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브라운

덤프버전 :


제임스 브라운의 주요 수상 및 헌액 이력

[ 펼치기 · 접기 ]

파일:5ARYZvK4L2afx8AcWcf6kF-1.jpg 로큰롤 명예의 전당 헌액자

[ 펼치기 · 접기 ]
이름
제임스 브라운
JAMES BROWN

헌액 부문
공연자 (Performers)
멤버
(개인자격)
입성 연도
1986년
후보자격 연도
1986년
후보선정 연도
1986년





































제임스 브라운
James Brown


파일:210724-james-brown-mb-1516.jpg

본명
제임스 조지프 브라운
James Joseph Brown
별명
소울의 대부
Godfather of Soul
출생
1933년 5월 3일
사우스캐롤라이나 주 반웰
사망
2006년 12월 25일 (향년 73세)
조지아 주 애틀랜타
국적
[[미국|

미국
display: none; display: 미국"
행정구
]]

직업
싱어송라이터, 음악가, 댄서, 음반 프로듀서
장르
펑크, 소울, R&B
악기
보컬, 키보드, 드럼, 하모니카, 기타
활동
1953년 ~ 2006년
신체
168cm
배우자
벨마 워렌 (1953년 ~ 1969년, 이혼)
디드레 젠킨스 (1970년 ~ 1981년, 이혼)
아드기렌 로드기레스 (1984년 ~ 1996년, 사별)
토미 레 하이니 (2001년 결혼)
자녀
9명 (13명?)
링크
공식 사이트

1. 개요
2. 상세
2.1. 별명
3. 디스코그래피
3.1. 앨범
3.2. 싱글
3.2.3. 빌보드 핫 100 11 ~ 40위
3.2.4. 빌보드 핫 100 41 ~ 100위
3.3. 싱글컷되지 않은 대표곡
4. 기타



1. 개요[편집]



파일:Hardest Working Man in Show Business.png


제임스 브라운은 대중 음악의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인 동시에 가장 위대한 음악가 중 한 명이며, 역사상 가장 많이 샘플링된 아티스트다.


사망 1년 전(2005년), Live 8에서의 공연. 72세의 노령임에도 불구하고 정정함이 무엇인지 보여준다.[1]


2. 상세[편집]


소울(Soul)이라는 음악 장르를 완성했고, R&B(리듬 앤 블루스)의 유행에도 큰 업적이 있으며 펑크(Funk)라는 장르를 만들었다. 그리고 거의 모든 블랙 뮤직에 관여했다고 봐도 무방하다. 힙합은 1999년도 버스타 라임스, 1986년 아프리카 밤바타를 데리고 앨범을 낸 적이 있으며 50년대 싱글들 가운데 재즈 곡들도 상당수 있으니 말이다. 후대의 컨템퍼러리 재즈 뮤지션들 조차 인터뷰를 보면 제임스 브라운 거론 안하는 사람이 드물다. 단순히 Funk, 락 음악 뮤지션뿐만이 아니라 블랙뮤직 전반의 존경을 받는다. 예를 들어 힙합 업계의 전설적인 비트 메이커, 프로듀서인 갱 스타DJ 프리미어도 인터뷰를 할 때마다 자신에게 영향을 준 뮤지션에서 늘 빼놓지 않고 제임스 브라운을 언급하고 있다. 말 그대로 대중음악의 역사에 한 획을 그었으며, 흑인 음악 전반에 가장 큰 공로를 세운 사람으로 평가받는다.

미국에서 활동한 후대의 어떠한 뮤지션도 브라운의 영향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본인이 말했듯 마이클 잭슨은 자신의 워킹을 따라해서 문워크를 만들었고,[2] 프린스의 섹스 어필은 제임스 브라운에게 배운 것일 뿐이다. 실제로 1980년대의 최대의 팝스타 마이클 잭슨[3], 프린스도 늘 제임스 브라운에 존경을 표현했다. 특히 그 까칠한 프린스는 제임스 브라운을 만났을때 다급하게 모자를 벗고 고개 숙여 인사를 할 정도이다.[4] 또한 힙합 음악의 스타일을 만든 것으로도 여겨지고 있는데, 반복되는 리프에 랩처럼 음조가 없는 가사를 주워섬기는 곡들이 있기 때문이다. 그 유명한 Get Up (I Feel Like Being a) Sex Machine부터가 그런 스타일이다. 심지어 롤링 스톤즈믹 재거, 음악 업계 최고의 카멜레온 데이빗 보위도 제임스 브라운의 영향을 받았다.

엘비스 프레슬리, 척 베리와 함께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최초의 아티스트이기도 하며 그래미 어워드의 평생공로상을 받았다. 드럼 앤 베이스, 정글, 힙합에선 Funky Drummer 쪽 Riff 과 관련이 있다. 참고로 영화 록키 4에서 드라고와 아폴로 크리드의 대결직전에 나온 공연하던 흑인 가수도 제임스 브라운이다. 영화에서 가장 인상적인 장면으로 꼽는 사람들도 있다. 다만 영화상 특성 때문에 반공 선전물이 되면서 우리나라로 치면 새마을 운동가같은 노래를 부른 꼴이 되었다.

2006년 2월경에 한국에서 역사적인 내한 공연을 가졌다. 그러나 그의 명성에 걸맞지 않게 잠실의 작은 실내체육관에서 열렸으며, 게다가 객석은 모두 좌석으로 이루어졌다. 정작 공연 시엔 앉아서 보는 사람을 찾기 어려웠지만. 그러나 고령의 나이 때문인지, 브라운 본인의 퍼포먼스는 공연의 절반 정도만 채우는데 그쳤다. 관객수는 3천여 명. 그리고 같은 해인 2006년 성탄절에 세상을 떠났다. 사인은 폐렴으로 인한 심장마비였다.

그의 장례식은 관이 열린 상태로 진행되는 '오픈 캐스킷' 장례로 진행되었는데, 마이클 잭슨은 그 장례식에 방문해서 그의 시신에 작별의 키스를 하기도 했다. 자신의 음악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으며, 개인적으로도 가장 존경하는 가수가 사망하였으니 당연하겠지만.

그는 노래뿐만 아니라 [5] 당대 최고 수준이라는 평을 받았으며, 위에서도 볼 수 있듯 마이클 잭슨은 그의 발놀림에서 모티브를 따와 안무 동작을 짰다. 실제로 마이클 잭슨이 직접 그 영향을 받았음을 밝힌 사람 중 한명이다.(나머지 두명은 프리드 아스테어와 밥 파시)

어마어마한 음악적 재능과는 별개로 평소 성격이 굉장히 빡세기로 유명했다고 한다.[6] 백밴드가 실수를 하거나 자유로운 행태를 보일 시 때려서 내쫓았다고 하니.[7] 또한 음악적 자존심이 굉장히 강하였다고 하며, 실제로 그가 음악계에 미친 영향을 생각해보면 그것이 당연하다고도 볼 수 있겠다.

히트곡만 100곡이 넘고, 후배들의 존경을 한몸에 받으며 엄청난 영향력을 행사한 제임스 브라운의 경이로운 커리어를 생각하면 충분히 말년을 여유있게 보낼 법도 한데, 가능한 한 각종 공연과 투어를 계속해서 다니며 무대에 서는 것을 멈추지 않았다. 본인이 인터뷰에서 밝히길 자신이 벌어온 돈을 생각하면 굳이 돈을 벌 필요가 없는 것은 맞으나 본인은 소울의 대부라는 별명에 엄청난 자긍심을 가지고 있으며, 이 별명이 내가 음악을 해왔고 음악을 떠나지 않는다는 의미를 담고있는 것이라고 믿기에 계속 무대에 서야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뿐만 아니라 무대에 설 때가 너무나도 즐겁고 행복하며, 사람들에게 롤모델을 제시하고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을 지속하기 위해서라도 죽을 때까지 공연할 거라고 발언했다. 실제로 그는 세상을 떠나기 직전까지도 무대에 서며 이를 지켰다.

영화에 자주 나왔다. 블루스 브라더스(사람 만들기), 록키 4에 출연했으며 이외에도 출연 영화들이 꽤나 많다.

2.1. 별명[편집]


“Soul Brother Number One”[8]
“the Godfather of Soul”[9]
“the Hardest Working Man in Show Business”[10]
“Mr. Dynamite”[11] and even “the Original Disco Man.”[12]


3. 디스코그래피[편집]



3.1. 앨범[편집]


  • Please Please Please (1958)
  • Try me (1959)
  • Think (1960)
  • The Amazing James Brown (1961)
  • James Brown and His Famous Flames Tour the U.S.A. (1962)
  • Prisoner of Love (1963)
  • Showtime (1964)
  • Grits & Soul (1964)
  • Out of Sight (1964)
  • James Brown Plays James Brown Today & Yesterday (1965)
  • Mighty Instrumentals (1966)
  • James Brown Plays New Breed (1966)
  • James Brown Sings Christmas Songs (1966)
  • Hatful of Soul (1966)
  • James Brown Sings Raw Soul (1967)
  • James Brown Plays the Real Thing (1967)
  • Cold Sweat (1967)
  • I Can't Stand Myself When You Touch Me (1968)
  • I Got the Feelin' (1968)
  • James Brown Plays Nothing But Soul (1968)
  • Thinking about Little Willie John and a Few Nice Things (1968)
  • A Soulful Christmas (1968)
  • Say It Loud - I'm Black and I'm Proud (1969)
  • Gettin' Down to It (1969)
  • The Popcorn (1969)
  • It's a Mother (1969)
  • Ain't It Funky (1970)
  • Soul on Top (1970)
  • It's a New Day – Let a Man Come In (1970)
  • Hey America (1970)
  • Sho Is Funky Down Here (1971)
  • Hot Pants (1971)
  • There It Is (1972)
  • Get on the Good Foot (1972)
  • Black Caesar (1973)
  • Slaughter's Big Rip-Off (1973)
  • The Payback (1973)
  • Hell (1974)
  • Reality (1974)
  • Sex Machine Today (1975)
  • Everybody's Doin' the Hustle & Dead on the Double Bump (1975)
  • Hot (1976)
  • Get Up Offa That Thing (1976)
  • Bodyheat (1976)
  • Mutha's Nature (1977)
  • Jam 1980's (1978)
  • Take a Look at Those Cakes (1978)
  • The Original Disco Man (1979)
  • People (1980)
  • Soul Syndrome (1980)
  • Nonstop! (1981)
  • Bring It On! (1983)
  • Gravity (1986)
  • I'm Real (1988)
  • Love Over-Due (1991)
  • Universal James (1992)
  • I'm Back (1998)
  • The Merry Christmas Album (1999)
  • The Next Step (2002)


3.2. 싱글[편집]



3.2.1. 빌보드 R&B 차트 1위[편집]


  • Try Me (I Need You) (1958)
  • Papa’s Got a Brand New Bag (1965)[13]
  • I Got You (I Feel Good) (1965)[14]
  • It's a Man's Man's Man's World (1966)
  • Cold Sweat (1967)
  • I Got the Feelin' (1968)
  • Say It Loud - I'm Black and I'm Proud (1968)
  • Give It Up or Turnit a Loose (1969)
  • Mother Popcorn (You Got to Have a Mother for Me) (1969)
  • Super Bad (1970)
  • Hot Pants (She Got to Use What She Got to Get What She Wants) (1971)
  • Make It Funky (1971)
  • Talkin' Loud and Sayin' Nothing (1972)
  • Get on the Good Foot (1972) 영상[15]
  • Doing It to Death (1973)
  • The Payback (1974)
  • My Thang (1974)
  • Papa Don't Take No Mess (1974)


3.2.2. 빌보드 핫 100 3 ~ 10위[편집]


  • Papa’s Got a Brand New Bag (1965) - 8위
  • I Got You (I Feel Good) (1965) - 3위
  • It's a Man's Man's Man's World (1966) - 8위
  • Cold Sweat (1967) - 7위
  • I Got the Feelin' (1968) - 6위
  • Say It Loud - I'm Black and I'm Proud (1968) - 10위
  • Living in America (1985) - 4위[16]


3.2.3. 빌보드 핫 100 11 ~ 40위[편집]


  • Think (1960) - 33위
  • Bewildered (1961) - 40위
  • Night Train (1962) - 35위
  • Prisoner of Love (1963) - 18위
  • Oh Baby Don't You Weep (1964) - 23위
  • Out of Sight (1964) - 24위
  • Bring It Up (1967) - 29위
  • Get It Together (1967) - 40위
  • I Can't Stand Myself (When You Touch Me) (1967) - 28위
  • There Was a Time (1967) - 36위
  • Licking Stick – Licking Stick (1968) - 14위
  • Goodbye My Love (1968) - 31위
  • Give It Up or Turnit a Loose (1969) - 15위
  • I Don't Want Nobody to Give Me Nothing (Open Up the Door, I'll Get It Myself) (1969) - 20위
  • The Popcorn (1969) - 30위
  • Mother Popcorn (You Got to Have a Mother for Me) (1969) - 11위
  • World (1969) - 37위
  • Let a Man Come In and Do the Popcorn Part One (1969) - 21위
  • Part Two (Let a Man Come In and Do the Popcorn) (1969) - 40위
  • Ain't It Funky Now (1969) - 24위
  • It's a New Day (1970) - 32위
  • Brother Rapp (1970) - 32위
  • Get Up (I Feel Like Being a) Sex Machine (1970) - 15위[17][18]
  • Super Bad (1970) - 13위
  • Get Up, Get into It, Get Involved (1970) - 34위
  • Soul Power (1971) - 29위
  • Escape-ism (1971) - 35위
  • Hot Pants (She Got to Use What She Got to Get What She Wants) (1971) - 15위
  • Make It Funky (1971) - 22위
  • I'm a Greedy Man (1971) - 35위
  • Talkin' Loud and Sayin' Nothing (1972) - 27위
  • King Heroin (1972) - 40위
  • Get on the Good Foot (1972) - 18위
  • I Got Ants in My Pants (1973) - 27위
  • Doing It to Death (1973) - 22위
  • The Payback (1974) - 26위
  • My Thang (1974) - 29위
  • Papa Don't Take No Mess (1974) - 31위


3.2.4. 빌보드 핫 100 41 ~ 100위[편집]


  • Try Me (I Need You) (1958) - 48위
  • This Old Heart (1960) - 79위
  • The Bells (1960) - 68위
  • I Don't Mind (1961) - 47위
  • Baby You're Right (1961) - 49위
  • Lost Someone (1961) - 48위
  • Shout and Shimmy (1962) - 61위
  • Mashed Potatoes U.S.A. (1962) - 82위
  • Three Hearts in a Tangle (1962) - 93위
  • Every Beat of My Heart (1963) - 99위
  • These Foolish Things (1963) - 50위
  • Signed Sealed and Delivered (1963) - 77위
  • Please, Please, Please (Overdubbed) (1964) - 95위
  • Have Mercy Baby (1964) - 92위
  • Caldonia (1964) - 95위
  • The Things That I Used to Do (1964) - 99위
  • Try Me (Instrumental) (1965) - 63위
  • Lost Someone (Live) (1965) - 94위
  • I'll Go Crazy (Live) (1965) - 73위
  • Ain't That a Groove (1966) - 42위
  • Money Won't Change You (1966) - 53위
  • Don't Be a Drop-Out (1966) - 50위
  • Kansas City (1967) - 55위
  • Think (1967) - 100위[19]
  • Let Yourself Go (1967) - 46위
  • America Is My Home (1968) - 52위
  • I Guess I'll Have to Cry, Cry, Cry (1968) - 55위
  • Tit for Tat (Ain't No Taking Back) (1968) - 86위
  • Lowdown Popcorn (1969) - 41위
  • Funky Drummer (1970) - 51위
  • Spinning Wheel (Instrumental) (1971) - 90위
  • I Cried (1971) - 50위
  • There It Is (1972) - 43위
  • Honky Tonk (1972) - 44위
  • I Got a Bag of My Own (1972) - 44위
  • What My Baby Needs Now Is a Little More Lovin' (1972) - 56위
  • Down and Out in New York City (1973) - 50위
  • Think (New Version) (1973) - 77위
  • Think (Alternate Version) (1973) - 80위
  • Sexy, Sexy, Sexy (1973) - 50위
  • Stoned to the Bone (1973) - 58위
  • Funky President (People It's Bad) (1974) - 44위
  • Coldblooded (1974) - 99위
  • Reality (1975) - 80위
  • Sex Machine (1975) - 61위
  • Get Up Offa That Thing (1976) - 45위
  • Bodyheat (1976) - 88위
  • Gravity (1986) - 93위


3.3. 싱글컷되지 않은 대표곡[편집]




4. 기타[편집]


잭키 찬의 헐리우드 출연작인 코미디 무술영화 턱시도에서 카메오 출연했다. 성룡한테 맞고 (작 중에서)죽은 줄 알았으나 다행히도 기절만 한 상태였고[20], 대타로 나선 성룡을 보며 감탄하며 생존 확인[21]. 이때 성룡이 부른 노래가 바로 한국에서 게랍빠로 알려진 Get Up (I Feel Like Being a) Sex Machine이다. 영화 자체는 2002년작이고 무엇보다 본인이 직접 까메오로 등장해서 고인드립은 아니다.

게임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에서 패러디되었다. '영혼의 대부 브론잠(Bronjahm Godfather of Souls)'이라는 이름으로 영혼의 제련소에서 등장하며 영혼마법을 사용하고 처치시 일정 확률로 '아저씨의 신상품 가방(Papa's brand new bag)'과 '식은땀 손장갑(Cold sweat grips)' 등 각종 패러디 아이템을 드랍한다. 공격 기합도 음악을 흥얼거리는 것처럼 외치며, 전투 지역의 음악도 한번 들어보자.

제임스 브라운을 소재로 한 음악도 나왔다. 곡은 바로 커먼그라운드의 "Funkastic James". SNL 코리아에 반주로 연주되는 곡이다.

얼굴이 묘하게 동양적인 느낌이 나는데 실제로 아버지가 아파치 인디언-아프리칸이었고 어머니는 아프리칸-중국인 혼혈이었다.

보수주의자이며, 공화당 대통령을 선호했다.[22] 이것은 리처드 닉슨, 로널드 레이건을 지지한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그리고 영화 록키 4에서는 'Living in America'라는 국뽕 노래도 불렀다.


제임스 브라운의 전기 영화인 겟 온 업에서 채드윅 보즈먼이 훌륭한 연기를 펼쳤다. 영화적인 과장일 수도 있지만 제임스 브라운의 개차반 같은 성격도 엿볼 수 있다.


동년배의 오페라 가수 루치아노 파바로티와 콜라보를 한 적이 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22:29:07에 나무위키 제임스 브라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다만 전성기 시절에 비하여 나이가 들어서 그런지 성량이 많이 줄어들었다.[2] 문워크는 마이클 잭슨 이전 시대에도 백슬라이드 스텝으로 불리며 많은 댄서가 썼기에 결론적으로 만든 건 아니다.단 제임스 브라운의 스텝을 그의 춤에서 많이 사용한 것은 사실이다.[3] 마이클 잭슨의 음악 스타일은 제임스 브라운에게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4] 프린스는 제임스 브라운과 동년배인 퀸시 존스를 깠을 정도로 상대가 누구든지간에 호불호가 갈려하는 태도를 보인다. 그런 프린스가 아주 깍듯이 대한다는 것은 아주, 대단히 존경한다는 의미이다.[5] 흘러나오는 곡은 james brown - if you don't give a doggone about it[6] 그를 존경하는 후배 프린스도 성격이 까칠하고 자존심 세기로 유명하지만 제임스 브라운보다는 덜하다고 한다. 후배들과 공연할 일이 생기면 그가 생각하는 컷은 엄청나게 높아서 무대에 서는 가수와 스태프들 모두가 힘들었지만 생각보다 잘 다독여주고 채찍과 당근을 잘 주는 타입이었다고 한다.[7] 제임스 브라운의 성격은 개차반이었던 것은 유명한데 백밴드가 본인이 원하는 연주를 하지못하거나 실수를 하면 엄청난 벌금을 물리거나 개패듯이 패가지고 쫓아냈는데 그 유명한 지미 헨드릭스도 유명해지기 전에 이 백밴드에 잠시 소속되어있었는데 그 자유분방한 성격과 불성실한 태도 때문에 찍혔고 제임스에게 맞고 쫓겨났다. 후에 소위 1977년 9월 29일 사건이라고 불리는 일이 생긴 후로는 백밴드들이 집단 탈퇴를 하고 아무도 하려고 하지 않자 이 성향을 고치긴 했다. 이 성격은 본인의 실수에도 예외가 아니라 본인이 리허설이건 본무대건 실수하면 엄청나게 스트레스를 받으며 화가 났다고 한다.[8] 소울 브라더 넘버 원[9] 소울 음악의 대부[10] 쇼 비지니스에서 가장 열심히 일하는 자[11] 미스터 다이너마이트[12] 원조 디스코 맨[13] 펑크 음악의 효시로 평가받는 곡.[14] 브라운의 대표곡. 어디선가 들어본 적이 있는 노래일 가능성이 크다. 소울의 대표곡으로 인정받는다. 1965년 이 노래가 나온 해에 뮤지컬 영화 Ski Party에 나와서 춤까지 추며 부르는 버전이 있는데, 원곡보다 조금 더 빠르다.[15] Soul Train 라이브로 Get On The Good Foot, Soul Power, Make it Funky 순으로 진행되는 영상이다. 당시 나이 40의 연세에도 불구하고 전매특허인 다리찢기를 자유자재로 구사하는 등 젊은 관객들보다 훨씬 유연함을 자랑하며 빵빵한 밴드와 화려한 무대 매너로 몇십번을 보아도 질리지 않는다는 댓글이 압권.[16] 1980년대 제임스 브라운의 대표곡들 중 하나로 록키 4의 OST 중 하나이다. 록키 4 특유의 국뽕 분위기와 맞물려 국뽕스러운 가사를 자랑하지만, 퀄리티가 좋은지라 이 노래를 미국의 새로운 국가로 선정해야 한다는 댓글도 있을 정도이다.[17] 그중 Get Up (I feel Like Being a) Sex Machine은 풀 메탈 패닉에서 치도리 카나메가 부른 일명 게랍빠와 영화 턱시도에서 성룡이 부른 곡 등으로도 유명하다. 참고로 영화 턱시도에서 제임스 브라운 본인이 특별출연했는데, 문제는 영화 내에서 그가 성룡과 악수하려다가 성룡이 입은 특수병기인 턱시도를 작동시키는 시계를 잘못 만져서 바닥에 패대기당하고 기절해버렸다. 그래서 Get Up (I Feel Like Being A) Sex Machine을 성룡이 대타로 불렀던 것.[18] 거의 최초의 랩이 들어간 노래이다.[19] with Vicki Anderson[20] 고의로 때린 게 아니라, 성룡이 첩보 활동을 위해 입고있던 특수 제작된 턱시도를 조종하는 시계를 실수로 건드린 바람에, 턱시도가 오작동을 일으키면서 처맞고 뻗어버린 것이다. 성룡의 파트너 요원이 멘붕해서 제임스 브라운을 죽였다며 호들갑을 떨었으나, 성룡이 직접 숨이 붙어 있는 것을 확인해서 소파에 눕혀놓았다.[21] 성룡이 대타로 노래를 부르는 소리를 듣고 놀라서 당황했으나, 바로 나와서 무대를 확인하고는 그의 무대 매너에 감탄했다.[22] 과거에는 공화당이 친 흑인 성향 정당이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