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믈라카 주총선/정당별 결과/희망동맹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2021년 믈라카 주총선/정당별 결과

파일:나무위키+하위문서.png   하위 문서: 2021년 믈라카 주총선/정당별 결과/희망동맹/패배의 원인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2021년 믈라카 주총선/정당별 결과/국민전선



승복 기자회견을 하는 4인. 왼쪽부터 사이푸딘 나수티온 인민정의당 사무총장, 아들리 자하리 전 주수상, 모하마드 사부 국민신뢰당 대표 및 전 국방부 장관, 앤서니 로크 전 교통부 장관.


1. 개요[편집]


2021년 믈라카 주총선에서 희망동맹(PH)이 얻은 결과에 대한 문서다.


2. 총평[편집]


"믈라카 유권자들이 투표를 통해 결정을 해주셨는데, 결과를 보면 아시다시피 유권자들은 BN이 집권하기를 원했으며 PH는 이를 받아들여야만 합니다."

사이푸딘 나수티온 희망동맹(PH) 및 인민정의당(PKR) 사무총장#


"아무래도 유권자들이 난리법석한 정치판을 끝장내고 안정된 정치판을 원하는 것 같은데요, 이제 우리가 객관적으로 BN에게 기회를 줘야 하므로 우리는 그들이 향후 5년 간 어떻게 하는 가를 지켜봐야죠.

살라후딘 아유브 국민신뢰당(PAN) 부대표#


결과: 국민전선 21석(+8), 희망동맹 5석(-10), 국민연합 2석(-)[1]
세부 결과: 민주행동당 4석(-4), 국민신뢰당 1석(-1), 인민정의당 0석(-3)

Again 탄중피아이. 그야말로 처참하게 패망했다. 3년 전 제14대 연방총선과 동시에 치러진 주총선에서 28석 중 15석으로 과반을 차지했던 게 무색하게 5석으로 추락하면서 희망동맹(PH) 출범 이후 최악의 대참패를 겪었다. 당시 사상 첫 정권 교체 이후 유리했던 판도가 불과 단 3년 만에 뒤집혔다. 믈라카에 할당된 연방하원 선거구가 6석인데, 3년 전 PH는 이 중 4곳을 이겼고, 이후 국민전선(BN) 후보로 당선된 1명(마스 에르미야티 삼수딘)[2]이 PH로 이적하면서 5석을 차지할 정도로 압승한 상황이었는데, 이번 주총선 결과를 연방총선으로 환산할 경우 단 2석만 건지는, 심지어 그 중 1석(항투아자야)도 BN과 PN의 표가름 때문이라, 사실상 단 1석(코타믈라카)만 건지는 결과가 나오게 되면서, 여지 없는 참패를 당하고 말았다. 게다가 이 패배가 스스로 불러온 패배라는 점에서 일말의 변명의 여지조차 없는 완벽한 대참패이다.

마스지드타나(5석), 알로르가자(5석), 탕가바투(4석), 자신(5석)에 할당된 주의회 선거구 도합 19석 중 단 한 석도 건지지 못 하고 19석 전부를 BN, PN에게 내주면서 올킬을 당했다. 항투아자야(4석)에서도 절반(2석)을 BN에게 내주었고, 그나마 선방한 것처럼 보이는 코타믈라카(5석)에서도 어찌어찌 과반은 했지만 그래도 2석을 BN에게 내주었다. 이들이 얻은 의석수는 28석 중 단 5석으로, 의석 비율은 약 17.86%, 즉 단독으로는 아무 것도 못 하는 의석수이다.

세부적으로 그나마 가장 많은 의석을 획득했다는 민주행동당(DAP)만 봐도 겨우 4석을 획득했는데, 겉으로 봐서는 이들의 득표율이 대략 6,70% 전후, 반다르힐리르[3]는 최다 득표인 81.19%를 득표해 압승한 것처럼 보일 수도 있겠으나, 이 선거구들은 DAP에 묻지마 몰표를 던지는 중국계 유권자들이 60%를 넘는 곳이며, 이는 텃밭만 겨우 이겼다는 말밖에 나오지 않는다. 이조차 3년 전보다 득표율이 내려갔다. DAP 말고는 국민신뢰당(PAN)이 1석을 건졌는데, 그 1석(부킷카틸)은 아들리 자하리 주수상 후보 본인이며, 그조차 BN+PN 표 분산으로 어부지리 당선되었다는 점이다. 가장 많은 후보(28석 중 11석)를 낸 안와르 이브라힘인민정의당(PKR)은 모든 후보가 낙선했다.

심지어 3년 전 DAP가 어부지리로 승리했던 가덱[4]두용은 BN에게 내주었고, 븜반은 PN에게 내주었다. 비록 이 3개의 선거구들은 중국계가 압도적인 곳이 아니고, 말레이인이 근소하게 과반이기는 하지만, 그런 곳에서도 중국계의 PH 득표율이 더 하락했다는 점은 중국계와 인도계들이 마냥 DAP를 지지하기만 한다는 생각은 꿈 깨야 하며, 텃밭도 더 이상 안심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번 선거는 전국 단위가 아닌 믈라카 단 1개의 주에서만 치러진 일종의 지방선거이기는 하나, 믈라카와 전국의 민심이 큰 차이가 없고, 믈라카의 인종 구성 비율이 전국과 비슷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사실상 민심이 PH로부터 등을 돌린 것이나 마찬가지다. PH, 정확히 DAP는 이번 패배를 두고 급감한 투표율(84.52% → 65.85%)을 문제 삼았지만, 3년 전 숭아이칸디스 보궐선거 투표율이 50% 미만이었음에도 PH가 압승했던 점을 보면, 투표율은 별다른 변수가 되었다고 보기 어려우며, 65.85%라는 투표율은 말레이시아 기준으로도 그리 낮다고 볼 수 없다.[5] 한마디로 투표율 탓은 그저 책임회피성 변명일 뿐이다.[6]

이번 선거가 치러진 원인은 술라이만 모하마드 알리 주수상이 이끌던 BN-PN 연립정부[7]를 무너뜨린 의원 4명의 지지 철회 때문인데,[8] 이 중 2명이 PH로 이적했다. 당시 PH 내부에서도 논란이 숱하게 일었지만, 안와르는 이들의 영입을 강행했다. 그러면서 이들은 철새가 아니라 민심의 선택을 되찾기 위해 온 것이라며 쉴드쳤다. 하지만 자신들로부터 이탈하고 BN이나 PN에 붙은 철새들은 "배신자"라고 규정하고 그렇게 비난하던 이들이, 정작 자기네로 넘어온 이들은 철새가 아니라는 내로남불을 시전하는 태도는 되레 역풍을 맞았고, 실제로 선거 후 가장 큰 참패 원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안와르를 비롯한 PH 입장에서는 지우고 싶은 악몽이자 22개월 정권의 몰락을 예고한 전주곡이었던 2019년 탄중피아이 재보궐선거를 떠올리게 할 정도로[9] 무참하게 참패를 당했다. 아니, 어쩌면은 그보다도 더 처참한데, 그 당시에는 BN+PAS가 단일화를 해서 승리를 했기 때문에 "저것들이 야합해서 이겼다"고 평가절하해도 지지층들 입장에서 먹힐 법도 했지만, 이번에는 BN+PAS 단일화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PH가 참패했기 때문에, "저것들은 도대체 뭐 하는 것들이냐?" 소리가 안 나올래야 안 나올 리가 없었다.

일부 PH 지지자들은 과거에 BN이 만날 개헌선 이상을 장악하면서 일당우위정당제를 구축했던 것에 비하면 이번의 패배는 아무것도 아니라는 정신승리를 하기도 하지만, 그 당시에는 민족을 불문하고 BN을 지지하던 시절이고, 야권은 당연히 조직력이라는 게 있을 리가 없었다. PH와 전신들은 2008년부터 성장해 오다가 2018년 예상 외의 압승을 거두면서 매우 강력한 조직력을 갖게 되었는데, 비록 훗날 집단 탈당 사태를 겪어 연방 및 주단위로 정권이 붕괴되기는 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헌선이 붕괴되지는 않아 여전히 조직력은 막강했다. 여기에 BN과 PN이 따로 출마하는 등 보수표가 분산된 상황이라 PH가 어부지리 승리도 나름 노려볼 수 있는 등, 선거 자체가 PH가 압도적으로 유리한 판에서 시작했는데도 처참파게 패망했다는 것이다. 즉 과거와는 전혀 비교할 상황이 아니며, 조직력이고 뭐고 다 작살났다는 얘기. 더 한심한 것은 이 원인을 PH가 스스로 제공했다는 것이라 매우 심각하다. BN+PN 측의 비방도 아주 없지는 않았지만, 근본적인 원인은 PH가 집권 시기에 저지른 각종 실책, 정권 붕괴 이후에도 끝없는 오만, 불통, 독선, 내로남불 때문이니 남탓조차 할 수 없다.


3. 세부 정당별 결과[편집]


이번 선거에서 인민정의당, 국민신뢰당, 민주행동당이 각각 11명, 9명, 8명의 후보를 냈으므로, 가장 많은 후보를 낸 정당 순으로 배열한다.


3.1. 인민정의당[편집]



3.2. 국민신뢰당[편집]



3.3. 민주행동당[편집]




4. 하원 선거구별 결과[편집]



4.1. 마스지드타나(5석)[편집]



4.2. 알로르가자(5석)[편집]



4.3. 탕가바투(4석)[편집]



4.4. 항투아자야(4석)[편집]



4.5. 코타믈라카(5석)[편집]



4.6. 자신(5석)[편집]




5. 패배 요인[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1년 믈라카 주총선/정당별 결과/희망동맹/패배의 원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향후 과제와 전망[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1년 믈라카 주총선/정당별 결과/희망동맹/향후 과제와 전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6 20:12:34에 나무위키 2021년 믈라카 주총선/정당별 결과/희망동맹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국민연합 2석은 전원이 통일원주민당(PPBM) 소속인데, 3년 전 선거 때는 국민연합(PN)이 없었고, PPBM이 희망동맹(PH)의 일원이었다. 당시 PPBM 후보들은 PH 후보로 출마해 2석을 획득했다. 물론 그 때와 이번 선거와 PPBM이 승리한 선거구는 전혀 다르지만, 근본적으로 얻은 의석수 자체는 변함이 없다.[2] 세부 정당으로는 통일말레이국민조직(UMNO)에서 통일원주민당(PPBM)으로 이적. 이후 PPBM이 PN을 꾸리면서 PN 소속이 되었다.[3] 그리스도 교회 등 유적지, 관광지들이 총집합해 있는 곳으로, 믈라카를 방문하는 관광객들이 무조건 들리는 곳이다. 본디 반다르힐리르는 그리스도 교회 등 유적지를 포함하는 내륙 지역을 일컫는 말인데, 선거구 상으로는 바다와 접한다. 이 때문에 선거구 상으로는 지역 상에 포함되지 않는 종커 거리(Jonker Street) 등도 반다르힐리르에 포함된다. 중국계 비율이 매우 압도적이라 싱가포르와 매우 비슷하며, 실제로 분위기도 싱가포르의 탄종파가르 지역과 꽤 흡사하다. 이 때문에 돼지고기하람 음식들이나 혹은 하람을 취급하지 않아도 비(非)할랄 식당들이 많으며(할랄 음식을 취급해도 하람인 술을 판매하면 할랄 인증을 받을 수 없다), 종커 거리에 밤마다 들어서는 야시장도 십중팔구 비할랄 음식들만 취급한다. 무슬림 비율이 낮은 한국인 입장에서는 별 문제가 되지 않으나, 압도적으로 무슬림 비율이 높은 말레이인 등은 이 때문에 음식에 제약을 많이 받아, 둘러는 보더라도 대게 반다르힐리르 밖으로 나가서 밥을 먹는 경우가 대부분.[4] 여기는 인도계 비율이 다른 선거구에 비해 높은 편이라, BN, PH 둘 다 인도계 후보를 공천시키는 경향이 있다. 물론 상대적으로 많은 것이지, 대부분은 말레이인이고 중국계 비율이 말레이인 못지 않다.[5] 사족으로 이명박이 압승했던 대한민국 대선의 투표율도 역대 최저인 63.0%였지만, 당시 민심을 갸늠하는 데는 충분했다.[6] 그리고 이들은 1달 후 사라왁에서 치러진 주총선에서도 참패하자 또 투표율 하락을 탓했다.[7] 원래 PH가 집권하고 있었지만, 2020년 BN으로 정권이 넘어왔다. 자세한 사항은 2020년 말레이시아 정치 위기 문서를 참조할 것.[8] 말레이시아는 주정부도 내각제라서, 주의회 과반이 무너지면 주정부도 붕괴된다.[9] 물론 총선으로 정권이 붕괴된 것은 아니지만, 탄중피아이 재보선 결과만으로도 민심이 PH를 심판했다는 것을 증명하기에는 충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