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gust D(음반)

덤프버전 :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Agust_D_COVER.jpg
트랙
곡명
1
Intro ; Dt sugA (Feat. DJ Friz)
2
Agust D
3
give it to me
4
skit
5
치리사일사팔 (724148)
6
140503 새벽에 (140503 at dawn)
7
마지막 (The Last)
8
Tony Montana (Feat. Yankie)
9
Interlude ; Dream, Reality
10
So far Away (Feat. 수란 (SURAN))

1. 개요
2. 수록곡
2.1. Intro:Dt sugA
2.2. Agust D
2.3. give it to me
2.4. 치리사일사팔 (724148)
2.5. 140503 새벽에 (140503 at dawn)
2.6. 마지막 (The Last)
2.7. Tony Montana (Feat. Yankie)
2.8. So far away (Feat. 수란(SURAN))



1. 개요[편집]


방탄소년단의 멤버 슈가의 첫 번째 믹스테이프. 2016년 8월 16일 사운드클라우드를 통해 데뷔 3년 만에 공개되었다. Agust D는 그가 아이돌인 방탄소년단으로서는 표현할 수 없었던 얘기들을 할 때 사용하는 이름으로, D-Town SUGA를 거꾸로 뒤집은 것이다. 여기서 D-Town은 그가 데뷔하기 전 대구 언더에서 활동하던 힙합 크루의 이름이다. 어거스트 디는 믹스테이프 발표 이전 Cypher pt.3 Killer의 슈가 파트 중에서 'SUGA a.k.a Agust D 두 번째 이름'이라는 가사에서 처음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믹스테이프를 발표한 후 한 인터뷰에서 어거스트 디의 뜻에 대해 언급하며 확실시되었다. 아티스트 정보에 SUGA (슈가)가 아닌 Agust D로 올라간다.

2014년 초부터 믹스테이프 작업을 시작했으며 다만 일부 수록곡은 2011년에 미리 작업해 두었던 것이라고 한다. 관련 인터뷰

함께 공개된 뮤직비디오는 총 두 편이며, 10번 트랙 "so far away" 뮤직비디오도 나올 것으로 기대를 모으기도 했으나, 아쉽게도 이는 오보에 의한 해프닝이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자가 Agust D 뮤직비디오 설명란에 쓰여진 글 "Agust D’s ‘Agust D’, the first mixtape album, featuring ‘Agust D’, ‘give it to me’ and ‘so far away' is out now."를 뮤직비디오를 공개한다는 의미로 잘못 해석한 것으로 추정된다. "so far away" 뮤직비디오에 관한 긴 기다림과 궁금증은 이 사진 한 장으로 해결할 수 있을 듯. 믹스테이프에서는 예명으로 SUGA가 아닌 위의 Agust D를 사용한다.[1] 타이틀도 동명의 Agust D이며 트랙은 총 10곡. 아이돌인 래퍼 자신에 대해 되돌아보며, 데뷔 이전부터 음악을 시작했던 13살 이후의 그동안 걸어왔던 길을 비롯하여[2] 자전적인 이야기를 가사에 담아냈다. 국내 팬들 사이에선 가사가 와닿는다는 반응이, 해외 팬들 사이에선 랩 전달력이 뛰어나다는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

믹스테이프 공개 직후 빌보드닷컴에서 집중 조명하는 기사를 내보냈다. 정규 앨범이 아닌 무료 배포용 믹스테잎을 소개한 일은 빌보드에서도 이례적이라고 한다.

믹스테이프 공개 후 주변인들이 슈가에게 성격이 많이 밝아졌다는 말을 한다고 한다. 이제껏 누구에게도, 심지어 팬들에게도 말하지 않았던 자신이 겪은 고충과 고민 등 마음속에 쌓인 것을 분출하면서 그 한을 풀어낸 듯.

간혹 어거스트 디 믹스테이프를 두고 트랙들이 너무 강-강-강-강이라는 말이 있는데 그도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이제껏 이런 고민을 그는 몇 년간 단 한 번도 언급하지 않았다. 데뷔한 지 햇수로 4년이 되어서야 그 심정을 난생 처음으로 공개한 것인데 4년, 어쩌면 그보다도 더 오랜 시간 묵혀 놓은 감정을 풀어내기에는 모든 곡이 강할 수밖에 없었다. 관련 칼럼


2. 수록곡[편집]



2.1. Intro:Dt sugA[편집]



2.2. Agust D[편집]



A to the G to the U to the STD

I'm d boy because I'm from D[3]

뮤직비디오의 컨셉은 방황하는 청춘으로 무너진 집에 갇혀 있던 슈가가 사투 끝에 탈출, 마침내 어거스트 디로 거듭난다는 내용이다. 해당 곡 또한 어거스트 디의 등장을 알리는 곡으로, 당차고 화려하고 자신감 넘치는 비트와 래핑 실력이 돋보인다.
난 베끼는 걸 베끼는 놈을 잡아다가 후배든 선배든 제끼는 놈
놈팽이든 내가 wack 이든 fack 이든 역사를 바닥에 새기는 놈
해당 가사는 방탄소년단의 We Are Bulletproof pt.1 슈가의 파트에도 동일하게 등장한다. Agust D와 We Are Bulletproof pt.1를 들으며 그의 달라진 래핑 스타일을 비교하는 것 또한 묘미이다. 비교해보자 또한 상술된 가사가 나오기 전에, 슈가의 데뷔 전 공개곡인 All I Do is Win에서 등장했던 난 누가 앞에 있건 제끼는 놈이라는 가사가 인용되어 있는데, 이 가사로부터 영감을 받아 발전시킨 것이 현재 어거스트 디 가사인 듯하다.

제임스 브라운의 It's A Man's Man's Man's World를 샘플링한 곡이다.

후반에 hey ho 하는 코러스가 들리는데, 몇몇 아미들이 제이호오오옵이 들린다고 뮤직비디오에 댓글을 달아 놓았다.최애

2.2.1. 유튜브 조회수 추이[편집]


파일:AgustD100m.jpg
1억뷰 달성
2020.07.03



2.3. give it to me[편집]



범으로 태어나 개처럼 살 수는 없지.

BON VOYAGE season 1에서 베르겐 숙소에서 홀로 남아 작업하던 것이 바로 이 곡이다.

2.4. 치리사일사팔 (724148)[편집]


랩 하라고 줬던 비트를 싹 다 갈아 엎은 뒤 편곡을 하기 시작했어

봐라 어떤 이가 이렇게 하겠어 니네가 나라면 이렇게 했겠어?

그 어떤 회사가 말야 응? 이런 천재를 싫다고 하겠어

데뷔 전 그가 대구에서 상경하게 된 과정과 서울에 올라와 생활하며 겪은 일들에 대한 곡이다. 슈가의 곡 중 둔탁한 붐뱁 비트가 사용된 흔치 않은 몇 곡 중 하나인데, 그만큼 묵직한 베이스와 드럼, 유려하게 포인트를 바꿔 가며 펼쳐지는 슈가의 래핑을 들을 수 있다.

1절에서는 대구에서 서울로의 상경을 다짐하면서 빅히트에 오디션을 보게 된 과정, 2절에서는 그의 연습생 시절 고충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룬다. 자신감과 패기로 똘똘 뭉친 채 상경했던 그가 서울에서 첫 저녁 식사를 사 먹는 순간 현실을 마주하며 반전되는 가사의 분위기가 인상적이다. 여기를 기점으로 자기 스스로의 이야기를 가감없이 풀어내기 시작하며 앨범 전반의 서사가 본격적으로 쌓이기 시작한다.

성공이 궁해? no 난 그냥 돈이 궁해
폼 나게란 말도 잊혀진지가 오래
밤에는 연습하고 새벽엔 알바하고
그렇게 지친 몸 끌고 학교로 가면 잠만 자던
내가 20살이 돼 버렸네
치리사일사팔이란 제목의 뜻은 724는 대구에서 운행하는 버스로 그가 본래 대구에서 재학 중이었던 강북고를 가는 버스 번호이고, 148빅히트에 입사하면서 전학 간 압구정고로 가기 위한 버스 번호이다.

서울에 올라와 생활하기 위해 새벽 알바를 한 것이 언급되는데 이는 후에 설명할 7번 트랙 마지막의 가사와 연관된다.

후일담이지만, 2016년 1월에 고향 대구의 모교 강북고를 찾아가 특강을 했었다고 한다. 기사

2.5. 140503 새벽에 (140503 at dawn)[편집]


세상과의 단절 집을 떠난 후엔

감정소모하는 게 싫어진 19살 나의 관점에서 봤을 때

연습생 생활은 거의 만점

덕분에 생긴 대인기피증 인간관계는 빵점

이 곡을 기점으로 대인기피증 등 이제껏 밝히지 않았던 슈가의 과거사와 정신건강에 대해 이야기하기 시작한다.

본인이 말하길, 원래는 DARK&WILD 수록곡 Rain에 들어갈 자신의 파트였다고 한다. 그래서 그런지 비트가 동일하다.


2.6. 마지막 (The Last)[편집]


my fan my hommie my fam 걱정 말길 나 이젠 정말 괜찮아 damn

팬들 휴지 한박스 다쓰게 만드는 곡

해당 곡에서는 본격적으로 자신이 이제껏 겪었던 우울증, 강박, 대인기피증 등에 대해 진솔하게 말하기 시작하며 마침내 심리적인 압박감을 극복해낸 과정을 나타냈다.

잘 나가는 아이돌 랩퍼 그 이면에 나약한 자신이 서 있어 조금 위험해
우울증 강박 때때로 다시금 도져
hell no 어쩌면 그게 내 본 모습일 지도 몰라
damn huh 현실의 괴리감 이상과의 갈등 아프네 머리가
현실의 괴리감, 이상과의 갈등이란 아이돌과 래퍼 사이의 정체성에 대한 고뇌를 언급한 대목이다. 이에 대한 고민은 슈가뿐만이 아닌 타 아이돌 래퍼들 또한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고민이자 문제이다. 특히 슈가와 같은 언더에서 활동하다가 아이돌로 데뷔한 래퍼의 경우는 더더욱 그러한데 아이돌이라 하면 일단 무시하고 보는 세간의 편견은 물론이며, 언더에서는 돈이 안 되니까 고작 돈 때문에 자존심 버린 놈이라는 비난까지 받게 된다. 이는 과거 방탄소년단을 향한 래퍼 비프리의 비난으로도 알 수 있다.[4]

의사 선생님이 내게 물었어.
---적 있냐고.[5]
주저 없이 나는 말했어 그런 적 있다고

버릇처럼 하는 말 uh I don’t give a shit I don’t give a fuck
그딴 말들 전부다 uh 나약한 날 숨기려 하는 말
해당 가사는 믹스테이프 공개 이전 화양연화 pt.2에 수록된 INTRO : Never Mind와 대비된다.[6] Never Mind에서 I don’t give a shit I don’t give a fuck이란 구절은 평소 슈가의 좌우명인 동시에 '누가 뭐래든 나는 신경쓰지 않는다'는 의미로 사용되었으나 해당 곡에서는 사실 이 모든 것은 나약한 자신을 숨기기 위함이었음을 밝혔다.

내 본질을 부정했던 게 수 차례
내 주소는 아이돌 부정은 안 해
수 차례 정신을 파고들던 고뇌 방황의 끝 정답은 없었네
팔아먹었다고 생각 했던 자존심이 이젠 나의 자긍심 돼
내 fan들아 떳떳이 고개들길 누가 나만큼 해 uh
앞서 언급한 현실의 괴리감과 이상과의 갈등, 즉 아이돌과 래퍼 사이에서의 고민 끝에 마침내 자신이 아이돌임을 받아들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자신이 아이돌인 것에 대해 더 이상 부끄러움 느끼지 않으며, 오히려 마침내 자부심을 느낌을 밝혔다.

배달 알바 중 났던 사고 덕분에 시발 박살이 났던 어깨
배달 알바에 대한 부분은 앞 트랙의 치리사일사팔에서 언급된다.

믹스테이프 발매 이전에 라디오에서 슈가는 본래 자신이 연습생 시절 덩치가 가장 컸고 농구도 잘 하였기에 본인이 180cm까지 클 줄 알았으나 어깨를 다치면서 병원에서 운동을 삼가라 하였고, 그로 인해 근육이 빠지면서 키가 크지 않았다고 언급한 적이 있다. 당시에 슈가는 어깨가 다친 이유에 대해 언급을 하지 않았고 당시 분위기 또한 유머러스하게 진행되었을 뿐더러 어깨에 대해 심각하게 언급하지 않았기에 팬들은 당연스럽게 어깨가 다친 것이 어느 수준으로 다쳤는지, 어떻게 다쳤는지에 대해 알 겨를이 없었다. 그저 '어깨를 다친 적이 있었다'라고만 어렴풋이 알고 있었지 연습생 생활 당시 생활고 때문에 배달 알바를 하다가 사고로 어깨가 박살났다는 것은 이 곡으로 인해 처음 알게 된 것.

비 내리는 밤 창문을 노크 하는 비는 때리지 마음을
시큰한 어깨를 잡고 확인한 문자 “요즘 어때?”
그리고 믹스테이프가 공개되면서 DARK&WILD 수록곡인 Rain의 가사가 주목되었다. 당시에는 그저 스쳐 지나갔던 시큰한 어깨가 과거의 사고 탓이었던 것.

박살난 어깰 부여잡고 말했지
나 더 이상은 진짜 못하겠다고
그리고 어깨에 대해서는 훗날 WINGS의 슈가 솔로곡인 First Love에서도 언급된다.

마지막이라는 트랙은 언급된 가사만 봐도 알겠지만 믹스테이프 곡들 중에서도 가장 어둡고 솔직한 곡으로, 공개 당시 팬들에게 충격을 안겨준 곡이다. 앞서 말했듯이 슈가는 이제껏 자신이 겪었던 정신적 질환이나 어깨에 관한 사고를 언급한 적이 없었기 때문이다.
발매 후 같은 그룹 방탄소년단의 멤버 제이홉이 자극받는다며 믹스테이프 중 좋아하는 곡으로 언급하기도 했다.

한국의 폐쇄적인 정서상 정신적인 문제에 대해 여전히 좋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음에도 단지 팬이라는 이유만으로 솔직하게 자신의 속내를 밝힌 것은 충분히 리스펙할 만한 부분이다. 한국의 분위기상 정신적인 문제를 밝힐 경우 부정적인 시선이 따르기 마련이며 때문에 가족은 물론이고 친한 친구에게도 이를 꺼내기 어려워하는 것이 현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팬들에게, 어쩌면 당장에라도 자신에게서 돌아설 수도 있는 얼굴도 이름도 모르는 수많은 이들에게 이 사실을 밝히는 것은 연예인이자 아이돌로서는 쉽지 않은 결정이었을 것이다. 가사를 보고 너무 많은 걱정 혹은 동정의 시선은 삼가길 바란다. 그는 곡에서 나 이젠 정말 괜찮아라고 말할 뿐더러 되려 팬들에게 고개를 떳떳이 들라, 누가 나만큼 하느냐며 팬들을 다독이기까지 한다. 이러한 본인의 어두웠던 속내를 밝히는 것 자체가 자신은 그 힘든 나날들을 넘어 마침내 극복해냈음을 뜻하는 것일 터이다.

해당 곡의 절정에 들어서며 깔리는 비트는 데뷔 전 슈가가 음향장비 리뷰를 하면서 만든 비트이다. 영화 아저씨의 OST를 샘플링했다. Maschine mk2 review

2.7. Tony Montana (Feat. Yankie)[편집]


I know, feel like ㅎ tony montana[7]

이 곡에 대한 해석은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토니 몬타나란 영화 스카페이스에 나오는 인물로 그는 밑바닥에서부터 시작하여 거물의 자리에 올라섰으나 폭력과 마약으로 인해 결국 파국에 치닫는다. 이로 보았을 때 이 곡에서의 토니 몬타나란 초기 방탄소년단의 멤버였으나 방탄소년단에서 나온 후 마약에 손을 대 버린 래퍼들을 뜻할지도 모른다. 즉 Agust D의 믹스테이프의 토니 몬타나는 그들을 향한 디스곡으로 볼 수 있다.

더큰 꿈 hope 코리안드림 쉬워 보여
안드레[8] 안하무인 방망이 스윙 456789 크림
또 다른 해석은 비프리에 대한 디스곡이라는 해석이다. Korean Dream이란 비프리의 대표 앨범이며 Cream은 해당 앨범의 수록곡이다.

sorry I have no problem shit
mo money mo problem shit
또한 비프리의 코리안드림의 앨범의 타이틀인 It Ain`t Easy (Korean Dream) (Feat. jinbo)에서 do you what you gotta mo money mo problems 돈 있어도 문제 많아란 가사의 부분을 인용하고 있단 점에서 비프리를 향한 디스곡으로도 볼 수 있다.[9] 니 상태 그로기야 별일 없이 늙어만 가는 힙합에 좀이야

방탄소년단 팬미팅인 3rd MUSTER에서 지민 aegyost JM과 함께 합동 무대를 가졌다.# 이 무대 이후 멤버들이 종종 지민에게 '대체불가~ 대체불가~ 내가 이 판을 싹쓸이 해~'라며 놀리곤 한다.

머스터에서 지민과 함께한 버전이 2022년 방탄소년단의 앤솔러지 앨범 Proof에 실렸다.

2.8. So far away (Feat. 수란(SURAN))[편집]


Dream 그대의 창조와 삶의 끝에 함께하리

Dream 그대의 자리가 어딜지라도 관대하리

Dream 결국 시련의 끝에 만개하리

Dream 시작은 미약할지언정 끝은 창대하리

So far away란 방황하는 청춘들에게 건네는 위로의 곡으로 믹스테이프를 통틀어 팬들은 물론이고 팬이 아닌 리스너들에게도 공감을 이끌어 가장 반응이 좋았던 곡이다. 소주 한 잔 하면서 나눌 법한 진솔한 가사가 두드러진다.

슈가는 해당 곡으로 인해 가수 수란과 인연이 되어, 훗날 수란에게 오늘 취하면이란 곡을 선물하였고, 이 곡은 슈가와 수란에게 중요한 커리어로 남게 된다. 후일 수란 역시 이 곡에 대해 '정말 아름다운 곡'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4주년 페스타에서 정국의 피처링 버전이 공개되었다.# 피처링이 바뀌었을 뿐만 아니라 곡의 전체적인 분위기도 약간 달라졌다. 슈가는 오히려 이 버전의 분위기가 원래 의도했던 곡 스타일에 더 가까운 것 같다고 밝혔다. 슈가가 직접 남긴 코멘트

본 곡의 주요 멜로디 라인은 이후 방탄소년단이 발표한 정규 2집 앨범 WINGS와 리패키지 YOU NEVER WALK ALONE에 수록된 그의 솔로곡 First Love의 피아노 선율과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0]

이후 2023년 발매한 D-DAY의 Snooze에 본 곡의 일부가사가 들어갔다.

[1] Cyper pt.3 Killer에서 슈가 본인이 발음한 것에 기준하여 '어거스트 디' 라고 발음된다. 그러나 사실 영미권에서 이렇게 발음하려면 첫 글자 A 다음에 H를 넣어 묵음 처리를 하거나, 아니면 U를 넣어 (영어로 8월을 뜻하는) 'August' 라고 써야 하기 때문에 믹스테이프 공개 후 해외 유튜버들이 줄줄이 멘붕하는 해프닝이 있었다. 이런저런 시행착오 끝에 결국 슈가의 발음대로 어거스트 디로 통일되는 듯. 하지만 일부 영미권 팬들은 여전히 '에이-거스트 디' 라고 발음하기도 한다. 흥미롭게도 이것이 '역겨움'을 뜻하는 'Disgust(디스-거스트)'라는 단어를 연상시켜 믹스테이프 분위기에 잘 맞아 떨어진다고 한다.[2] 특히 7번 트랙 <마지막>[3] 여담이지만, 'STD'는 영미권에서 성병이라는 뜻으로 쓰인다. 그래서 Agust D 리액션 비디오에 이 가사를 듣고 물음표를 띄는 해외 유튜버들을 찾을 수 있다.[4] 이 때문에 비프리에 대해 Cypher pt.2에서 니나 가라 하와이라며 저격하기도 하였다. 하와이는 비프리의 고향.[5] 삐 처리된 부분은 아마도 자살 시도로 추정된다. 정신과에 가면 가장 먼저 묻는 매뉴얼이다.[6] I don’t give a shit I don’t give a fuck 하루 수백 번 입버릇처럼 말했던 ‘내게서 신경 꺼’[7] 실제로 가사에 ㅎ이 들어간다. 들어 보면 'Huh'에 가까운 추임새다.[8] 피처링을 해 준 래퍼 Yankie의 세례명이다.[9] 다만 이 표현은 세계적인 래퍼 The Notorious B.I.G의 곡 제목으로 힙합 랩 가사에 워낙 자주 등장하는 문장인지라 이 구절로 디스다 아니다 추측하기에는 무리가 있다.[10] 정국의 피처링 버전은 피아노 선율뿐만 아니라 시작 부분도 동일한 음으로 이루어져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버전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1;"
, 1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버전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1;"
, 1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0 15:57:32에 나무위키 Agust D(음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