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덤프버전 :

역대 대학수학능력시험
2020 수능

2021 수능
(2020.12.03.)

2022 수능


1. 개요[편집]


2020년 12월 3일 실시된 대학수학능력시험이다. 2020년대에 처음 치러진 대학수학능력시험이다. 고등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2002년생이 응시 대상이며, 2003년생부터 빠른 년생이 폐지되었기 때문에 이 수능부터는 조기입학을 제외하면 이듬 해의 1~2월생이 포함되지 않는다.


2. 정보[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정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6월 모의평가 (2020.06.18)[편집]


  • 필적 확인란 문구는 「많이 사랑할수록 더 맑게 흐르는」으로, 이해인의 '만남의 길 위에서'에서 발췌했다.
  • 응시자 수: 395,486명 (접수자 수: 483,286명)[1][2]
    • 재학생: 339,658명(85.9%) (접수자 수: 416,529명 (86.1%))
    • 졸업생 및 검정고시학력인정자: 55,828명(14.1%) (접수자 수: 66,757명 (13.9%))
  • 주요 소식 및 사건
    • 2020년 3월 31일, 정부가 수능 일정을 연기하며 모의평가 일정도 2주 연기했다.#
    • 2020년 6월 3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시험 시간표를 일부 조정하였다. 점심시간을 70분으로 늘리고, 오후 영어, 한국사·탐구, 제2외국어·한문 영역 시작 시간을 20분씩 순연하였다. 평가원 관계자는 "코로나19 밀집도를 낮추기 위한 조치"라며 "6월 교육청 주관 고1~2학년 전국연합학력평가도 점심시간을 늘렸고, 시/도 교육청의 요청이 있어 이같이 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 2020년 6월 15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방역 대책에 따라 학교 또는 학원 시험장 입실이 불가능한 응시생이 매 교시 종료 시 공개되는 문제지로 시험을 치르고(재택), 온라인 답안 제출 사이트에서 본인의 답안을 입력하면 이를 별도로 채점하여 성적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공개하였다. 코로나19 확산이 집중되었던 수도권 지역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6평 일주일 전부터 접수를 받았다고 한다. 단, 졸업생이 이 시스템을 이용하려면 6월 모의평가를 사전에 접수해야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었고, 원격시험 인원을 약 3000명 규모로 제한해 시범 운영하였다.#
    • 사회탐구 영역 - 생활과 윤리 9번 문제인 해외 원조에 대해 서양 사상가인 갑과 을의 대화 속에서 이들이 어떤 입장을 보이고 있는지 맞히는 문제에서 존 롤스피터 싱어의 입장에 대해 물었는데, 피터 싱어에 대한 입장을 두고 평가원이 내놓은 정답은 "원조 대상국의 정치 문화의 개선이 강제되어서는 안 된다"의 내용이 담긴 1번이었다. 그러나 모 교사는 "부유한 국가의 모든 시민들은 원조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내용의 4번이 정답이라는 이유로 이의를 제기했다. 이것이 받아들여지지 않자 이 교사는 직접 피터 싱어 교수에게 이메일을 보냈고,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현역으로 강의하고 있는 싱어 교수로부터 "저는 부유한 국가의 모든 시민들을 해외 원조의 대상에서 제외한다"는 답변을 받았다. 하지만 이의 신청 기간이 지나서인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홈페이지에 있는 이의 신청 답변에는 반영되지 못했다.#

3.1. 국어 영역[편집]


응시자 수
1등급 커트라인 원점수
만점자 표준점수(백분위)
만점자 수(비율)
394,024
92
139(100)
1,251(0.32%)


3.2. 수학 영역[편집]



3.2.1. 수학 영역 ‘가’형[편집]


응시자 수
1등급 커트라인 원점수
만점자 표준점수(백분위)
만점자 수(비율)
150,352
88
143(100)
315(0.21%)


3.2.2. 수학 영역 ‘나’형[편집]


응시자 수
1등급 커트라인 원점수
만점자 표준점수(백분위)
만점자 수(비율)
239,327
93[3]
140(99)
2,904(1.21%)


3.3. 영어 영역[편집]


응시자 수
1등급 커트라인 원점수
1등급 수 (비율)
395,028
90
34,472(8.73%)


3.4. 한국사 영역[편집]


응시자 수
1등급 커트라인 원점수
1등급 수 (비율)
395,486
40
168,372(42.66%)


3.5. 탐구 영역[편집]



3.5.1. 사회탐구 영역[편집]


과목
응시자 수
1등급 커트라인 원점수
만점자 표준점수(백분위)
만점자 수(비율)
생활과 윤리
118,862[A]
47
68(98)
3,585(3.02%)
윤리와 사상
26,892
50
67(97)
1,430(5.32%)
한국지리
45,059
47
70(99)
1,167(2.59%)
세계지리
35,116
48
68(98)
1,284(3.66%)
동아시아사
24,608
46
71(99)
417(1.69%)
세계사
17,695
50
70(97)
968(5.47%)
정치와 법
25,344
47
70(98)
843(3.33%)
경제
6,528
47
72(99)
124(1.90%)
사회·문화
119,679[B]
44
68(99)
2,534(2.12%)


3.5.2. 과학탐구 영역[편집]


과목
응시자 수
1등급 커트라인 원점수
만점자 표준점수(백분위)
만점자 수(비율)
물리학Ⅰ
47,813
47
68(99)
1,193(2.50%)
화학Ⅰ
66,010
47
69(99)
1,270(1.92%)
생명과학Ⅰ
100,612
47
69(99)
1,364(1.36%)
지구과학Ⅰ
94,307
41
77(100)
60(0.06%)
물리학Ⅱ
6,648
48
73(99)
191(2.87%)
화학Ⅱ
9,034
39
85(100)
12(0.13%)
생명과학Ⅱ
14,767
44
73(100)
123(0.83%)
지구과학Ⅱ
8,368
47
75(99)
144(1.72%)


3.5.3. 직업탐구 영역[편집]




3.6. 제2외국어/한문 영역[편집]




4. 9월 모의평가 (2020.09.16)[편집]


  • 필적 확인란 문구는 「바위는 제자리에 옴찍 않노니」로, 조지훈의 '산방(山房)'에서 발췌했다.
  • 응시자 수: 389,646명 (접수자 수: 487,347명)
    • 재학생: 323,295명(83%) (접수자 수: 409,287명 (83.9%))
    • 졸업생 및 검정고시학력인정자: 66,351명(17%) (접수자 수: 78,060명 (16.1%))
  • 주요 소식 및 사건
    • 2020년 3월 31일, 정부가 수능 일정을 연기하며 모의평가 일정도 2주 연기했다.#
    • 2020년 9월 4일, 정부가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조치를 시행하면서 300인 이상의 대형학원들에 대해 20일까지 집합금지명령을 내렸다. 학원에서 예정대로 모의평가를 시행할 수 없게 되자 교육부는 9월 모의평가를 시행하는 학원에 대해서 16일 예외적으로 집합금지를 해제하기로 결정하고 모의평가 응시 학원 428곳에 대해 전수조사를 벌여 방역수칙 준수 여부 등을 점검하였다.#
    • 6월 모의평가와 달리 점심시간을 연장하지 않고, 수능 시간표와 동일하게 진행된다.[4]
    • 성적 통지일을 예정보다 2일 앞당겨 수험생들의 수능 준비를 지원하기로 하였다.

4.1. 국어 영역[편집]


응시자 수
1등급 커트라인 원점수
만점자 표준점수(백분위)
만점자 수(비율)
387,945
90
138(100)
234(0.06%)[5]


4.2. 수학 영역[편집]



4.2.1. 수학 영역 ‘가’형[편집]


응시자 수
1등급 커트라인 원점수
만점자 표준점수(백분위)
만점자 수(비율)
126,091
92
132(100)
894(0.71%)


4.2.2. 수학 영역 ‘나’형[편집]


응시자 수
1등급 커트라인 원점수
만점자 표준점수(백분위)
만점자 수(비율)
257,639
84
148(100)
438(0.17%)


4.3. 영어 영역[편집]


응시자 수
1등급 커트라인 원점수
1등급 수 (비율)
389,046
90
22,379(5.75%)


4.4. 한국사 영역[편집]


응시자 수
1등급 커트라인 원점수
1등급 수 (비율)
389,646
40
79,113(20.30%)


4.5. 탐구 영역[편집]



4.5.1. 사회탐구 영역[편집]


과목
응시자 수
1등급 커트라인 원점수
만점자 표준점수(백분위)
만점자 수(비율)
생활과 윤리
119,743
48
68(99)
3,577(2.99%)
윤리와 사상
26,942
48
68(99)
545(2.02%)
한국지리
42,336
50
66(97)
2,740(6.47%)
세계지리
33,632
48
68(99)
761(2.26%)
동아시아사
22,936
48
70(99)
654(2.85%)
세계사
17,256
46
71(99)
225(1.30%)
정치와 법
22,976
47
69(99)
474(2.06%)
경제
5,478
48
70(99)
164(2.99%)
사회·문화
115,982
48
71(100)
405(0.35%)


4.5.2. 과학탐구 영역[편집]


과목
응시자 수
1등급 커트라인 원점수
만점자 표준점수(백분위)
만점자 수(비율)
물리학Ⅰ
50,281
45
69(99)
558(1.11%)
화학Ⅰ
68,010
46
68(99)
1822(2.68%)
생명과학Ⅰ
108,111
47
71(99)
1626(1.50%)
지구과학Ⅰ
104,619
48
68(99)
3006(2.87%)
물리학Ⅱ
3,436
45
71(99)
36(1.05%)
화학Ⅱ
3,567
44
70(100)
25(0.70%)
생명과학Ⅱ
7,318
47
70(99)
156(2.13%)
지구과학Ⅱ
4,521
47
70(99)
50(1.11%)


4.5.3. 직업탐구 영역[편집]




4.6. 제2외국어/한문 영역[편집]




5. 대학수학능력시험 (2020.12.03)[편집]


  • 필적 확인란 문구는 「많고 많은 사람 중에 그대 한 사람」으로, 나태주의 '들길을 걸으며'에서 발췌했다.
  • 응시자 수: 421,034명 (접수 493,433명) [6] #1 #2 #3
    • 재학생: 295,116명 (접수 346,673명)
    • 졸업생 및 검정고시학력인정자: 125,918명 (접수 146,760명)

5.1. 국어 영역[편집]


응시자 수
1등급 커트라인 원점수
만점자 표준점수(백분위)
만점자 수(비율)
419,785
88
144(100)
151(0.04%)


5.2. 수학 영역[편집]



5.2.1. 수학 영역 ‘가’형[편집]


응시자 수
1등급 커트라인 원점수
만점자 표준점수(백분위)
만점자 수(비율)
139,429
92
137(100)
971(0.70%)


5.2.2. 수학 영역 ‘나’형[편집]


응시자 수
1등급 커트라인 원점수
만점자 표준점수(백분위)
만점자 수(비율)
267,483
92
137(100)
1,427(0.53%)


5.3. 영어 영역[편집]


(절대평가)


5.4. 한국사 영역[편집]


(절대평가)


5.5. 탐구 영역[편집]



5.5.1. 사회탐구 영역[편집]


과목
응시자 수
1등급 커트라인 원점수
만점자 표준점수(백분위)
만점자 수(비율)
생활과 윤리
146,832
50
65(98)
5,444(4.19)
윤리와 사상
31,897
50
64(97)
1,678(5.77)
한국지리
62,963
50
63(96)
4,013(8.95)
세계지리
40,809
50
63(93)
4,799(13.64[7])
동아시아사
27,172
48
67(98)
918(3.76)
세계사
19,839
50
67(97)
1,200(6.30)
정치와 법
27,052
47
69(100)
222(0.95)
경제
5,661
47
69(99)
70(1.38)
사회·문화
139,144
44
71(100)
559(0.45)


5.5.2. 과학탐구 영역[편집]


과목
응시자 수
1등급 커트라인 원점수
만점자 표준점수(백분위)
만점자 수(비율)
물리학Ⅰ
53,826
50
64(97)
3488(6.54)
화학Ⅰ
71,815
47
68(99)
884(1.23)
생명과학Ⅰ
117,487
45
71(100)
738(0.63)
지구과학Ⅰ
116,729
45
72(100)
822(0.70)
물리학Ⅱ
2,796
50
62(94)
322(11.52[8])
화학Ⅱ
2,984
45[9]
70(100)
25(0.84)
생명과학Ⅱ
6,585
47
69(100)
64(0.97)
지구과학Ⅱ
4,056
45
69(100)
32(0.79)


5.5.3. 직업탐구 영역[편집]


과목
응시자 수
1등급 커트라인 원점수
만점자 표준점수(백분위)
만점자 수(비율)
농업 이해
292
46
72(99)
6(2.05)
농업 기초 기술
235
43
75(100)
2(0.85)
공업 일반
1269
47
67(98)
41(3.23)
기초 제도
1070
50
67(97)
55(5.14)
상업 경제
1624
47
72(99)
29(1.79)
회계 원리
1415
44
75(100)
7(0.49)
해양의 이해
29
48
69(98)
1(3.45)
수산·해운 산업 기초
22
50
67(98)
1(4.55)
인간 발달
996
50
70(98)
45(4.51)
생활 서비스 산업의 이해
1136
50
68(98)
55(4.84)

5.6. 제2외국어/한문 영역[편집]


과목
응시자 수
1등급 커트라인 원점수
만점자 표준점수(백분위)
만점자 수
독일어
998
44
70( )
2
프랑스어
1,209
46
68( )
11
스페인어
1,265
48
68( )
13
중국어
3,707
48
67( )
85
일본어
5,826
46
69( )
31
러시아어
494
48
68( )
5
아랍어
38,157[10]
45
86( )
347
베트남어
764
48
75( )
29
한문
2,631
49
69(98)
96


6. 의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의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논란 및 사건 사고[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논란 및 사건 사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8. 주요 영역 자료 및 통계[편집]


  • 원점수 평균 및 표준편차

국어 영역
수학 영역 (‘가’형)
수학 영역 (‘나’형)
모의평가(6월)
56.04 / 22.32
52.46 / 22.3
44.49 / 27.91
모의평가(9월)
58.76 / 21.88
59.79 / 24.93
41.62 / 24.49
수능
59.0 / 18.56
57.6 / 23.14
49.64 / 27.28


9. 여담[편집]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당시에 시행된 유일한 대학수학능력시험이다. 다음 수능인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부터는 단계적 일상회복 환경에서 시행될 수 있게 되었다.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이후 오미크론 변이가 발생했으나 2022년 4월 25일부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가 2급 감염병으로 낮춰지고 5월 2일부터는 실외 마스크 의무 해제가 이루어졌다. 또한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두 달 여 뒤인 2023년 1월 30일부터는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또한 권고로 하향되었다.질병관리청

10. 둘러보기 틀[편집]




[ 펼치기 · 접기 ]



파일:한국교육과정평가원 CI.svg

[ 펼치기 · 접기 ]
도입 이전
1994
1995
1996


▣ 1차 실험평가(1990년)
▣ 2, 3, 4차 실험평가(1991년)
▣ 5, 6, 7차 실험평가(1992년)

▣ 2회 시행
8. 20.(금), 11. 16.(화)

▣ 첫 수요일 수능
▣ 인문·자연·예체능 구분 도입

▣ 본고사 시행 마지막 해
1997
1998
1999
2000


▣ 수리 영역 주관식 도입
▣ 수능 만점 200점→400점
오나타 사건

▣ (수시 모집 첫 시행)
▣ 선택과목·표준점수 도입
▣ 첫 수능 만점자 배출

▣ 응시 인원 최다
2001
2002
2003
2004

▣ 제2외국어 영역 신설
▣ 전 과목 만점자 수 최다(66명)
▣ 듣기 방송 미디어 포맷이 EBS FM에서 카세트 테이프로 변경

▣ 성적표 등급 표기 첫 시행
▣ ‘수리 · 탐구 영역 ( I )’은 ‘수리 영역’으로 명칭 변경, ‘수리 · 탐구 영역 (II)’는 ‘사회탐구 영역’과 ‘과학탐구 영역’으로 분리
▣ (정시 라군 폐지)
▣ (특차 전형 폐지)
▣ (수시 제도 30% 확대)

▣ 9월 모의평가 도입(2002년 9월 3일)
▣ 소수점 배점 반올림 성적표 지급 소송 사태 발생

▣ 6월 모의평가 도입(2003년 6월 11일)
▣ 소수점 배점 전면 폐지, 정수 배점 전환
첫 복수 정답 인정

2005
2006
2007
2008

▣ 첫 예비평가 실시(2003년 12월 4일)
▣ 수리 가형 선택 과목 도입
▣ 탐구 선택 과목 도입
▣ 직업 탐구 도입
▣ 제2외국어/한문 영역 명칭 변경
▣ 스페인어Ⅰ 명칭 변경
▣ 아랍어Ⅰ · 한문 도입
▣ 인문 · 자연 · 예체능 구분 폐지
대규모 휴대전화 부정행위 사건 발생

▣ 부산 APEC 정상회의로 인한 수능 1주일 연기
▣ 시험 시 전자기기 압수 의무화, 수능 샤프 일괄 제공, 필적확인란 문구 도입

▣ 시험일 수요일 → 목요일 변경
'수능 등급제' 시행 및 논란
2008학년도 수능 물리Ⅱ 복수정답 사태 논란
▣ (내신등급제 도입)

2009
2010
2011
2012


▣ 수능 등급제 폐지
▣ 표준점수 • 백분위 제도 환원

▣ 눈으로 미리 푸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문제지에 겉표지 도입
▣ 수능 연기 (신종플루)(정상 시행)
▣ (수시 1학기 모집 폐지)

▣ G20 정상회담으로 인해 수능 1주일 연기
▣ EBS 70% 연계 시행 (~2021)
▣ 듣기 방송 미디어 포맷이 카세트테이프에서 CD로 변경
▣ 필적확인란 문구 사전 유출 사고
▣ 중국산 수능 샤프 입찰 비리 논란
▣ (수시 공통 지원서 도입)

▣ '만점자 1%' 조정 정책 공표
▣ 채점 시 이미지 스캐너 도입
▣ 수리 영역 문제지 8면에서 12면으로 변경
▣ 탐구 선택과목 수를 4과목 → 3과목으로 축소, 과학탐구Ⅱ 과목에 대한 최대 선택 수 제한 폐지

2013
2014
2015
2016


▣ '만점자 1%' 조정 정책 2년 실시 후 폐지
▣ (수시 모집 지원 6회 제한)

▣ 두 번째 예비평가 실시
언수외국수영 명칭 변경
▣ 국어 · 수학 · 영어 A / B 형 체제 도입 및 언어 영역 듣기 폐지
▣ 탐구 선택과목 수 3과목 → 2과목으로 축소
▣ 기초 베트남어 도입
▣ 한문 [math(\rightarrow)] 한문 I 으로 명칭 변경
수능 출제오류 관련 소송전 최초 발생

▣ 영어 A / B 형 체제 1년 실시 후 폐지
NEAT로 영어시험 대체(무산)
2017
2018
2019
2020

▣ 시험일 11월 셋째 주 목요일로 변경
▣ 스마트 워치 등 전자 시계 착용 금지
▣ 수능 모의평가 실물 정답지 미배부
▣ 국어 A / B형 체제 폐지
▣ 수학 A / B형 체제 폐지 및 가 · 나형 체제 환원
▣ 수학 영역 세트 문항 폐지
▣ 기초 베트남어 [math(\rightarrow)] 베트남어Ⅰ으로 명칭 변경
▣ 한국사 절대평가 전환 및 필수 영역화

수능 연기(지진)
▣ 영어 절대평가 전환

▣ 국어 영역 정오표 지급
▣ 국어 영역 난이도 조절 실패 사과

▣ 재수생 수능 성적표 사전 유출 파동
2021
2022
2023
2024

▣ 수능 연기 및 첫 12월 시행(코로나19)
▣ 자연계 기하·벡터 제외
▣ 수능 개편 1년 유예

[ 펼치기 · 접기 ]
▣ 2015 개정 체제로 수능 개편
▣ (명목상) 문·이과 통합 수능 체제
▣ 예비평가 폐지 및 예시문항으로 대체
▣ 국어 2중 1택제 도입(언어와 매체·화법과 작문)
▣ 수학 가/나형 폐지 및 3중 1택제 도입(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 EBS (70%→)50% 연계 및 영어 영역 직접연계 폐지
한국사 영역 2009개정교육과정 유지
▣ 한국사 영역 답안지 탐구에서 분리
▣ 사회탐구/과학탐구 계열구분 폐지 및 17택2로 전환
▣ 제2외국어/한문 영역 절대평가로 전환
생명과학 II 영역 소송으로 인한 사상 최초 정답발표 연기
▣ 평가원장 난이도 조절 실패와 출제오류 사태 사과 및 사퇴

▣ 양이 많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문서1, 문서2, 문서3, 문서4 참조.

한국사 영역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
▣ (서울 상위권 10개 대학 정시·의약계 지역인재 40% 선발 도입)

윤석열 정부 수능 출제 방침 지시 관련 파문
▣ (수시 비교과 사실상 폐지)



2025
2026
2027
2028
▣ 일부 대학교 이공계 미적분·기하 필수 폐지
▣ 정시에 학교폭력 이력 반영 대학 증가
▣ 고교학점제 전면 시행

▣ 모든 대입 전형에 학교폭력 이력 반영 의무화
(시행 미정)
▣ 선택과목 폐지
▣ 탐구 영역 통합사회, 통합과학 공통 응시 체제로 전환
▣ (내신 5등급제로 전환)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7 22:58:15에 나무위키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사상 처음으로 수능 및 모의평가에서 응시자 수가 40만 명 밑으로 추락했다.[2] 접수 인원 대비 응시 비율, 그리고 수험생들의 학령 인구 등을 감안했을때 당초 실응시자는 41~42만 명 선으로 추정되었는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여파로 인해 응시율이 떨어진 것으로 보인다.[3] 96점까지 누적 비율이 3.9%였다.[A] 2014학년도 수능 이후 거의 7년 만에 선택자 수가 사회·문화에 밀려 2위가 되었다.[B] 2014학년도 수능 이후 거의 7년 만에 선택자 수가 생활과 윤리를 앞섰다.[4] 고등학교 1, 2학년은 전면 원격수업 또는 격주 등교 중이고, 올해 새 학년 첫 등교를 시작했을 당시와 다르게 거리두기 지침이 다소 느슨해진 점과 수능이 얼마 남지 않았기 때문에 실전과 동일하게 모의평가를 진행했다.[5] 남녀 모두 117명으로 같다. 모처럼 만점자 비율이 0.1% 이하로 나왔다. 역배점 문제를 감안하면 1~3등급컷이 의도적으로 올려졌다는 걸 알 수 있다.[6] 응시자 수가 가장 많았던 2000학년도 수능의 응시 인원 86만 8천여명의 절반도 안 되는 수치이다.[7] 2등급 블랭크[8] 2등급 블랭크[9] 46점과 45점은 표준점수 동일[10] 절대평가로 전환됨에 따라 아랍어 응시자 수가 급감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