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조회상

덤프버전 :

분류

平調會相

영산회상의 세 종류 중 하나로, '중광지곡'을 4도 아래 조옮김한 곡이다.[1] 아명은 '유초신지곡(柳初新之曲; 버드나무 새 잎의 음악)이다. 일반적으로 부를 때는 아명인 '유초신'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다. 곡의 구성은 중광의 9곡에서 하현도드리가 빠진 8곡으로 구성된다.

중광지곡과는 달리 합주시 대규모 관현악 편성으로 연주한다. 피리(향피리),대금, 소금, 가야금, 거문고, 해금, 아쟁, 장구, 좌고 등이 편성되고 을 갖춘다. 장구좌고등을 빼면 음량에 따라 복수편성한다. 물론 제대로 된 포맷에 따라 합주할 때 얘기고, 대금독주나 두세 가지 악기들끼리 중주나 합주하기도 한다.

조성은 임종이 주음이 되는 임종 계면조, 즉 황종 평조로 음계가 潢 -太 -仲 -林 -南으로 되어 있다.[2][3]

세 가지 영산회상 중 가장 연주하기 쉽고 평이한 흐름의 곡으로, 정악 중에서는 기본이 되는 곡이다. 수연장지곡을 떼고 난 후 유초신을 연습하기도 하고, 수연장보다 유초신 상령산을 먼저 배우기도 할 정도. 관악기 주자들에게는 유초신은 기교보다 음량, 즉 힘(!)을 필요로 하는 곡으로 전통음악의 흐름을 익힐 수 있는 곡이기도 하다. 중광지곡과 비교해 보았을 때 악기들의 주법도 사뭇 다른데, 대금은 평취나 역취를 주로 쓰며, 해금 역시 원산(줄받침)을 움직여 음량을 키운다. 피리도 세피리가 아닌 향피리를 써서 음량을 배가시킨다. 중광이 실내악이라면 유초신은 잔치나 연향에 쓰이는 음악이기 때문이다.

대금의 독주곡으로도 유명하다. 또 궁중 정재인 춘앵전에서 유초신의 상령산을 쓴다.

유초신의 타령이나 군악은 대규모 편성을 하면 능청능청 듣기도 화려하고 연주하기도 무난해 대학교 국악 동아리의 연주회에서 자주 연주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3 22:21:16에 나무위키 평조회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제목의 '평조'가 바로 음을 낮게 조옮김했다는 뜻이다.[2] 임종 계면조의 음계에는 無가 포함되어야 하지만, 이 곡은 협종이 태주로 교체되어 변형된 황종 계면조(潢 -太(원래는 夾) -仲 -林 -無)인 현악 영산회상을 4도 아래(林)로 낮춰 변조한 것이기 때문에 자연히 夾처럼 無가 南로 변한 것이라고 추측된다.[3] 군악만 예외적으로 태주평조로 연주한다. 하지만 태주 평조의 경우 음계가 太 -姑 -林 -南 -應이여야 하는데 실제로는 應 대신 潢을 연주해 변형된 태주 평조라는 설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