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개정 교육과정/사회과/고등학교/사회·문화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2009 개정 교육과정/사회과/고등학교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과목이 계승한 다음 교육과정에 대한 내용은 2015 개정 교육과정/사회과/고등학교/사회·문화 문서
2015 개정 교육과정/사회과/고등학교/사회·문화번 문단을
2015 개정 교육과정/사회과/고등학교/사회·문화# 부분을
, 7차 교육과정 이전에 대한 내용은 사회·문화 문서
사회·문화번 문단을
#s-번 문단을
사회·문화#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사회·역사·도덕 계열은 2011년에 각론이 일부 수정되었는데, 내용 체계의 큰 변화가 있는 과목도 존재한다. 다만, 그렇다고 해서 '2011 개정 교육과정' 같은 별도의 용어화는 엄연히 잘못이며, 이 역시 똑같은 2009 개정 교육과정 체계하에 있다.

1. 개요
2. 내용 (2009 고시)
2.1. 사회·문화 현상의 탐구
2.2. 개인과 사회 구조
2.3. 문화와 사회
2.4. 사회 계층과 불평등
2.5. 일상생활과 사회 제도
2.6. 현대 사회와 사회 변동
3. 내용 (2011 각론 수정)
3.1. 사회·문화 현상의 탐구
3.2. 개인과 사회 구조
3.3. 문화와 사회
3.4. 사회 계층과 불평등
3.5. 일상생활과 사회 제도
3.6. 현대 사회와 사회 변동



1. 개요[편집]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사회과 고등학교 과목 <사회·문화>에 관해 다루는 문서.


2. 내용 (2009 고시)[편집]


2009 개정 교육과정 사회·도덕·역사과 고등학교 과목 ('11~'13 高1)
일반 과목
사회과
도덕과
역사과

>

■ 이전 교육과정: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사회과 과목
■ 이후 교육과정: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사회(2011 각론 수정),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사회과 과목


대학수학능력시험 사회탐구 영역 출제 범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2013학년도
해당 교육과정에서 출제하지 않는다. 7차 교육과정(이전 교육과정) 문서 참고 바람.
2014학년도 ~
2020학년도
생활과 윤리
·
윤리와 사상
·
한국 지리
·
세계 지리
·
한국사
·
세계사
·
동아시아사
·
법과 정치
·
경제
·
사회·문화
중 2택

(단, 2017학년도부터 2011년에 일부 각론이 수정된 고시 내용을 따른다. 또한 한국사 영역이 한국사 영역으로 독립했다.)
2021학년도
해당 교육과정에서 출제하지 않는다. 2015 개정 교육과정(다음 교육과정) 문서 참고 바람.







2.1. 사회·문화 현상의 탐구[편집]


  • 사회 과학적 탐구 대상으로서의 사회·문화 현상이 자연 현상과 다른 특성을 지니고 있고, 사회·문화 현상의 탐구에는 독특한 관점과 접근 방법이 활용될 수 있음을 이해한다. 이러한 관점이나 접근 방법에 따라 사회·문화 현상의 연구 방법들이 지닌 특성을 비교ㆍ분석하여 과학적 태도로 탐구 절차를 수행해 나가는 과정을 이해한다.
① 사회·문화 현상의 특성을 자연 현상과 비교, 분석하여 이해한다.
② 기능론, 갈등론, 상징적 상호 작용론, 교환 이론 등 사회·문화 현상에 대한 다양한 이론적 시각을 이해한다.
③ 사회·문화 현상에 대한 양적ㆍ질적 연구 방법의 특성과 차이점을 이해한다.
④ 사회·문화 현상에 대한 탐구 과정에서 필요한 자료 수집 방법의 유형과 특징을 이해한다.
⑤ 사회·문화 현상에 대한 탐구 절차를 이해하고, 이를 실제 사례에 적용한다.
⑥ 사회·문화 현상의 탐구에 필요한 과학적 태도와 연구자의 윤리를 이해하고, 이를 존중한다.


2.2. 개인과 사회 구조[편집]


  • 사회적 존재인 인간은 다양한 집단과 조직의 구성원으로서 상호 작용하면서 유기적인 관계망을 형성하고 있음을 이해한다. 이러한 사회적 관계망을 바탕으로 형성된 사회 구조 속에서 개인과 집단이 어떻게 상호 작용을 하는지 이해한다. 아울러 일탈 행동의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 방안을 탐색한다.
① 사회화의 개념을 이해하고 사회화를 바라보는 다양한 이론적 시각을 탐색한다.
② 여러 가지 사회화 기관의 유형을 구분하고, 그 특징과 기능을 이해한다.
③ 사회적 지위와 역할의 의미를 파악하고, 역할 갈등의 원인 및 해결 방안을 탐색한다.
④ 일상생활 속에서 협동, 경쟁, 갈등과 같은 사회적 상호 작용의 유형을 탐색하고 그 특성을 비교, 분석한다.
⑤ 개인과 사회의 관계를 바라보는 관점을 사회 실재론과 사회 명목론으로 구분하여 이해한다.
⑥ 사회 집단의 의미를 이해하고 사회 집단의 유형별 특징을 비교, 분석한다.
⑦ 사회 조직의 개념을 이해하고, 관료제와 탈관료제적 조직의 다양한 특징을 살펴본다.
⑧ 사회 구조의 의미를 파악하고, 일상생활에서 개인 및 집단이 사회 구조와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에 있음을 이해한다.
⑨ 개인과 사회 구조의 관계 속에서 나타나는 일탈 행동의 원인을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다양한 대처 방안을 모색한다.


2.3. 문화와 사회[편집]


  • 문화의 의미와 속성을 이해하고, 각 사회마다 문화가 다양할 뿐만 아니라 같은 문화도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는 것임을 파악한다. 또, 문화가 개인의 일상생활과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여러 측면에서 파악한다. 특히, 세계화와 더불어 문화적 교류가 증가하면서 나타나는 현대 사회의 여러 가지 문화적 특징을 비판적 안목으로 파악하고, 타 문화에 대한 개방적 태도를 가진다. 아울러 문화 변동의 요인과 양상을 이해하고, 이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① 문화의 의미와 속성을 이해하고, 문화를 통해 현대 사회의 복합적인 사회 현상을 이해한다.
② 기술, 언어, 상징, 예술, 가치, 규범 등 문화의 요소와 그 기능을 파악한다.
③ 문화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문화 및 타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가진다.
④ 지역 문화, 세대 문화, 반문화 등의 하위문화와 대중문화에 나타나는 현대 사회의 다양한 문화적 양상을 파악한다.
⑤ 문화 변동의 요인과 양상을 이해하고, 문화 변동에 따른 문제점을 파악하여 대처 방안을 모색한다.
⑥ 세계화와 더불어 나타나는 한국 사회의 문화적 다양성을 이해하고, 한국의 문화적 정체성을 인식할 수 있는 안목을 기른다.


2.4. 사회 계층과 불평등[편집]


  • 경제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사회·문화적인 측면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사회 계층과 불평등 현상을 살펴본다. 그리고 사회 불평등 현상의 원인을 설명하는 여러 이론적 시각을 이해하고, 사회 불평등의 해결 방안을 모색한다.
① 사회 불평등의 의미를 이해하고, 다양한 형태의 사회 불평등 현상을 살펴본다.
② 현대 사회의 계층과 불평등 현상에 대한 기능론과 갈등론의 관점을 비교, 분석한다.
③ 사회 계층 구조와 사회 이동의 의미와 특징을 이해한다.
④ 빈곤의 유형과 특징을 이해하고, 빈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⑤ 성 불평등의 의미를 이해하고, 성 불평등 현상이 발생하는 원인과 해결 방안을 탐색한다.
⑥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차별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⑦ 사회 복지의 의미와 현황을 파악하고, 복지 제도의 역할과 한계를 살펴본다.


2.5. 일상생활과 사회 제도[편집]


  • 가족, 교육, 종교, 대중 매체 등 여러 가지 사회 제도의 특징과 그 기능을 이해한다. 또, 이러한 사회 제도들과 관련된 사회적 쟁점이나 문제들을 파악하고 대안을 모색한다.
① 사회 제도의 의미를 이해하고, 사회 제도의 다양한 유형을 살펴본다.
② 가족의 의미와 기능을 이해하고, 다양한 형태를 살펴본다.
③ 가족 문제의 원인을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한다.
④ 교육의 특성과 기능을 다양한 관점에서 이해한다.
⑤ 교육의 기회 균등 문제를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한다.
⑥ 대중 매체의 유형을 파악하고, 각각의 특징을 비교, 분석한다.
⑦ 대중 매체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이론적 관점을 이해하고, 대중 매체를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태도를 가진다.
⑧ 종교의 본질과 기능을 이해하고, 종교적 갈등의 양상을 파악하며, 타 종교를 개방적으로 바라보는 태도를 가진다.


2.6. 현대 사회와 사회 변동[편집]


  •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사회의 역동적인 측면을 살펴본다. 이를 위하여 먼저 사회 변동을 이해하려는 다양한 관점을 이해한다. 그리고 사회 변동의 구체적인 모습을 살펴보기 위하여 근대화, 인구와 도시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 현대 사회의 중요한 변화 양상인 세계화와 정보화를 이해한다. 아울러 현대 사회의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고 바람직한 사회 변화를 이끌어 내려는 방안에 대해 알아본다.
① 사회 변동의 의미와 요인을 이해하고, 사회 변동을 설명하는 다양한 이론적 관점을 탐색한다.
② 근대 사회의 형성 배경을 알아보고, 근대화를 설명하는 다양한 이론적 시각을 살펴본다.
③ 산업화의 진전에 따른 노동의 구조와 변화 과정을 이해하고, 노동 문제의 원인 및 대처 방안을 탐색한다.
④ 도시화의 의미와 특성을 이해하고, 이에 따른 문제점과 대책을 탐색한다.
⑤ 인구 변천 과정을 이해하고, 이에 따른 문제점과 해결 방안을 탐색한다.
⑥ 세계화의 의미와 특징을 파악하고, 세계화 시대에 대비하는 우리 사회의 대처 방안을 모색한다.
⑦ 정보 사회의 형성 과정과 특징을 이해하고, 정보화에 따른 문제점과 해결책을 탐색한다.
⑧ 환경 문제, 전쟁과 테러 등 현대 사회가 당면한 전 지구적 차원의 문제들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모색한다.


3. 내용 (2011 각론 수정)[편집]


2009 개정 교육과정 사회·도덕·역사과 고등학교 과목 (2011년 각론 수정) ('14~'17[1] 高1)
일반 과목
사회과
도덕과
역사과

>

■ 이전 교육과정: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사회과 과목,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사회과 과목(각론 고시 2009)
■ 이후 교육과정: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사회과 과목


대학수학능력시험 사회탐구 영역 출제 범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2013학년도
해당 교육과정에서 출제하지 않는다. 7차 교육과정(이전 교육과정) 문서 참고 바람.
2014학년도 ~
2020학년도
생활과 윤리
·
윤리와 사상
·
한국 지리
·
세계 지리
·
한국사
·
세계사
·
동아시아사
·
법과 정치
·
경제
·
사회·문화
중 2택

(단, 2017학년도부터 2011년에 일부 각론이 수정된 고시 내용을 따른다. 또한 한국사 영역이 한국사 영역으로 독립했다.)
2021학년도
해당 교육과정에서 출제하지 않는다. 2015 개정 교육과정(다음 교육과정) 문서 참고 바람.








3.1. 사회·문화 현상의 탐구[편집]


  • 사회 과학적 탐구 대상으로서의 사회·문화 현상이 자연 현상과 다른 특성을 지니고 있고, 사회·문화 현상의 탐구에는 독특한 관점과 접근 방법이 활용될 수 있음을 이해한다. 이러한 관점이나 접근 방법에 따라 사회·문화 현상의 연구 방법들이 지닌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과학적 태도로 탐구 절차를 수행해 나가는 과정을 이해한다.
① 사회·문화 현상의 특성을 자연 현상과 비교·분석하여 이해한다.
② 기능론, 갈등론, 상징적 상호 작용론 등 사회·문화 현상에 대한 다양한 이론적 관점을 이해한다.
③ 사회·문화 현상에 대한 양적·질적 연구 방법의 특성과 차이점을 이해한다.
④ 사회·문화 현상에 대한 탐구 과정에서 필요한 자료 수집 방법의 유형과 특징을 이해한다.
⑤ 사회·문화 현상에 대한 탐구 절차를 실제 사례에 적용하며, 이 과정에서 필요한 과학적 태도와 연구자의 윤리를 이해한다.


3.2. 개인과 사회 구조[편집]


  • 사회적 존재인 인간은 다양한 집단과 조직의 구성원으로서 상호 작용하면서 유기적인 관계망을 형성하고 있음을 이해한다. 이러한 사회적 관계망을 바탕으로 형성된 사회 구조 속에서 개인과 집단이 어떻게 상호 작용을 하는지 이해한다. 아울러 일탈 행동의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 방안을 탐색한다.
① 사회화의 개념을 기능론, 갈등론, 상징적 상호작용론 관점에서 이해한다.
② 여러 가지 사회화 기관의 유형을 구분하고 그 특징과 기능을 이해한다.
③ 사회적 지위와 역할의 의미를 파악하고 역할 갈등의 원인 및 해결 방안을 탐색한다.
④ 개인과 사회의 관계를 바라보는 관점을 사회 실재론과 사회 명목론으로 구분하여 이해한다.
⑤ 사회 집단과 사회 조직을 이해하고 이들의 유형별 특징을 비교·분석한다.
⑥ 개인, 집단 및 사회 구조의 관계 속에서 나타나는 일탈 행동의 원인을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다양한 대처 방안을 모색한다.


3.3. 문화와 사회[편집]


  • 문화의 의미를 이해하고, 각 사회마다 문화가 다양할 뿐만 아니라 같은 문화도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는 것임을 파악한다. 또한 문화가 개인의 일상생활과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여러 측면에서 파악한다. 아울러 문화 변동의 요인과 양상을 이해하고, 이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특히 세계화와 더불어 문화적 교류가 증가하면서 나타나는 현대 사회의 여러 가지 문화적 특징을 비판적 안목으로 파악하고 타문화에 대한 개방적 태도를 갖는다.
① 문화의 의미를 이해하고, 문화를 통해 현대 사회의 복합적인 사회 현상을 이해한다.
② 기술, 언어, 상징, 예술, 가치, 규범 등 다양한 문화의 요소와 그 기능을 파악한다.
③ 문화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문화 및 타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가진다.
④ 지역 문화, 세대 문화, 반문화 등의 하위 문화와 대중 문화에 나타나는 다양한 문화적 양상을 파악한다.
⑤ 문화 변동의 요인과 양상을 이해하고 문화 변동에 따른 문제점을 파악하여 대처 방안을 모색한다.
⑥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는 한국 사회의 문화적 다양성을 이해하고 한국 문화의 세계화 방안을 모색한다.


3.4. 사회 계층과 불평등[편집]


  • 경제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사회·문화적인 측면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사회 계층과 불평등 현상을 살펴본다. 그리고 사회 불평등 현상의 원인을 설명하는 여러 이론적 시각을 이해하고, 사회 불평등의 해결 방안을 모색한다.
① 사회 불평등의 의미를 이해하고, 다양한 형태의 사회 불평등 현상을 기능론과 갈등론의 관점으로 비교·분석한다.
② 사회 계층 구조와 사회 이동의 의미와 특징을 이해한다.
③ 빈곤의 유형과 특징을 이해하고, 빈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④ 성 불평등의 의미를 이해하고, 성 불평등 현상이 발생하는 원인과 해결 방안을 탐색한다.
⑤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차별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⑥ 사회 복지의 의미와 현황을 파악하고, 복지 제도의 역할과 한계를 살펴본다.


3.5. 일상생활과 사회 제도[편집]


  • 가족, 교육, 대중 매체, 종교 등의 사회 제도의 특징을 이해하고, 이러한 사회 제도들이 일상생활에 미치는 사회적 기능들을 파악한다. 더불어 이러한 사회 제도들과 관련된 사회적 쟁점이나 문제들을 파악하고 그 해결책을 모색한다.
① 사회 제도의 의미를 이해하고, 사회 제도의 다양한 유형을 살펴본다.
② 결혼 및 가족의 기능과 이들의 다양한 형태를 파악하고, 가족 문제의 해결 방안을 모색한다.
③ 교육의 기능을 이해하고, 교육의 기회 균등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모색한다.
④ 대중 매체의 역할과 기능을 이해하고, 대중 매체를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태도를 가진다.
⑤ 종교의 사회적 기능을 이해하며, 종교적 갈등의 양상을 파악하고 타종교를 개방적으로 바라보는 태도를 가진다.


3.6. 현대 사회와 사회 변동[편집]


  •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사회의 역동적인 측면을 살펴본다. 이를 위하여 먼저 사회 변동을 이해하려는 다양한 관점을 이해한다. 그리고 사회 변동의 구체적인 모습을 살펴보기 위하여 근대화와 산업화 과정을 살펴보고, 현대 사회의 중요한 변화 양상인 세계화와 정보화를 이해한다. 아울러 현대 사회의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고 바람직한 사회 변화를 이끌어내려는 방안에 관해서 알아본다.
① 사회 변동의 의미와 요인을 이해하고, 사회 변동을 설명하는 다양한 이론적 관점을 탐색한다.
② 근대 사회의 형성 배경을 알아보고, 근대화를 설명하는 다양한 이론적 시각을 살펴본다.
③ 산업화에 따른 노동 및 인구의 변화 과정을 이해하고, 이들 문제에 대한 원인 및 대처 방안을 탐색한다.
④ 세계화가 지니는 사회·문화적 의미와 특징을 파악하고, 세계화 시대에 대비하는 우리 사회의 대처 방안을 모색한다.
⑤ 정보 사회의 형성 과정과 특징을 이해하고, 정보화에 따른 문제점과 해결책을 탐색한다.
⑥ 환경 문제, 전쟁과 테러 등 현대 사회가 당면한 전 지구적 차원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지속가능한 사회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9 12:51:12에 나무위키 2009 개정 교육과정/사회과/고등학교/사회·문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