그는 K3리그 어드밴스, K3리그 베이직 2개 리그로 나뉘었던 부분적 세미프로 리그 구 K3리그와 실업 리그 내셔널리그가 2020년에 통합해 개편한 리그다.


2. 로고[편집]




3. 출범 과정[편집]


K리그 승강제K3리그, K4리그 문서의 '역사' 문단 참조.

2016년, 대한체육회와 대한축구협회는 프로와 아마추어를 아우르는 통합 축구 클럽 리그 디비전 체계를 도입하기로 결정했고 이 결정은 기존 한국 내셔널리그舊 K3리그를 K3, K4리그로 재편하기로 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링크

이 결정에 따라서 한국 내셔널리그는 2019년 시즌을 마지막으로 종료했고 기존 한국 내셔널리그舊 K3리그 구단 및 신규 창단 구단을 대상으로 2020년 K3·4리그 신청을 받았다. 링크

이 중 우선적으로 내셔널리그 구단은 전부 상위 리그인 K3에, 신규 창단 구단은 전부 하위 리그인 K4에 편성했다. 링크

舊 K3리그 구단에 대해서는, 원래 K3리그 참가를 신청한 곳이 많으면 舊 K3리그의 지난 시즌 성적 순으로 리그에 참가할 구단을 나누려고 했으나 K3리그 클럽 라이선스 자격 요건이 까다로워서 그런지 K3리그에 신청한 곳이 그리 많지 않아서 신청 구단 전부를 원하는 리그에 편성했다.링크

그 결과 2020년 시즌에 한국 내셔널리그 8개 구단과 舊 K3리그 8개 구단이 K3리그에, 舊 K3리그 11개 구단과 신규 창단 2개 구단이 K4리그에 참가해 K3·4리그를 출범시켰다.


4. 산하 리그[편집]



4.1. K3리그[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K3리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2. K4리그[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K4리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승강 플레이오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K3·4리그 승강 플레이오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시상 내역[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K3·4리그/시상 내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기타[편집]


  • K3리그와 K4리그는 상호간의 승강만 실시한다. K리그2 가입은 전년 K3리그 참여 여부 및 성적과 무관하게 가입 신청 후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가입이 가능하며 K4리그의 가입 역시 전년 K5리그 참여 여부 및 성적과 무관하게 가입 신청 후 정해진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가입이 가능하다. K4리그 최하위 구단이 K5리그로 강등 당하지 않는다.

  • 프로 B팀을 제외한 K3리그와 K4리그 참가 구단은 전국체육대회 출전이 가능하다. 단, 특별시/광역시/도에 연고지를 대표하는 구단이 두 곳 이상 존재할 경우 선발전을 치른다.


8.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20 00:54:19에 나무위키 K3·4리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K리그 챌린지 출범으로 인한 명칭 혼동을 피하고자 개칭했는데 이 이름도 헷갈린다고 이듬해 'K3리그'로 또 변경했다.[2] K리그1K리그2를 승강제 도입 이전 명칭인 K리그로 묶어 부르는 것이나 K5리그, K6리그, K7리그 등을 디비전리그라고 묶어 부르는 것을 생각하면 이해가 빠르다. 프로/세미프로/아마추어 각각의 단계에 속하는 모든 리그를 일컫는 단어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