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급수별/약자

덤프버전 : r20200302

분류




1. 개요
2. 목록
2.2.1. ㄱ
2.2.2. ㄴ
2.2.3. ㄷ
2.2.4. ㄹ
2.2.5. ㅁ
2.2.6. ㅂ
2.2.7. ㅅ
2.2.8. ㅇ
2.2.9. ㅈ
2.2.10. ㅊ
2.2.11. ㅋ
2.2.12. ㅌ
2.2.13. ㅍ
2.2.14. ㅎ



1. 개요[편집]


한국어문회 출제유형 중 약자문제에 표시되는 약자들을 모았다.
  • 모바일 보다는 컴퓨터로 보자. 예를 들어 旣가 모양자인 한자는 모바일에선 慨처럼 약자가 대신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다만 아이폰의 경우는 애플이 현지화에 꽤 신경을 많이 써줬으므로 그대로 봐도 무관하다.사실 한국기업이 직무태만을 저지른거다
  • 약자에는 신자체가 꽤 많이 보이니 신자체/목록도 참고하면 좋다. 그 다음으로 많이 보이는 것은 간화자이고, 이 둘에 해당하지 않는 약자도 있다. 그덕에 이걸 알면 일본어 공부가 수월해진다.

2. 목록[편집]



2.1. 8급~6급[편집]


본자급수약자
구분할 구6급
나라 국8급
기운 기7급II
대할 대6급II
그림 도6급II
예도 례6급
읽을 독6급II
즐길 락6급II
올 래7급
일만 만8급
필 발6급II
약 약6급II
따뜻할 온6급
의원 의6급
셈 수7급
멀 원6급
놈 자6급[1]
낮 주6급
싸울 전6급II 战, 戦
정할 정6급
그림 화6급
몸 체6급II
배울 학8급
부르짖을 호6급
모일 회6급II


2.2. 5급~3급[편집]



2.2.1. ㄱ[편집]


거짓 가4급II
값 가5급II
깨달을 각4급
거울 감3급II파일:거울감.jpg
볼 감4급II
덜 감4급II
슬퍼할 개3급
대개 개3급II
덮을 개3급II
낱 개4급II
근거 거4급
들 거5급 挙, 舉
칼 검3급II
검소할 검4급
검사할 검4급II
칠 격4급
굳을 견4급
이지러질 결4급II
지름길 경3급II
지날 경4급II
가벼울 경5급
맬 계3급
시내 계3급II
이을 계4급
곡식 곡4급
너그러울 관3급II
집 관3급II
볼 관5급II 覌, 観, 파일:20171215_113611.png
관계할 관5급II
쇳돌 광4급
넓을 광5급II
무너질 괴3급II
거북 구3급
글귀 구4급II
예 구5급II
권할 권4급 劝, 勧
권세 권4급II 权, 権
돌아갈 귀4급
이미 기3급
버릴 기3급
그릇 기4급II파일:器의약자.jpg [2]
긴할 긴3급II


2.2.2. ㄴ[편집]


편안 녕3급II 寍, 寜
번뇌할 뇌3급
골 뇌3급II


2.2.3. ㄷ[편집]


끊을 단4급II
홑 단4급II
둥글 단5급II
멜 담4급II
무리 당4급II
마땅 당5급II
대 대3급II 台, 䑓[3]
큰 덕5급II[4]
홀로 독5급II
등 등4급II


2.2.4. ㄹ[편집]


어지러울 란4급
넘칠 람3급
볼 람4급 覧, 파일:覽약자.png
서늘할 량3급II
두 량4급II
힘쓸 려3급II
고울 려4급II
그리워할 련3급II
연이을 련3급II
쇠불릴 련3급II
익힐 련5급II
사냥 렵3급
신령 령3급II 霊, 灵
화로 로3급II
일할 로5급II
기록할 록4급II
용 룡4급
눈물 루3급
다락 루3급II
떠날 리4급파일:離약자.png
임할 림3급II


2.2.5. ㅁ[편집]


滿 찰 만4급II
팔 매5급
보리 맥3급II
모양 모3급II
꿈 몽3급II
사당 묘3급 庙, 庿
없을 무5급无의 변형
잠잠할 묵3급II
먹 묵3급II


2.2.6. ㅂ[편집]


핍박할 박3급II
무리 배3급II[5]
절 배4급II
번성할 번3급II[6]
가 변4급II 边, 辺
변할 변5급II[7]
병풍 병3급
나란히 병3급
보배 보4급II
부자 부4급II
떨칠 불3급II
부처 불4급II


2.2.7. ㅅ[편집]


말씀 사4급
실 사4급
스승 사4급II
베낄 사5급
죽일 살4급II[8]
맛볼 상3급
뽕나무 상3급II
형상 상4급II
펼 서3급
실마리 서3급II
풀 석3급II
배 선5급
선 선3급II
다스릴 섭3급
건널 섭3급
소리 성4급II
해 세5급II 岁, 嵗
사를 소3급II
붙일 속4급
이을 속4급II
찾을 수3급
목숨 수3급II 寿
짐승 수3급II
따를 수3급II
장수 수3급II
거둘 수4급II
엄숙할 숙4급, 파일:肅의약자.jpg
젖을 습3급II 湿
탈 승3급II
열매 실5급II
두 쌍3급II


2.2.8. ㅇ[편집]


버금 아3급II
아이 아5급II
악할 악5급II
바위 암3급II
누를 압4급II
흙덩이 양3급II
사양할 양3급II
엄할 엄4급
더불 여4급
남을 여4급II
번역할 역3급II
역 역3급II
납 연4급
갈 연4급II
소금 염3급II
경영할 영4급
영화 영4급II
기릴 예3급II
미리 예4급
재주 예4급II 芸, 兿
멀 요3급
흔들 요3급
인원 원4급II
에워쌀 위4급
거짓 위3급II
하 위4급II
숨을 은4급 隐, 隠
응할 응4급II
마땅할 의3급
편안할 일3급


2.2.9. ㅈ[편집]


남을 잔4급
섞일 잡4급
오장 장3급II
감출 장3급II
씩씩할 장3급II
장할 장4급
장려할 장4급
꾸밀 장4급
장수 장4급II
어조사 재3급
다툴 쟁5급
구를 전4급
오로지 전4급
전할 전5급II
돈 전4급
훔칠 절3급
마디 절5급II
점 점4급 点, 奌
깨끗할 정3급II
고요할 정4급
가지런할 제3급II
건널 제4급II
가지 조4급
마칠 졸5급II
세로 종3급II
좇을 종4급 从, 従
쇠불릴 주3급II
준할 준4급II[9]
곧 즉3급II
일찍 증3급II
찔 증3급II
증거 증4급
더할 증4급II
더딜 지3급
다할 진4급
보배 진4급
바탕 질5급II
부를 징3급II


2.2.10. ㅊ[편집]


도울 찬3급II
기릴 찬4급
참혹할 참3급
참여할 참5급II
곳 처4급II
얕을 천3급II
천할 천3급II
밟을 천3급II
옮길 천3급II
쇠 철5급
들을 청4급
관청 청4급
갈릴 체3급
닿을 촉3급II
귀밝을 총3급 聡, 聦
다 총4급II 総, 緫
벌레 충4급Ii
취할 취3급II
이 치4급II
일컬을 칭4급

2.2.11. ㅋ[편집]


없음


2.2.12. ㅌ[편집]


떨어질 타3급
탄알 탄4급
못 택3급II
가릴 택4급
토끼 토3급II


2.2.13. ㅍ[편집]


폐할 폐3급II


2.2.14. ㅎ[편집]


빠질 함3급II
빌 허4급II
드릴 헌3급II
험할 험4급
시험 험4급II
고을 현3급
나타날 현4급
어질 현4급II
반딧불 형3급
은혜 혜4급II
넓힐 확3급
기쁠 환4급 欢, 歓
시골 향4급II
품을 회3급II
새벽 효3급
본받을 효5급II
검을 흑5급
일 흥4급II
놀이 희3급II 戱, 戯

2.3. 2급~1급[편집]


껍질 각1급
낱 개1급 個, 个
물댈 개1급
줄기 경1급
마구간 구1급
유럽 구2급
갈매기 구2급
쓸개 담2급
들 대1급
비칠 도2급
난새 란1급
대바구니 람1급
쪽 람2급
밀 랍1급
수레 량2급
농막집 려2급
나이 령1급
갈대 로2급
대바구니 롱2급
보루 루1급
물굽이 만2급
오랑캐 만2급
미륵 미2급
아우를 병2급
펼 부2급
물가 빈1급[10]
스밀 삼1급
꽂을 삽2급
떫을 삽1급
도장 새1급[11]
가늘 섬2급
불꽃 섭2급[12]
순수할 수1급
이삭 수1급
골수 수1급
수놓을 수1급
노끈 승2급
콩팥 신2급
벙어리 아1급
거리낄 애2급
술빚을 양1급
아가씨 양2급
못 연2급 渊, 파일:淵의약자.png[13]
예쁠 연2급
편안할 온2급 稳, 穏
요임금 요2급
답답할 울2급
너 이1급
두 이2급 弐, 弍
한 일2급
사다리 잔1급
누에 잠2급
장 장1급
성 장2급
돼지 저1급
약제 제2급
권할 종1급
옥잔 찬2급
뚫을 찬2급
겹칠 첩1급
부탁할 촉1급
화할 충2급
어리석을 치1급
바꿀 태2급
으뜸 패2급
짤 함1급
재갈 함1급
싸움배 함2급파일:艦의약자.png
불 허1급
의기로울 협1급
낄 협1급
좁을 협1급
뺨 협1급
골짜기 협2급
좁을 협[14]2급[15]
그릴 회1급
회 회1급
공 훈2급
[1] 점 하나가 빠진다[2] 犬(개 견)에서 大(큰 대)로 바뀌었다.[3] 台는 颱의 약자이기도 한데 2급이라서 뺐다.[4] 心 위의 선이 빠졌다.[5] 非가 北으로 바뀌었다.[6] 母가 毋로 바뀌었다.[7] 攵도 夊로 바뀐다[8] 점이 빠졌다.[9] 점 하나가 줄었다.[10] 본래는 '선거(船渠) 병'이라는 한자이다.[11] 玺로도 쓰지만 공식 약자는 아니며, 오히려 중국에서 간체자로 쓰인다.[12] 중국에서는 變의 간체자로 쓴다.[13] 유니코드 확장 한자 D영역부터 나와서 그림으로 표시하였다.[14] '합'으로도 읽힌다.[15] 중국에서는 陝(땅 이름 섬)의 간체자로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