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 5000호대 전동차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하위문서.png   하위 문서: 한국철도공사 5000호대 전동차/현황


1. 분류
2. 편성 구성
2.1. 1호선
2.2. 경의·중앙선
3. 도입 역사
3.1. 1차분 (1996~1997)
3.2. 2차분 (1997~1998)
3.3. 3차분 (1998)
3.4. 4차분 (2002)
3.5. 5차분 (2003)
3.6. 6차분 (2004)
3.7. 7차분 (2005~2006)
3.8. 8차분 (2006, 321000호대 1차분)
4. 개번 이력



1. 분류[편집]


원래 편성번호 개정 이전에는 1호선, 경의·중앙선 구별없이 5000호대를 사용했다가 6자리 개정 이후에는 다음과 같이 배정되어 구별하고 있다.


1.1. 수도권 전철 1호선에서 운행되는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옛 번호로는 5X01~5X85편성이 해당한다. 단, 1호선 311X83편성부터는 모두 31x000번대로 들어왔다.


1.2.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에서 운행되는 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옛 번호로는 5X86~5X92편성이 해당한다. 단, 경의·중앙선 321X15편성부터는 모두 321000번대로 들어왔다.


2. 편성 구성[편집]



2.1. 1호선[편집]


인천·서동탄·천안·신창 방면
50## (현 3110##) (1)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52## (현 3111##) (2)
M(주변환장치)
53## (현 3112##) (3)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58## (현 3113##) (4)
T(무동력객차)
55## (현 3114##) (5)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54## (현 3115##) (6)
T1(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59## (현 3116##) (7)
T(무동력객차)
56## (현 3117##) (8)
M(주변환장치)
57## (현 3118##) (9)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51## (현 3119##) (10)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청량리·광운대·의정부·소요산 방면


2.2. 경의·중앙선[편집]


↑ 상행 (문산 방면)
50## (현 3210##) (1)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52## (현 3211##) (2)
M(주변환장치)
53## (현 3212##) (3)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58## (현 3213##) (4)
T(무동력객차)
59## (현 3214##) (7)
T(무동력객차)
56## (현 3215##) (8)
M(주변환장치)
57## (현 3216##) (9)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51## (현 3219##) (10)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하행 (용문·지평 방면)

[과거 10량 편성]
↑ 상행 (용산 방면)
50## (1)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52## (2)
M(주변환장치)
53## (3)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58## (4)
T(무동력객차)
55## (5)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54## (6)
T1(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59## (7)
T(무동력객차)
56## (8)
M(주변환장치)
57## (9)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51## (10)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하행 (덕소 방면)



3. 도입 역사[편집]



3.1. 1차분 (1996~1997)[편집]


파일:이촌1호선2004년.jpg
파일:한국철도공사 311x05편성(자석 도색).jpg
311X01편성 (구 5X01편성, 이촌역에서 촬영)
311X05편성 (구 5X05편성)

파일:1607071100613.jpg
내부 모습
  • 5X01~5X06편성
  • 이문차량사업소 소속: 5X01~5X06편성 (변경 후 311X01~311X06편성) (총 10량 6편성)
  • 제작사: 현대정공
  • 일반석 구조: 1칸 한쪽 면 3석-7석-7석-7석-3석
경인선 구간 배차간격 단축 증비 목적으로 도입됐다.

4년 먼저 제작된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와 기본적인 스펙은 동일한 형제기이지만 이들과는 달리 기존 1호선 저항제어 차량과 동일하게 ATS전용으로 도입됐으며 내장재 개조 전 초기에 설치됐던 좌석은 신조저항 차량과 같았다. 상당히 짧은 기간 동안 시운전을 하여 1997년 5월 영업운전을 시작했다.

특이사항은 C/I가 우진산전 라이센스 생산품이 아니라 도시바가 직접 생산한 제품이라는 점이다.

원래 출입문 경고음이 없었으나 안내방송기기 교체로 경고음이 추가됐다. 6개 편성 모두 이문차량기지 소속이다. 1997년 도입 당시에는 구로차량사업소 성북분소 소속이었다가 2004년 이문차량사업소로 소속 변경됐다.

311X01편성은 원래는 아무런 사고나 고장도 없어서 2017년 중반까지만 해도 1호선에서 운행되고 있었다. 그러나 2017년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의 일부 객차에서 대차 프레임 균열, 주휴즈용손 등의 문제가 생기고 사용불능 판정을 받으면서, 그에 해당되는 객차는 조기 휴차시키고 남은 차량들을 재조성해야하는 일이 발생했는데 이때 341X04편성의 원래 중간차 8량이 모두 분리되고 311X01편성이 시흥차량사업소 회송된 뒤 여기 있던 중간차 8량이 341X04편성 부수객차로 편입됐다. 남겨진 TC칸 2량(311001, 311901)은 이때부터 그대로 버려져 방치되어 있다가 2022년 8월에 고철 매각됐고, 341X04편성에 편입되어 운행해오던 중간차 8량은 기본 내구연한 만료에 따라 2022년 2월 11일 부로 휴차됐다.

311X02편성은 2016년 5월에 발생한 노량진역 탈선 사고로 시흥차량사업소에 휴차되어 있다가 수리 후 2017년 8월부터 311802, 311402, 311202호가 각각 341000호대 07, 12~13편성의 부수객차로 쓰이면서 무기한 휴차 처리됐다. 또 2017년 12월 311X40편성의 중저항 무동력차인 311640, 311340호를 311X02편성의 311602, 311302호로 바꾸게 되면서 311X02편성은 남은 중간차[A] 3량과 재조립되어 최종적으로 5량이 되고 시흥기지에 01편성과 같이 계속 휴차되고 있었다. 2022년 2월부로 311X02편성 내구연한 만료로 인해 311202, 311302, 311402, 311602, 311802호 모두 편성 제외됐다.

그러다 2019년 경 시흥기지 구내 남은 5량이 MBC 월화 드라마 아이템에 등장한 것이 확인됐다. 다만 내부 부품이 대부분 취거된 데다 촬영 과정에서 연출을 위해 열차를 옆으로 뒤집은 데다가 유리까지 파손됐기 때문에 02편성은 01편성과 달리 전량 폐차가 확실해졌다.

2022년 내구연한이 만료되기 전까지는 사실상 311X03편성이 1호선 열차 중에서 실질적으로는 첫 번째로 시작되는 편성 번호였다. 중간차들이 뜯기고 선두차만 남아서 2량이 된 311X01편성과 선두차와 중간차 3량[A]만 남아 5량이 된 311X02편성 모두 시흥기지에 장기간 휴차 중인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2021년 10월 기준 311X03~06 4개 편성(+311X01편성의 중간객차 8량(341X04)과 311X02편성의 중간객차 5량)이 운행 중이었고, 311000호대 전동차 중에서는 사실상 차령이 가장 높은 만큼 노후화가 심히 진행됐고 전반적으로 관리상태가 부족한 상태였다. 2021년 9월 중에는 311X03편성이 구로역에서 고장이 나서 311X99편성으로 도중 교체된 적도 있고 311X04편성도 문제가 생겨 중검수 후에도 한동안 구로기지에 있다가 2021년 12월 복귀하기도 했다.

2022년 2월 12일에 311X03편성이, 2022년 2월 18일에는 04편성, 2022년 2월 27일에는 06편성이 기본 내구연한 만료로 영업운행 투입이 종료했으며, 2022년 3월 2일에 05편성을 마지막으로 전 편성이 운행 중단됐다.

동년 8월에는 01, 02편성의 시흥기지에 방치 중이던 잔 2량/5량인 차량들이 모두 폐차매각됐으며, 이번 폐차로 311X01편성과 311X02편성은 차적에서 완전히 삭제됐다. 한국철도공사 1세대 1차분 차량중 최초로 폐차이자, 수도권 전철 1호선 납작이중 최초로 폐차 되었다.

나머지 03~06편성도 2022년 8월 30일자로 모두 매각공고가 올라왔으며 동년 11월에 병점기지에서 모두 반출이 완료됐다. 이로써 이 차량들도 차적에서 완전히 삭제됐다.


3.2. 2차분 (1997~1998)[편집]


파일:external/www.2427junction.com/1c01koreaseoul.jpg
파일:한국철도공사 311x26편성(자석 도색).jpg
311X13편성 (구 5X13편성, 2023년 9월 1일 폐차)
311X26편성 (구 5X27편성, 2023년 4월 29일 운행 중단)
  • 5X07~5X28편성
  • 이문차량사업소 소속: 5X07~5X18, 5X20~5X26편성 (변경 후 311X07~311X25편성) (총 10량 18편성)
  • 구로차량사업소 소속: 5X27~5X28편성 (변경 후 311X26~311X27편성) (총 10량 2편성)
  • 광명셔틀: 319X06~319X07편성 (구 5X19편성) (총 4량 2편성)
  • 제작사: 현대정공
  • 일반석 구조: 1칸 한쪽 면 3석-7석-7석-7석-3석
경인선 구로 ~ 부평 구간 복복선화 등에 따른 차량 증비용으로 도입됐다.

이 차량의 특징은 좌석 형태와 좌석 밑 방열판이 구.서울메트로 차량과 같다는 것과, 출입문과 통로문의 문양이 역삼각 CI시절의 코레일 로고로 변경됐다는 것이다. 먼저 도입된 1차분의 경우 출입문과 통로문의 문양이 부식무늬이다. 좌석은 내장재 개조 후 다른 차량과 같게 됐다. 또한 이 차량부터는 우진산전과 도시바와 기술제휴로 C/I를 국내에서 제작하게 됐다. 또한 출입문의 창틀이 1차분의 경우 살짝 황금빛을 띠었으나 이 차량들은 은빛이다.

구 5X25~26편성(변경 후 311X24~25편성)은 5000호대 디젤 기관차와 차호가 중복되는 관계로 5X55~56편성 번호로 도입됐다가 2001년경, 해당 기관차의 폐차로 인한 차적 삭제로 정상적인 편성 번호로 돌아갔다. 정확히는 폐차가 아닌, 고속철도건설공단으로 소속이 변경됐다. 2012년까지 잔존하다가 5026호는 폐차, 5025호는 보존됐다. 5X55~56편성의 번호는 얼마 안 되어 신규 도입된 후술할 5차분 전동차가 가져가게 됐고 이후 311X54~55편성으로 변경됐다.

소속 차량기지 변경이 많았었다. 구 5000호대 시절 1998년 도입 초창기에 5X10~11편성만 성북분소 소속이었고 5X07~09, 12~28편성은 구로기지 소속으로 배치됐다. 이후 2004년, 이문차량사업소의 개업으로 인해, 당시 덕소까지만 개통 예정이던 수도권 전철 중앙선의 운행을 위해 5X07~14편성이 이문기지 소속으로 변경됐고, 5X15~28편성은 구로기지 소속으로 잔존했다. 당시 성북분소 차량이던 1X67~74, 5X01~06도 함께 이문소속으로 변경됐다. 1X49~53, 75편성도 성북분소 소속이었으나, 2004년 신저항 차량 내장재 교체작업을 이유로 원활한 차량운용을 위해 구로기지로 소속이 변경됐으며, 중앙선 전철 구간이 역 간 거리가 넓어 저항 차량 운영이 적합하지 않았던 점도 있었다. 이후 2007년 5월 경 수도권 전철 중앙선의 차량운용 일원화를 위해 3세대 차량 일부(당시 5X84~88)가 이문소속으로 변경됐고, 이문소속이던 5X10~14편성이 다시 구로기지 소속으로 변경됐다. 이후 2009년, 경원선 구간 운행 차량 부족으로 인해 5X10편성이 다시 이문기지로 복귀함에 따라 2011년 6자리 차호 개정 이전까지 5X07~10편성은 이문소속, 5X11~28(19편성 결차)편성은 구로소속으로 유지됐다.

2011년 차호 개정 이후 한동안 위와 같이 유지되다가(311X07~10편성만 이문차량기지에 소속) 2013년 초에 경원선 구간 운행 증강을 위해 311X11~13편성이 구로에서 이문으로 이동했고(그 과정에서 구로소속 신저항 1X75~77편성도 함께 이동), 이후 2014년, 기존 1000호대 저항차량의 대량 폐차를 앞두고 311X14~24편성의 소속이 구로기지에서 이문기지로 바뀌었다. 이문소속 저항차량 11개 편성과 맞바꾼 것이다. 311X25~27편성은 구로기지에 소속되어 있었으나, 근래 311X01~02편성이 4호선으로 차출됨에 따라 2017년 말 311X25편성이 이문기지로 소속이 변경됐다.

311X07~10, 319X06~07편성은 측면에 편성 번호 스티커가 붙어있지만 311X11~27편성은 편성 번호 스티커가 전두부와 후두부에만 붙어있다. 311X81편성부터의 차량에는 측면에 편성번호 스티커가 붙어 있다.

311X09편성(구 5X09편성)은 2002년 3월 경인선 부평 ~ 주안 구간 복복선 개통식 행사에 개통 기념 열차로 운행했다.

311x13편성의 311413호는 차번 개정 작업 실수로 311431호로 되어있었다.[1]

311X15편성의 311115호 객차에 초창기 옛날 출입문 주의스티커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어 있다.[2]

311X26편성은 2015년에 인천역에서 탈선 사고를 일으켰던 사고 차량이었다.

구 5X19편성은 2007년 5월 12일 영등포역에서 4404호와의 추돌 사고로 파손됐다. 기관차와 추돌한 쪽의 5119, 5719호 2량은 폐차됐고 나머지 8량은 4량 2편성으로 나누어 5019-5319-5519-5419호가 319X06편성으로, 5819-5219-5619-5919호가 319X07편성으로 개조되어 광명셔틀로 투입됐다. 또한 319X06~07편성은 천장에 붙어 있던 LED 전광판을 철거하고 문 위에 LCD 모니터를 장착했다. 그러나 2020년 이후로 운행기록이 없는 상황이며 2022년 8월 즈음에는 배장기 및 내부기기들이 취거된 상태로 구로기지에 방치되어 있다.

311X12편성은 2015년 10월 독산성 임시열차로 운행한 이력이 있었으며, 2020년 1월 외대앞역에서 한 승객에 의해 출입문 유리창이 대파되는 사고를 겪었다. 이후 수리되어 정상운행 중이었으나, 2022년 10월 대다수의 대차와 객차에서 균열이 발생해 무기한 휴차 처분되어 구로기지 유치선에 유치되어 있으며, 2023년 2월 시점에선 전조등이 취거된 상태로 계속 방치되었다가 2023년 9월에는 존재감 없이 311X13~14편성과 같이 폐차 매각 되었다.지못미

311X07편성이 2022년 12월 15일에, 2022년 12월 27일에는 311X08편성이 기본 내구연한 만료로 운행이 중단되고 시흥기지로 회송됐다. 2023년 3월 기준 두 편성 모두 매각공고가 올라왔고 2023년 4월에 폐차매각되어 차적에서 완전히 삭제됐다. 한국철도공사 1세대 2차분 차량중 최초로 폐차되었다.

2023년 들어 대다수의 초기형 전동차들이 대차분의 영업운행 투입이 준비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정밀안전진단 없이 기본 내구연한 만료 시점에 맞춰서 퇴역이 하나둘씩 진행되고 있는 중이다. 311X09편성은 2월 5일, 311X10편성은 2월 15일, 311X11편성은 2월 27일에 기본 내구연한 만료로 시흥기지 회송 및 휴차처분됐으며, 이후 4월 들어 311X09~11편성의 매각공고가 올라왔고 2023년 7월에 완전히 폐차매각되어 시흥기지에서 반출되어 차적에서 완전히 삭제되었다.

2023년 9월에는 311X12~311X14편성이 구로기지에서 반출 되어 차적에서 완전히 삭제되었다. 311X13편성은 1호선 IGBT 납작이중 최초로 폐차되었다.

4월에는 회송되는 곳이 또 변경되고, 다변화되면서 2023년 4월 27일과 30일에 각각 311X16편성 및 311X18편성이 병점기지로 회송됐다. 이로써 1호선 IGBT 개조차량 2차분은 모두 퇴역했다. 그리고 동년 4월 29일에는 311X26편성이 인천주재로 회송됐다.[3] 이 차량들은 중검수 시기가 도래했는데, 중검수를 하고 나면 기본 내구연한 만료 시점이 넘어가게 되므로 중검수 실시 없이 곧바로 영업운행에서 제외된 것이다. 다만 311X18편성은 현재 인턴 견습 용도의 시운전 차량으로 운행되고 있다. 311X22편성은 2023년 3월 31일 이후로 운행을 나오지 않고 있으며, 현재까지도 이문기지에 계속 방치되었다가, 2023년 10월에 311X20~21, 23편성과 같이 매각 공고가 올라왔으며 12월에는 시흥기지에 반출되어 차적에서 완전히 삭제 되었다.

2023년 10월에는 311X15~311X18편성이 시흥기지에서 반출 되어 차적에서 완전히 삭제되었다.

현재 정밀안전진단을 받은 311X24편성만 운행 중이다.


3.3. 3차분 (1998)[편집]


파일:311034.jpg
311X34편성 (구 5X35편성)
  • 5X29~5X42편성
  • 구로차량사업소 소속: 5X29~5X42편성 (변경 후 311X28~311X41편성) (총 10량 14편성)
  • 제작사: 대우중공업
  • 일반석 구조: 1칸 한쪽 면 3석-7석-7석-7석-3석
이 차량부터는 초저항을 대체하기 위해 도입된 차량으로, 1974년에 도입된 초저항 1X01~1X14편성을 대체할 목적으로 도입됐다. 국내 최초의 노후차량 대차분이다. 1998년에 노후된 초저항 중간 차량은 폐차시키며 남은 1980~1981년식 동력 칸과 1984~1985년식 무동력 칸을 중저항(1X54편성~1X58편성, 1X62편성~1X66편성), 신저항(1X81편성, 1X83편성~1X86편성), 개조저항(1X82편성, 1087호)에 편성했으며 58, 62, 63, 82, 85, 86은 TC를 제외한 모든 객차가 초저항이었다.

선두차(3110XX, 3119XX호), 4호차(3113XX호), 7호차(3116XX호)에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공간이 생기고, 객실 행선 안내기 LED가 1개에서 2개로 늘어난 것이 특징이다. 도입 초기부터 14편성 전부 구로기지 소속이다.

311X37편성(구 5X38편성)은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 중 377~384편성,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 1세대처럼 차내에 코모넷을 방송해 주는 TV가 장착되어 있었으나 기기가 노후화되고, 휴대전화의 보급으로 인해 필요가 없어져서 철거됐다.
파일:코레일_311041부수객차.png
311X39~311X41편성은 2018년 말까지 중간에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의 무동력 부수 객차를 넣어서 운용했었다. 이들은 내부 LED 행선 안내기가 달린 것 빼고는 중저항 당시의 실내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으나 내부 불연재 개조 이후 다른 객차들과 유사해졌다. 특히 311X39편성의 311639호는 출입문 일부가 1세대 전동차와 동일한 출입문으로 교체됐다.
무동력 객차 조성 (1998~2018년)
편성
4호차
(T)

7호차
(T)

도입 시기
비고
311X39
-
1841
5차분
(1000호대)
1989년 11월
(대우중공업)

311X40
1839
1939
1989년 12월
(현대정공)

311X41
1840
1940
1989년 12월
(대우중공업)

무동력 객차 조성 (2017~2022년)
311X39
-
341602
1차분
(341000호대)
1995년 5월
(대우중공업)

311X40
311302
311602
1차분
(311000호대)
1997년 2월
(현대정공)

311X41
341304
341604
1차분
(341000호대)
1993년 12월
(한진중공업)
1995년 5월
(대우중공업)

무동력 객차 조성 (2022~2023년)
311X39
-
341602
1차분
(341000호대)
1995년 5월
(대우중공업)

311X40
341313
341613
1993년 12월
(대우중공업)
1995년 4월
(대우중공업)

311X41
341304
341604
1993년 12월
(한진중공업)
1995년 5월
(대우중공업)

그러다 2017년 이후 해당 부수객차의 차령이 25년을 넘어 30년을 바라보게 되어 노후화가 심해졌고, 마침 2016~2017년 탈선 사고 및 일부 객차 조기 퇴역 등의 원인으로 311000호대, 341000호대 VVVF 전동차의 조성 변경이 있게 되자 저항차 출신 부수차를 빼고 VVVF 차량 출신 부수 객차를 대신 연결했다.[4]

  • 중저항 부수 객차를 사용하던 311X40편성은 2017년 12월에 311X02편성의 부수 객차로 교체됐다. 이후 2022년 2월 311X02편성의 기본 내구연한이 만료되자 341X13편성의 부수객차로 다시 교체됐다(311340호, 311640호 → 311302호, 311602호 → 341313호, 341613호).
  • 중저항 부수 객차를 사용하던 311X41편성은 2018년 2월에 341X04편성의 부수 객차로 교체됐다(311341호, 311641호 → 341304호, 341604호).
  • 중저항 부수 객차를 사용하던 311X39편성은 부수차가 1량이었으며, 2018년 12월에 341X02편성의 부수 객차로 교체됐다(311639호 → 341602호).

311X28편성(구 5x29편성)은 2007년 광명~용산 구간에 한 번 투입된 적 있다.

311X31편성은 311931호 전조등 윗부분에 철판이 덧붙여져 있다.

311X34편성(구 5X35편성)은 1999년 1월 경인선 구로 ~ 부평 구간 복복선 개통식 행사에 개통 기념 열차로 운행했다.

311X39편성(구 5X40편성)이 1량만 중저항 부수 객차였던 이유는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개조 중저항 전동열차 중 1X87편성과 연관이 있다. 이는 Tc칸이 1087호만 있었고 짝을 이룰 1187호가 없었기 때문이다.

311X32, 35~38편성은 2023년에 정밀안전진단 대상 차량으로 선정되었다.

311X28편성이 2023년 7월 19일에 내구연한 만료로 인해 운행이 중단되어 시흥기지로 회송되었고, 311X29편성도 동년 8월 15일에 내구연한 만료로 운행이 중단되어 병점기지로 회송되었다. 311X31편성도 동년 9월 12일에 내구연한 만료로 운행이 중단되어 구로기지에 유치되었고, 이후 동년 9월 30일에 시흥기지로 회송되었다. 311X30편성도 동년 9월 15일에 내구연한 만료로 운행이 중단되어 구로기지에 유치되었다. 이로써 311x28편성은 노후차량 대차분 최초로 퇴역했다.

2023년 12월에는 311X28~311X29편성이 구로기지에 폐차반출되어 차적이 완전히 삭제 되었다. 한국철도공사 1세대 3차분중 최초로 폐차되었으며, 노후차량 대차분 중 최초로 폐차매각 되었다.

현재 정밀안전진단을 받은 311X32, 35~38편성이 운행하고 있다.



3.4. 4차분 (2002)[편집]


파일:KNR5000new-1.jpg
파일:한국철도공사 311x43편성(자석 도색).jpg
311X42편성 (구 5X43편성)
311X43편성 (구 5X44편성)
1976~1977년에 도입된 초저항 1X15편성~1X20편성을 대체할 목적으로 도입됐다. 2001년~2002년에 노후된 초저항 중간 차량은 폐차시키며 남은 1981년식 동력 칸과 1984~1985년식 무동력 칸을 중저항(1X54~1X58, 1X62~1X66편성), 신저항(1X81, 1X83~1X86편성), 개조저항(1X82, 1X88~1X94편성)에 편성했으며 58, 62, 63, 85, 86은 TC를 제외한 모든 객차가 초저항이었다.

1~3차분과의 대체적인 특성은 동일하나 고속 부분 구동음이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 3차분 차량과 같은 것으로 바뀌었고, 차량 디자인도 직각형에서 유선형으로 변경되어 341000호대 3차분과 동일해졌지만, 좌석 창문이 일체형 통유리로 바뀌고 출입문 유리창도 직사각형으로 바뀌면서 측면 외형에는 상당한 차이가 생겼다.

도입 당시, 부분적으로 불연재 내장재를 탑재했다. 좌석 시트, 바닥재, 손잡이만 가연재였다. 그러므로 내장재 교체 사업 때에 의자, 바닥재, 손잡이만 교체하면 됐다.[5]

도입 당시 도색은 4호선 341000호대, 분당선 351000호대와 비슷하게 녹색과 청록색의 띠를 적용했으나, 2005년에 한국철도공사가 출범하면서 현재의 도색으로 변경됐다.

6편성 모두 도입 당시에는 구로기지 소속이었으나 2010년 311X48~53편성과 소속 기지를 맞바꿔 병점기지로 소속이 변경됐다. 이후 2022년 311X42~46편성이 다시 소속 기지를 바꾸어 12년 만에 구로기지로 돌아오게 됐다. 그러나 돌아온 5편성 모두 병점기지에서 배속되어 운행하다 보니 열차에 무리가 가는 경부선 다이아를 주로 운행하게 되면서 차체가 심하게 노후화됐고 이런 이유로 구로로 돌아온 이후에는 경인선 급행에만 투입되고 있었지만, 최근에는 다시 완행에도 활발하게 투입되고 있다.

311X46편성(구 5X47편성)은 2003년 4월 경부선 수원 ~ 병점 구간 복복선 개통식 행사에 개통 기념 열차로 운행했다.

311X47편성은 2012년에 천안역에서 탈선한 이력이 있다. 현재는 수리되어 정상 운행 중이다.

311X47편성은 출입문이 스크류모터식으로 개조됐다.

311X42~45편성은 도시바 IGBT 소자로 개조됐다.

통로문이 수동출입문 시절에는 1~3차분 시절 차량처럼 직사각형유리 통로문이 가로가 길게 나왔었다.

철도차량 중장기 구매계획서[a]와 노후전동차 잔존수명평가 결과서[6]를 보면 2023년부터 교체될 1996~1998년식 1~3차분과 마찬가지로 이어서 2002년산 첫 편성인 311X42편성이 차령 25년을 맞는, 즉 제작 당시 기본 내구연한이 만료되는 시점인 2027년부터 교체가 진행될 예정인 듯 하다.

2023년 11월 311x42편성이 정밀안전진단 대상 차량으로 선정되었으며, 정밀안전진단 대상이 아닌 나머지 차량들은 퇴역 전까지 동인천~용산 급행으로만 운행할 것으로 보인다.


3.5. 5차분 (2003)[편집]


파일:전동차.jpg
파일:1606922091042.jpg
311X49편성 (구 5X50편성)
311X58편성 (구 5X59편성)
  • 5X49~5X64편성
  • 병점차량사업소 소속: 5X55~5X57, 5X60~5X64편성 (변경 후 311X54~311X56, 311X59~311X63편성) (총 10량 7편성)
  • 구로차량사업소 소속: 5X49~5X54, 5X58~5X59편성 (변경 후 311X48~311X53, 311X57~311X58편성) (총 10량 8편성)
  • 제작사: 주식회사 로템
  • 일반석 구조: 1칸 한쪽 면 3석-7석-7석-7석-3석
1977~1979년에 도입된 초저항 1X21~1X28편성을 대체할 목적(311X48~52, 55~57편성이 해당)과 경부선 수원 ~ 병점 구간의 개통에 따른 차량 증비용(311X53~54, 58~63편성이 해당)으로 도입됐다. 2003년~2004년에 노후된 초저항 중간 차량은 폐차시키며, 남은 1981~1989년식 동력 칸과 1985년식 무동력 칸을 중저항(1X54편성~1X58편성, 1X62편성~1X66편성), 신저항(1X81편성, 1X83편성~1X86편성), 개조저항(1X82편성, 1X88편성~1X94편성)에 편성했다.

도색으로는 311x00호대 전동차 중 가장 마지막으로 구도색이 적용된 전동차(311X48편성(구 5X49편성)~311X52편성(구 5X53편성)까지)이자 311x00호대 전동차 중 최초로 한국철도공사 신 CI 도색이 적용된 전동차(311X53편성(구 5X54편성)부터~311X63편성(구 5X64편성))이기도 하다. 또한 한국의 철도차량 중 마지막으로 롤지를 장착하고 나온 차량이며 출입문에 철도청 구 CI가 적용된 마지막 전동차이다.

사양과 내부는 4차분과 동일하나 통로문 유리가 서울도시철도 5~8호선 전동차와 유사하게 위아래로 긴 모양으로 변경됐다. 현재는 자동 통로문으로 개조됨에 따라 볼 수 없게 됐다.

도입 초반에는 16개 편성 모두 병점기지 소속이었다가 2010년 중순 경, 기존의 구로기지 소속이던 311X42~47편성과 소속을 맞바꿔 311X48~53편성이 구로기지로 소속이 변경됐다.

이후 2022년 초순경, 기존 병점기지 소속이었던 311X42~46편성과 311X57~311X58편성으로 총 7편성이 구로기지로 배속을 옮기게 됐다. 대신 7차분 311X70~311X76이 병점으로 바뀌었다.

2021년 기준 311X48, 54~56, 59~63편성은 도시바 IGBT 소자이며, 311X49~53, 57, 58편성은 도시바 GTO 소자로 운행 중이다.

351000호대 4차분과 같이 도입 당시 GTO 소자를 달고 나온 마지막 전동차이다.

311X54편성은 병점기지에서 출고 대기 중에 하부기기가 침수되어 중고장을 일으켰으나 이후 시흥차량사업소에서 수리를 받고 2012년 3월부터 현재까지 정상 운행 중이다. 참고로 당시 수리 비용이 10량 열차 한 편성 신규 구매에 버금갈 만큼 많이 들었다고 한다.

311X61편성은 311061호 1-1 왼쪽에 정사각형 창문의 출입문을 달고 운행한 적이 있었다. 현재는 다시 동일 종으로 교체됐다.

311X60편성(구 5X61편성)부터는 도시바 IGBT 소자로 반입됐고, 311X63편성(구 5X64편성)만 일부 객차는 도시바 GTO, 또 일부 객차는 도시바 IGBT 소자가 장착되어 반입됐으나, 현재는 모두 IGBT로 개조하여 운행 중에 있다. 사실상 GTO에서 IGBT로 넘어가는 과도기형 편성이라고 볼 수 있다. 참고로 311X63편성은 운행 중에 출입문 창문이 통째로 깨져서 한동안 박스에 X자로 테이핑질을 하고 운행했다가 수리 후 다시 정상 운행 중이다.

2021년 1월, 5차분도 교체 계획이 수립됐다. 대차분을 2025년에 발주하여 2028년까지 교체한다는 계획이다.[a]

2023년 11월 311X60편성을 제외한 전편성이 정밀안전진단 대상열차가 되었다.


3.6. 6차분 (2004)[편집]


파일:1호선신창행_311064.png
파일:IMG5065311065.jpg
311X64편성 (변경 후 5X65편성)
내부 모습
  • 5X65~5X66편성
  • 병점차량사업소 소속: 5X65~5X66편성 (변경 후 311X64~311X65편성) (총 10량 2편성)
  • 제작사: 주식회사 로템
  • 일반석 구조: 1칸 한쪽 면 3석-7석-7석-7석-3석
경부선 병점 ~ 천안 구간의 개통에 따른 차량 증비용으로 도입됐다.

한국철도공사의 전동차 중에서는 최초로 도입 당시부터 불연재 내장재가 적용된 차량이고, 불연재 내장재를 적용한 일종의 시제차인만큼 기존 전동차에 비해 비교적 특이한 인테리어가 적용됐다. 바닥재 색상이 전면 하늘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7], 좌석 형태와 출입문 위 노선도 부착 공간이 기존 도입분과 다르다. 그러나 하늘색 바닥재는 히터열로 인한 변색 및 훼손이 심해져 타 차량과 동일한 회색과 남색 조합의 바닥재로 교체됐다. 출입문 앞쪽 바닥의 철판 양 옆을 유심히 살펴보면 하늘색 바닥재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전장품은 도시바 GTO 인버터를 사용했던 기존 전동차와는 달리 도시바 IGBT 인버터를 사용했으며 도입 당시부터 LED 방식 행선 안내판과 열차 번호 표시기가 장착됐다.

내/외부 디자인은 기존 4/5차분과 거의 동일하나 기술적 사양은 이후의 7차분에 가까운 과도기적 차량이다. 제동특성 역시 7차분과 거의 똑같은 반응을 보인다.

311X65편성(구 5X66편성)은 2005년 1월 경부선 병점 ~ 천안 구간 복복선 개통식 행사에 개통 기념 열차로 운행했다.[8]

공기식 출입문을 사용하는 전동차 중 이 두 편성만 객실 출입문에 열쇠구멍이 없다. 출입문 고장 등으로 해당 출입문의 공기관 코크를 꺾어서 제어공기를 배기하고 출입문을 쇄정조치할 일이 있을 때 이 편성들의 경우는 출입문 쇄정에 열쇠가 필요없기 때문이다.

한국철도공사 VVVF 2세대 전동차 중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제작됐다. 또한 대한민국 철도청 시절에 제작한 마지막 전동차이며, 한국철도공사 소속 차량 중 마지막 공기식 출입문 차량이다.

출입문 문양은 4/5차분과 달리 코레일 신형 로고가 새겨져있다.

2022년 11월에 4~6차분들도 7~11차분, 12~13차분 차량처럼 CCTV가 설치됐다.

해당 차량의 대차분은 2026년에 발주하여 2029년까지 도입 예정이다.

2023년 11월 311X65편성은 정밀안전진단 대상열차가 되었다.


3.7. 7차분 (2005~2006)[편집]


파일:Resized_IMG_4298.jpg
파일:Wide area railway_2.jpg
311X68편성 (구 5X69편성)
내부 모습
  • 5X67~5X78편성
  • 구로차량사업소 소속: 5X67~5X70편성 (변경 후 311X66~311X69편성) (총 10량 4편성)
  • 병점차량사업소 소속: 5X71~5X78편성 (변경 후 311X70~311X77편성) (총 10량 8편성)
  • 제작사: 현대로템
  • 일반석 구조: 1칸 한쪽 면 3석-7석-7석-7석-3석
1980~1986년에 도입된 초저항 1X29~1X40편성의 부수 객차를 대체할 목적과 중앙선 청량리 ~ 덕소 구간의 복선 전철화에 따른 차량 증비용으로 도입됐다. 7차분은 중앙선용 차량으로는 2007년 이후에 투입되지 않았고 8차분 일부 편성이 투입됐다.

소음과 진동을 획기적으로 줄인 '신개념 웰빙형 전동차'를 표방한 차량으로 2005년 말부터 본격적으로 영업운전을 시작했다. 처음부터 한국철도공사 신도색과 신 CI, 불연재 내장재가 적용되어 나왔다. 실내 설비의 경우 좌석 밑에 있던 히터가 경량 프리 히터로 변경되어 좌석 밑에 여유 공간이 많이 생겼다. 이 차량을 시작으로 한국철도공사는 전기식 도어를 본격적으로 도입했다. 한편 냉방공조기 가동 시 소음이 있고, 고속 주행 시에는 GTO 소자와 다를 것 없이 굉음이 들리는 한계가 있다.

중앙선의 경우 처음부터 8량으로 투입하지 않고 덕소역 이후 구간이 개통되기 전까지는 1호선과 차량을 공유했으며, 차량 내부 노선도에도 1호선의 노선도와 중앙선의 노선도가 색상만 다른 채 같은 노선으로 표기되어 있었다.

이 중 311X70~77(당시 5X71~5X78)편성은 2006년 말 광명셔틀 개업으로 인해 한동안 광명셔틀 운행 전담 차량으로 지정되어 운행했으나, 광명셔틀이 수요가 없어서 4량화가 결정되고 2008년 한국철도공사 319000호대 전동차 도입으로 다시 1호선 본선 운용으로 복귀했다. 정확히는 5X19 잔여 8량과 5X79, 5X80 중 일부와 5x86~5x92, 6x01~6x07 중 일부를 개조한 것이다. 이후 311X70~76편성은 구로기지 소속으로, 311X77편성은 병점기지 소속으로 배정되어 2022년 초순까지 운행했으나 2022년 초순의 배속 기지 변경으로 인해 311X70~76편성으로 총 7편성이 병점기지로 소속을 옮겨가게 됐다.
  • 311X66편성(구 5X67편성)은 2005년 12월 경인선 주안 ~ 동인천 구간 복복선 개통식 행사와 중앙선 청량리 ~ 덕소 구간 복선 전철 개통식 행사에 개통 기념 열차로 운행했다.
  • 311X74편성(구 5X75편성)은 2010년 5월 구로차량기지에서 1X58편성과 추돌하는 사고를 겪었다. 이후 문산차량기지에서 수리후 차량 번호까지 개정되어 2011년 중반부에 수리가 완료되어 정상 운행중이다.
  • 311X75편성(구 5X76편성)은 2006년 12월 영등포 ~ 광명 구간 셔틀 열차 개통식 행사에 개통 기념 열차로 운행했다.
  • 311X77편성(구 5X78편성)은 2008년 12월 경부선 천안 ~ 신창 구간 복선전철 개통식 행사에 개통 기념 열차로 운행했다.
  • 311X66편성(구 5X67편성)과 311X69편성(구 5X70편성) 그리고 311X70편성(구 5X71편성)은 2010년 잠시 영업했던 GOGO 급행 열차로 운행한 적이 있다.
  • 311X68편성은 2019년 3월, 철도종합시험선로에서 종합시험운행 직교류 절환 시운전을 진행하기 위해 오송으로 회송됐던 적이 있다.
  • 311X69편성(구 5x70편성)은 2009년 서해안테마열차로 운행한 적이 있다.[9] 지금도 일부 출입문 쪽에 자세히 보면 흔적이 남아있다. GOGO급행열차와는 달리 해당열차 내에서 노래자랑과 어린이 장기자랑 등 다양한 이벤트가 개최된 적이 있었다.


3.8. 8차분 (2006, 321000호대 1차분)[편집]


파일:코레일31904.jpg
319X04편성
1호선
  • 병점차량사업소 소속: 5X81~5X83편성 (변경 후 311X78~311X80편성) (총 10량 3편성)
  • 이문차량사업소 소속: 5X84~5X85편성 (변경 후 311X81~311X82편성) (총 10량 2편성)
  • 광명셔틀: 319X01~319X05편성 (총 4량 5편성)
경의·중앙선
  • 용문차량사업소 소속: 5X86~5X92편성 (변경 후 321X01~321X07편성) (총 8량 7편성)
  • 일반석 구조: 1칸 한쪽 면 3석-7석-7석-7석-3석
경원선 소요산 ~ 의정부 구간의 복선 전철화에 따른 차량 증비용으로 도입됐다.

실내 구성의 경우 거의 변화가 없으며, 객실 환기용 팬과 1인 승무 기능이 추가됐다.

당초 5X79~5X92편성이 도입됐으나 5X79~5X80, 5X86~5X92편성은 광명셔틀경의·중앙선 운행을 위해 한국철도공사 319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로 이적했고, 5X79~80편성의 TC는 321x15~321x16의 운전실로 개조, M칸은 321x16~321x17의 M칸으로, T칸은 321x17~321x18의 T로 개조됐으며, 나머지는 광명셔틀, 중앙선 차량으로 흩어졌다. 5X86~5X92편엉 또한 광명셔틀이나 중앙선 개조로 인해 흩어졌다. 나머지는 계속 1호선에 투입되어 5000호대가 311000호대로 개정될 때 구 5X81편성부터 구 5X85편성까지는 -3씩 앞당겨 구 5X81편성은 311X78편성, 구 5X85편성은 311X82편성으로 개정됐다.

도입 초기에는 5X79~5X84편성이 구로소속, 5X85~5x88편성이 병점소속, 5X89~5x92편성이 이문소속으로 배치됐고 실제로 경부선 등 1호선 전 구간을 다녔으나, 2007년 5월경, 하반기 중앙선 팔당까지의 개통을 앞두고 8량화 등 차량 운용 문제로 인해 소속이 모두 바뀌었다. 5X79~5x82편성이 병점소속, 5X83편성이 구로소속, 5X84~5X92편성이 이문소속으로 최종 배치됐고, 위에서 언급했듯이 5X86~5x92편성은 이후 중앙선 전용으로 이적한다. 이후 2008년 중앙선 추가 도입분 및 차량 개조를 위해 5X79~5x80편성이 차출됐으며 최종적으로 5X81~5X83편성이 병점소속, 5X84~5x85편성이 이문소속으로 배치됐고, 2011년 차호 개정을 거친 후 현재에 이르고 있다.

광명셔틀로 운행 중인 319X01~05편성은 천장에 붙어 있던 LED 전광판을 철거하고 문 위에 LCD 모니터를 장착했다.
파일:31180민원전철.png
민원 전철로 개조되어 운행했던 시절의 모습이다. 원래 민원 전철로 다니던 시절에는 경부선 광운대 ~ 서동탄 구간 전용으로 운행했으나 민원 전철이 사라지기 직전부터 소요산, 인천, 천안 이남까지도 다니기 시작했다.

311X80편성은 이것저것 많은 부분이 개조된 적이 있다. 중앙선 신형 전동차에 적용할 목적으로 현대로템 IGBT로 개조된 적도 있고[10], 경북홍보테마열차로 운행된 적도 있으며, 311580호 객차를 개조하여 민원 전철 365라는 이름으로 2013년 12월 31일까지 평일에는 4회씩, 주말에는 1회씩 운행했다.

311X81편성부터는 운전대의 모양이 다르며, 1인승무에 대비한 중앙 DOS가 추가되어 있다. 이외에 창닦이 워셔액 분사기능이 추가되고 ~80편성 대비 제동이 밀리는 등 소소한 차이가 있다.

321X04편성(구 5X89편성)은 2006년 12월 경원선 소요산 ~ 의정부 구간 복선 전철 개통식 행사에 개통 기념 열차로 운행했다. 지금은 1호선과 중앙선의 계통 분리에 따라 321000번대로 바뀌며 321X04편성이 됐다. 5589호는 321515호로 개조됐으며 5489호는 319901호로 개조된 것으로 확인됐다.

5000호대로 도입됐던 마지막 차종이다. 이후 교류 전용인 6000호대가 투입되긴 하지만 이건 321000호대로 이어진다. 또한 5X86~5X92가 8량으로 짤리면서 직류관련 기기를 몽땅 떼버렸다.

전기형(7~8차분) 차량들도 2022년 하반기에 CCTV가 설치됐다.


4. 개번 이력[편집]


편성 번호 개번
개번 전
개번 후
개번 시기
5X01
311X01
2011년
5X02
311X02
5X03
311X03
5X04
311X04
5X05
311X05
5X06
311X06
5X07
311X07
5X08
311X08
5X09
311X09
5X10
311X10
5X11
311X11
5X12
311X12
5X13
311X13
5X14
311X14
5X15
311X15
5X16
311X16
5X17
311X17
5X18
311X18
5X19
319X06
319X07

2008년
5X20
311X19
2011년
5X21
311X20
5X22
311X21
5X23
311X22
5X24
311X23
5X25
311X24
5X26
311X25
5X27
311X26
5X28
311X27
5X29
311X28
5X30
311X29
5X31
311X30
5X32
311X31
5X33
311X32
5X34
311X33
5X35
311X34
5X36
311X35
5X37
311X36
5X38
311X37
5X39
311X38
5X40
311X39
5X41
311X40
5X42
311X41
5X43
311X42
5X44
311X43
5X45
311X44
5X46
311X45
5X47
311X46
5X48
311X47
5X49
311X48
5X50
311X49
5X51
311X50
5X52
311X51
5X53
311X52
5X54
311X53
5X55
311X54
5X56
311X55
5X57
311X56
5X58
311X57
5X59
311X58
5X60
311X59
5X61
311X60
5X62
311X61
5X63
311X62
5X64
311X63
5X65
311X64
5X66
311X65
5X67
311X66
5X68
311X67
5X69
311X68
5X70
311X69
5X71
311X70
5X72
311X71
5X73
311X72
5X74
311X73
5X75
311X74
5X76
311X75
5X77
311X76
5X78
311X77
5X79
321X16
2008년
5X80
321X15
5X81
311X78
2011년
5X82
311X79
5X83
311X80
5X84
311X81
5X85
311X82
5X86
321X01
2008년
5X87
321X02
5X88
321X03
5X89
321X04
5X90
321X05
5X91
321X06
5X92
321X07
6X01
321X08
6X02
321X09
6X03
321X10
6X04
321X11
6X05
321X12
6X06
321X13
6X07
321X14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12:49:52에 나무위키 한국철도공사 5000호대 전동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A] A B 311002-311102-311502-311702-311902[1]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모노레일 마이너 갤러리[2]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모노레일 마이너 갤러리[3]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모노레일 마이너 갤러리[4] 관련 게시글, 출처: 네이버 블로그[5] 관련 이미지[a] A B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모노레일 마이너 갤러리[6]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모노레일 마이너 갤러리[7] 관련 이미지[8] 「2005.1.20 電鉄線は南へ、忠清道へ!」, 출처: 東アジア鉄道イソウロウ事務所[9] (페이지 접속 불가)[10] 관련 게시글, 출처: 네이버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