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축 엑시즈

덤프버전 :


1. 개요
1.1. 상세
2. 자주 들어가는 카드
2.1. 전개용 레벨 8 몬스터
2.2. 기타 메인 덱 몬스터
2.3. 엑시즈 몬스터
2.4. 마법 카드
2.5. 함정 카드
3.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굿 스터프 덱. 말 그대로 패/묘지에서 특수 소환이 쉬운 레벨 8 몬스터들로 범용 랭크 8 엑시즈를 뽑는 덱이다.


1.1. 상세[편집]


유희왕에서 제일 흔한 몬스터의 레벨은 4, 그 다음은 8이기 때문에 레벨 8 몬스터들은 온갓 서포트를 다 받는다. 카드의 수도 많은 만큼 특수 소환이 쉬운 레벨 8 몬스터도 여러 등장했고, 이 레벨 8 몬스터들로 엑시즈 소환을 하는 덱이 바로 8축 엑시즈 굿 스터프다. 레벨 8 몬스터를 자주 사용하는 파괴수카구야함떡 덱도 이 덱과 일부 특징을 공유하기도 한다.[1]

조건만 맞으면 패에 있는 카드들이 다 튀어나올 수 있어서 패말림 확률이 적은 반면 어드밴티지를 버는 능력이 처참해서 한 번 자원이 바닥나면 다시 승기잡기 힘든 덱이며, 대부분 카드들의 소환 조건 특성상 선공 빌드보다는 후공 돌파 및 원턴킬을 선호하는 편이며, 대부분 공뻥이 가능한 No.100 누메론 드래곤을 최종 에이스로 취급받는다.


2. 자주 들어가는 카드[편집]



2.1. 전개용 레벨 8 몬스터[편집]


왕의 관만 지킨다면 묘지에서 계속 소생할 수 있는 사기급 전개 요원들. 거기다 호루스들의 특수 소환이 체인 블록을 만들지도 않는다.

상대의 몬스터의 공격력 합계가 더 높으면 체인을 만들지 않고 바로 특수 소환할 수 있고 상대 몬스터 바운스까지 노릴 수 있는 카드.

같은 열에 카드가 2장 이상이면 체인을 만들지 않고 특수 소환한다. 자소의 잭나이츠로 다른 잭나이츠를 서치할 수 있다.

필드에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된 몬스터가 필드에 존재할 경우에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가 무효화되어 있는 몬스터가 필드에 존재할 경우에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하지만 보통 순백의 성녀 에클레시아로 꺼내는 일이 많으며, 자체 효과도 강력해서 엑시즈 소환에 사용하지 않아도 방해로써의 역할을 한다.

패에서 카드를 랜덤으로 버려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버리는 카드가 랜덤이는 점이 좀 걸리지만 다른 특정 상황을 요구하는 카드들 보다 꺼낼 수 있는 상황이 많고, 선공에서도 튀어나올 수 있는 것이 장점. 운 나쁘게 자기 자신을 버렸더라도 묘지에서 파괴 효과를 발동할 수 있는 좋은 친구들.

덱 위에서 8장을 제외하면 패/묘지에서 프리체인으로 튀어나올 수 있다. 덱에 카드만 많으면 여러 번 써먹을 수 있는 좋은 카드.

주로 룡영신을 뽑는 목적으로 투입된다.

상대 필드에 공격력이 2000을 넘는 카드가 있으면 체인을 만들지 않고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선공이면 그저 말림패라는 큰 단점이 있지만 파괴수나 라바골렘과의 연계로 쉽게 조건을 충족할 수 있다.

소환 조건이 어렵지만 성공만 한다면 상대의 카드 한 장을 바운스한다. 주로 필드에 남게된 요안의 상검사와 연계한다.

일반 함정 카드를 사용한 턴에 튀어나올 수 있다. 다만 라뷰린스를 용병으로 섞지 않고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은 비추천.

순백의 성녀 에클레시아, 자소의 잭나이츠, 시오르페골 딩기르수 등과 조합하면서 상대의 카드 1장을 파괴하면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2.2. 기타 메인 덱 몬스터[편집]


  • 범용 패트랩
왠만한 덱에 다 들어가니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대의 성가신 몬스터를 릴리스로 치워버릴 수 있는 친구들. 후공을 주로 하는 8축 엑시즈 덱의 유력한 필드 클린 수단이다. 상대 필드에 이미 파괴수가 있다면 자신 필드에도 특수 소환할 수 있기 때문에 주로 레벨 8의 파괴수들을 채용한다.

상대 필드에 몬스터가 더 많으면 특수 소환할 수 있으며 효과로 요안의 상검사를 불러낸다. 튜너이기도 해서 레벨 12 싱크로로 나아갈 수도 있다.

상술한 레벨 8 잭나이츠를 서치할 수 있는 카드. 다만 이 카드 자체가 레벨 8이 아니기에 링크 몬스터라도 채용하지 않으면 처치가 좀 곤란하다.

턴킬 방지로 사용할 수도 있고, 필드에 남은 이 카드로 추가 전개를 할 수도 있다.

기교사가 제외를 자주하는 관계로 공격력을 올리는 것은 어렵지 않고, 누메론 드래곤으로 원턴킬을 실패했으면 백업 전략으로 사용할 수 있다.


2.3. 엑시즈 몬스터[편집]


8축 엑시즈를 하면서 제일 많이 부르게 될 랭크 8 엑시즈 몬스터. 이 카드를 경유해서 여러 랭크 8 이외의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있다.
8축 엑시즈의 승리 플랜으로 볼 수도 있는 카드. 대부분 8축 엑시즈는 이 카드를 통한 후공 원턴킬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발동이 통과되면 상대 필드의 앞면 카드가 전무 무효되고 필드 효과의 발동까지 봉쇄된다. 필드의 몬스터를 무효했으면 요안의 상검사의 특소 트리거가 된다.
상대에게 전투 데미지 전가, 상대의 카드 제거. 3, 4번 효과를 사용할 수 없지만 그래도 충분하다. 무효계만 조심하도록하자.
좀 마이너한 픽이지만 일단 공격력은 4000이며, 필드에 유지만 되면 2번 효과로 정규소환된 No.를 다시 되살릴 수 있다. RUM-아스트랄 포스를 채용한다면 굳이 No.97이 없어도 다른 랭크 8 엑시즈로 뽑을 수 있다.

마법 퍼미션. No.97로 불러도, 그냥 엑시즈 소환해도 제값을 한다.

특수 소환에 성공하면 상대 필드의 카드 하나를 대상 비지정으로 묘지로 보낸다. 파괴를 2번까지 막아주는 효과도 있다.

필드 파괴 3종 세트.

누메론 드래곤 못지않게 화력이 높다.

엑시즈 소환시 상대의 엑스트라 덱을 보고 1장 털 수 있으며, 엑시즈 소재를 제거해서 상대 필드의 카드를 파괴하는 기동효과,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마다 상대의 묘지를 엑시즈 소재로 흡수하는 효과를 가진 우수한 몬스터.


묘지에 보내지기만 하면 RUM을 덱 맨 위로 올릴 수 있다. 밸류가 제일 높은건 단연 더 세븐스 원이지만 누메론 포스, 아스트랄 포스도 고려할만하다. 주로 No.97의 효과를 사용할 때 특수 소환된 몬스터의 엑시즈 소재 역할을 담당한다.

직접 공격가 가능한 카드라 연개해서 아제우스를 뽑기 좋다.

더 세븐스 원을 채용했으면 CNo.107 소환용으로 사용된다.

몬스터 한장의 효과를 무효화하는 대신 1턴간 전체 효과 내성을 부여하는 효과를 가진다.

4500의 깡타점, 좀 사용하지 아깝지만 무효효과도 내장하고 있다.

2.4. 마법 카드[편집]


후공 돌파용 마법.

레벨 8 전용 드로우 카드.

2가지 효과 모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자원이 바닥나기 쉬운 8축 엑시즈 덱의 특성상 중요한 카드.

종족, 속성이 다양한 굿 스터프 특성상 사실상 몬스터 만능 서치 카드.

No. 카드가 매우 많이 들어간 8축 엑시즈의 특성상 발동 시기만 맞으면 욕망의 항아리 저리가라할 정도로 드로우할 수 있지만, 필드에 No.가 없으면 말린 패라서 호불호가 갈린다.

리바리언 샤크로 "서치"할 수 있으며, CNo.107를 원카드로 뽑는다. 다만 통상 드로우 이외로 뽑게되면 골치가 아파져서 후술할 카드도 투입하면 좋다.
더 세븐스 원이 패에 잡히면 다시 덱으로 집어 넣을 수 있다.
묘지 효과로 패에 있는 세븐스 원을 발동할 수 있다.

역시 드로우 카드. 희망의 기억과 상호호환 관계.

다 이자를 쓴다면 제외 늘리는 겸 드로우하는 느낌으로 쓰자.


2.5. 함정 카드[편집]


범용 무효계 패트랩이며, 요안의 상검사의 소환 트리거도 된다.

후공의 최강 돌파 카드. 자신의 배틀 페이즈를 포기해야하지만 성능 하나는 확실하다.


3.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2-09 19:42:51에 나무위키 8축 엑시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 덱 자체가 파괴수카구야에서 카구야가 빠지면서 파생된 덱이라는 설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