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의 자기구속의 원칙

덤프버전 : (♥ 0)

||
[ 펼치기 · 접기 ]

총칙적극행정 · 기간의 계산 · 나이의 계산 및 표시
행정의 법 원칙법치행정의 원칙 · 평등의 원칙 · 비례의 원칙 · 성실의무 · 권한남용금지의 원칙 · 신뢰보호의 원칙 · 부당결부금지의 원칙 · 행정의 자기구속의 원칙
행정작용처분 · 인허가의제( 인가 / 허가 ) · 공법상 계약 · 과징금 · 행정상 강제( 행정대집행 / 이행강제금 / 직접강제 / 강제징수 / 즉시강제 ) · 이의신청 · 재심사
행정입법행정입법
공법민사법형사법행정법현행 법률
헌법
민법
민소법
상법
형법
형소법
행정기본법



1. 개요
2. 근거
3. 기능



1. 개요[편집]


行政의 自己拘束의 原則. 행정청의 재량권행사에 일정한 관행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합리적인 사유가 없는 한 동일한 사항에 대하여 제3자에게 적용했던 선행처분과 같이 상대방에게도 동일한 처분을 적용하게 하도록 행정청 스스로가 구속된다는 법리를 말한다.



2. 근거[편집]


신뢰보호의 원칙이나 신의성실의 원칙에서 찾는 견해가 있으나, 평등의 원칙에서 찾는 견해가 다수설이다.


3. 기능[편집]


행정청의 재량권 행사에 있어 행정권의 자의적 행사를 방지하며 국민의 권리를 보호하고 행정통제를 강화시킬 수 있다.

다만 기속행위에서는 논의되지 않고 재량행위의 영역에서만 행사된다.

그리고 근거가 되는 행정관행이 적법해야 하며 불법행위로 인한 행정관행은 행정의 자기구속의 원칙이 인정되지 않는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07:41:06에 나무위키 행정의 자기구속의 원칙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