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메데 아르도인

덤프버전 :

아메데 아르도인
Amédé Ardoin
파일:amedie_ardoin_1.jpg
출생1898년 3월 11일
미국 루이지애나주 랑세 루조
사망1942년 11월 3일 (향년 44세)
미국 루이지애나주 파인빌
직업싱어송라이터, 음악가
장르크리올 음악, 자이데코
악기보컬, 아코디언
사촌알폰스 아르도인 (1915~2007)[1]

1. 개요
2. 생애
3. 여담



1. 개요[편집]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겸 음악가. 그는 자이데코의 뿌리를 세운 인물로 평가받는다.[A] 그의 생애에 관해서 알려진 건 많지 않다.


2. 생애[편집]


1898년 3월 11일, 루이지애나주 랑세 루조에서 태어났다.[B][2] 아버지는 친할아버지처럼 태어났을 당시 노예였으나, 그가 태어났을 땐 157에이커의 땅을 소유하고 있었다. 하지만 그가 태어난 해 10월 세상을 떠났다.[3]

어릴 적부터 아코디언[4] 연주를 배워왔으며, 21살 때 어머니가 숨지기까지 그녀와 함께 살았다. 그는 유쾌하고 명량한 성격이었으며, 152.4cm의 단신이었다. 인품과 뛰어난 음악적 역량으로 큰 인기를 얻었다. 농장에서 일할 때 이 음악적 능력 덕분에 편안하게 일할 수 있었고, 가족을 부양하기 싫었기에 평생 독신으로 살았다.[5]

10대 때는 자주 이사를 다녔으며, 소작농으로 일하다가 바이올리니스트 데니스 맥기 (Dennis McGee) 를 만났다. 이후 1921년부터[B] 종종 그와 듀오로 본인의 사촌인 알폰스가 참여하는 하우스 파티에서 연주하였다. 그 뒤 농장주가 소작농으로 일하던 농장을 팔아버리자 데니스와 루이지애나주 유니스로 이주했다.[C]

1929년 12월 9일, 뉴올리언스의 한 호텔에서 데니스 맥기와 7곡을 녹음하며 첫 세션을 치뤘다.[6][7][C] 이후 1930년 11월 19~20일에 뉴올리언스에서 데니스와 6곡을 녹음했으며, 1934년 8월 8일에 샌안토니오에 있는 텍사스 호텔에서 데니스와 6곡을 녹음했고, 같은 해 12월 12일 뉴욕 스튜디오에서 데니스와 12곡을 녹음했다.[C][8]

그는 수입 대부분을 루이지애나 남부의 하우스 파티에서의 연주로 얻었으며, 인종 가리지 않고 공연을 펼쳤다.[9] 1930년대 후반엔 매주 토요일 밤 루이지애나주 유니스에서 세이디 코트빌 (Sady Courville) 과 종종 함께 공연했다. 코트빌의 어머니가 반대해서 녹음은 하지 못했다.[C] 1936년경에 그는 윌프레드 라투르 (Wilfred Latour) 에게 아코디언을 가르쳐줬다.[B]

이후 행방은 묘연하다. 그의 최후에 대해선 말이 많은데, 가장 유명한 이야기는 그가 백인 농부의 딸에게 손수건을 받아 이마를 닦았는데 이 때문에 두 명의 인종차별적인 백인 남성들에게 구타를 당했다는 설이다. 포드 모델 A에 교통사고를 당해 성대가 부러졌거나 중상을 입었다는 얘기도 있다.[A][10] 데니스 맥기는 그를 질투하던 바이올리니스트에게 독살당했다고 주장했다. 성병으로 죽었다는 얘기도 있다.[C]

어찌됐든 그는 1942년 9월에 파인빌에 있는 주립 정신병원에 입원했고[A], 1942년 11월 3일에 센트럴 루이지애나 주립병원에서 세상을 떠났다.[B] 사후 파인빌 병원 땅에 매장되었다.[B]


3. 여담[편집]


  • 1912년경 촬영된 위 프로필의 사진이 그로 전해지는 유일한 사진이라 생각할 수 있으나, 1929년경에 촬영한 사진이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6 23:02:31에 나무위키 아메데 아르도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그와 마찬가지로 음악가로 활동했다.[A] A B C Campbell Robertson, "On the Trail of a Creole Music Pioneer, Still Alive in Song", 「뉴욕 타임즈」, 2015.5.28.[B] A B C D E Bob L. Eagle · Eric S. LeBlanc, "Blues: A Regional Experience" (ABC-CLIO · 2013.5.1.), 378쪽, #[2] "Ardoin, Amadé", id.loc.gov[3] Michael Tisserand, "The Kingdom of Zydeco" (Skyhorse · 2016.11.22.), 96쪽, #[4] 아버지에게 받았다.[5] Ann Savoy, "Cajun-Creole Columbia releases--Ardoin and McGee", 2003, 슬라이드 1~2[C] A B C D E Craig Harris, "Amédé Ardoin: Biography", 올뮤직[6] Steve Sullivan, "Encyclopedia of Great Popular Song Recordings, 1권" (Scarecrow Press · 2013.10.4.), 522쪽, #[7] Michael Tisserand, "The Kingdom of Zydeco" (Skyhorse · 2016.11.22.), 99쪽, #[8] "Amadé Ardoin", adp.library.ucsb.edu[9] Ken Stickney, "Amédé Ardoin, a tragic Creole music pioneer, may be posthumously named UL dean of music", 「The Acadiana Advocate」, 2019.10.23.[10] "Heart of Louisiana: The story of Amede Ardoin", 「FOX8」,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