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R-WB

덤프버전 :



오디오 코덱
[ 펼치기 · 접기 ]
손실
압축

일반
MP1 · MP2 · MP3 · mp3PRO · AAC · Musepack · WMA · Vorbis · Opus · USAC
음성 특화
AMR-NB · AMR-WB · AMR-WB+ · WMA Voice · Speex · Opus · Codec 2 · EVS
다중채널 특화
AC-3 · SDDS · DTS · AC-4
블루투스
SBC · aptX · AAC · LDAC · SSC(Samsung Seamless Codec · Samsung Scalable Codec) · LC3
무손실 압축
FLAC · ALAC · APE · TAK · WMA Lossless · TTA · WavPack
무손실 무압축
PCM (WAV · AIFF)
관련 문서: MIDI · DSD
관련 틀: 그래픽 · 오디오 · 비디오

1. 개요
2. 상세 내용 및 사양
3. 여담



1. 개요[편집]


Adaptive Multi-Rate Wideband. 노키아와 보이스에이지(VoiceAge)가 개발했고 보이스에이지가 라이선스를 가지고있다.

VoLTE(24kbps), 3G HD Voice(12kbps[1])용으로 사용되는 음성 코덱.
2002년경 만들어졌고, 2010년 전후(한국은 2012년 이후)로 널리 사용되기 시작되었다.


2. 상세 내용 및 사양[편집]


음성이라는 한정된 조건을 이용하여 전화통화[2] 같은 특정 상황 아래서 극강의 효율을 낼 수 있는 코덱이다.[3]

AMR-NB 코덱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300-3400 Hz만 전달하는 AMR-NB에 비해 더 넓은(50-7000 Hz) 대역폭의 음성을 전달한다. 이로 인해 소위 먹먹한 소리에서 벗어나 보다 향상된 음성 품질을 제공한다.[4] AMR-NB 대비, 8kbps 이상이라면, 같은 대역폭에서도 음성품질이 좋으며, 더 높은 비트레이트를 지원한다.

모노 12kbps 미만[5]에서는 Speex[6], Opus보다 효율이 좋다.#도표(mono 기준) 음악 코덱인 HE-AAC보다 더 깔끔한 음성을 전달한다. USAC 같은 최신코덱보다는 성능이 뒤쳐지지만, 이러한 최신코덱은 호환성이 낮다.

확장자는 보통 .awb를 사용하며, 3gp[7], 3g2 컨테이너에서 사용 가능하다.

  • 샘플 레이트 : 16 kHz
  • 대역폭 : 50 ~ 7000 Hz
  • 비트 레이트 : 6.6 ~ 23.85 kbps
  • 채널 : 모노(1채널)


3. 여담[편집]


  • 전화통화용 코덱으로 널리 쓰이고 있는데, 기타 음성 위주의 컨텐츠 용으로도 활용하면 MP3AAC 대비 용량을 크게 절약할 수 있다. 원본 품질에 따라 1/10까지 줄일 수도 있다.
    • 가령, 영어 mp3, 인터넷 강의, 강의 녹음, 인터뷰 녹음 등, 감상할 일 없고 그저 내용만 알아들으면 되는 컨텐츠들을 AMR-WB[8]로 인코딩하여 메모리를 차지하는 용량을 줄일 수 있다.[9]
    • 다만, 음성파일이 용량이 얼마 나가는 물건이 아니기 때문에 용량을 크게 줄여도 눈에 크게 띄지 않는다는 게 문제다. 1MB 짜리를 반으로 줄여봐야 0.5MB, 1/10로 줄여도 0.9MB밖에 절약을 못한다.
    • 호환성 이슈도 있다. MP3 플레이어를 쓰는 사람이 있다면 MP3 외 파일들에 대한 호환성 문제를 겪을 것이다. 이는 굳이 MP3 파일들을 다른 파일로 인코딩하지 않게 하는 장벽이 된다. 아이폰의 경우도 제한된 코덱만 지원하는 경향이 있다. (FLAC 지원한 지가 얼마 안 된다.) 그 외의 경우, 다수의 유명한 코덱은 재생이 가능하지만, 몇몇 앱이 해당 파일을 음악 파일로 인식 못 해서 재생을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Speex 같이 흔치 않은 파일이 그러하다. Opus는 그나마 낫다. 최신 코덱이라 아직 지원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 뿐 시간이 흐르면 해결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2010년대 후반 이후로는 음향기기 음질이 상향 평준화되어 AMR-WB도 거슬릴 수 있으므로 Opus 16~32kbps가 차라리 낫다.
  • 대략 8kbps 근처의 극한 대역폭에서는 음원 종류에 따라 코덱(AMR, HE-AAC, Opus 등)의 평가가 크게 갈리기도 한다. 음성과 음악의 인코딩 결과가 코덱에 따라 퀄리티가 갈리는 것은 잘 알려져 있는 사실이며, 더 나아가 "1인 음성", "보이스 오버(내레이션)", "여러 음성(합창)", "악기 1개", "악기 여러 개(오케스트라)" "박수 소리"[11] 등의 상황에 따라 결과가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소리 원본에 따라 적절한 코덱과 대역폭을 선택해야 한다. 도표상 같은 퀄리티라고 표시되어 있어도 AMR-WB가 음성만큼은 더 또렷하게 들려줄 여지도 있음을 염두에 두는 것이 좋다.
    • 위키피디아에서는 별도로 Speech coding 문서가 마련되어 있다. 이름 모를 오래된 전화통화 코덱들이 많으며, 인터넷전화(voIP), 화상회의(Skype), 웹앱(WebRTC) 등이 뜨던 시절에 여러 음성코덱이 발전했다. 그 많던 코덱은 누가 다 먹었을까(...) 이름 모를 코덱 중에는 음성인식 및 음성안내를 위한 무손실[10] 코덱도 있지만 본 문서의 범주를 넘어가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 최신 저대역폭 용도로 아래와 같은 코덱들이 있다.[12]
    • AMR-WB+(2004) - 직계 후속 코덱이었는데 묻혔다.
    • Codec 2(2010) - 0.45~3.2kbps의 비트레이트를 지원하여 AMR-NB보다 용량을 훨씬 줄일 수 있지만 음질은 더욱 나쁘다. 1kbps 미만에서는 내용을 알아듣기도 힘들어진다. HF, VHF의 대역에서 사용할 전제로 소리를 협대역(Narrow Band = 8kHz)으로 샘플링한다.
    • USAC(2012) - 디지털 라디오용 코덱 (통화용도로 쓰기엔 다소 지연이 있다.)
    • EVS(2014) - VoLTE "HD보이스+"용 코덱으로 사실상 직계 후속 코덱. 프라운호퍼 ver, 노키아 ver. 5.9 kbit/s(협대역), 9.6 kbit/s(광대역)에서 128 kbit/s까지의 비트전송률(비트레이트)로 음성을 전달하며(통상 13.2 kbit/s나 24 kbit/s), Apple iPhone 8, LG G5, Samsung Galaxy S7 이후의 기기에서 지원된다.
    • Lyra(2021) - 구글에서 제작중인 3.2~9.2kbps 저 비트레이트에서 고음질 음성을 전송하기 위한 음성/화상통화용 코덱이다. 머신러닝을 활용하며, 쓸데없는 데이터량을 줄이기 위해 노이즈 캔슬링도 된다. 음성 샘플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0 01:01:28에 나무위키 AMR-WB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여담으로 mp3원음은 320kbps, aac-lc원음은 256kbps, opus 스트리밍은 64~128kbps 정도의 대역폭을 사용한다. 12kbps는 이 수준을 볼 때 일반적 상황에서는 불필요할 정도로 보이는 절약이지만, 한정된 대역폭을 써야만 할 정도로 특수한 경우에는 엄청나게 절실했던 절약이라 볼 수 있다.[2] 음성이라는 한정된 주파수 영역 바깥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던가, 1인 목소리(=음원 1개)라 소리가 겹치지 않는다는 등 전화통화만의 특정 조건이 있다.[3] 반대로 음악소리라도 들어가면 소리 품질은 엉망이 된다. 심지어 육성이라 할지라도 노래라도 부른다면 인코딩 품질과 효율이 엉망이 된다 카더라 한다(...)[4] 절대적인 음성 품질이 좋다는 얘기는 아니다. 원음만큼 품질이 좋기에는 저 낮은 대역폭에서 애초에 불가능한 일이며, 조금 더 높은 대역폭을 제공하고자 하면 opus같은 다른 코덱이 더 유용한 상황을 맞이하게 된다.[5] 반대로 말하면 대충 대역폭을 여유롭게 확보할 수 있는 상황에서는 그냥 최신코덱이 성능이 더 좋다는 얘기가 되며, 일반적으로 사람들에게 amr계열 코덱은 구식 코덱이라는게 중론이다. 성능 좋은 최신 코덱이 힘을 못 쓰는 낮은 대역폭에서 "호랑이 없는 곳에 늑대가 왕"이라는 느낌으로 이 amr-wb 코덱을 이용한다고 보면 된다.[6] Speex가 AMR보다 좋다고 하는 그래프는 AMR-NB와 비교하는 그래프이다.#[7] mp4 컨테이너가 널리 사용되기 직전 3G 피처폰옴니아시절, 고용량 미디어는 mov, 스트리밍 미디어는 3gp(skm, k3g) 컨테이너를 사용했었다.[8] AMR-NB(4.75~12.2kbps)나 Codec 2(0.45~3.2kbps)를 이용하면 용량을 극한으로 줄일 수 있지만, 소리가 많이 먹먹해져 점점 졸리게 되는 기술 외적인 문제가 발생하며 1kbps 미만에서는 애초에 내용을 알아듣기도 힘들다.[9] HDD가격과 NAND 가격의 격차가 있고, 스마트폰은 비싸고 저용량인 microSDUSB 메모리로만 용량 확장을 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용량이 은근 신경쓰일 수도 있다. 1TB microSD가 출시되어 있기 때문에, 인코딩에 들이는 시간과 노력을 아껴 고용량 메모리를 사고 용량을 신경 쓰지 않는 사람들이 훨씬 더 많은 편이지만, 가끔 갤럭시 S6갤럭시 S21처럼 외장 microSD를 지원하지 않아 용량 증설이 불가능한 제품들이 주기적으로 종종 튀어나오기 때문에 갑자기 용량 절약이 필요해질 수도 있다.[10] 기계가 잘 알아들을 수 있게 소리를 왜곡 손실 압축하지 않는다.[11] 거슬리지 않으려면 넉넉한 대역폭을 제공해주어야 한다. 보통 타악기 소리가 그러한 경향을 띈다.[12] 일반인 입장에서는 안드로이드 지원 코덱#이나 기타 OS 지원 코덱#에 뜬 이후에 관심을 가져도 늦지 않으며, 특허가 만료되기 전까지는 아래 코덱들이 AMR-WB나 Opus를 제치고 관심을 받을 여지가 매우 적다. 따라서 AMR-WB의 미래는 여전히 밝다(?) 오래도록 지원될 여지가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