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블레이드(만화)

덤프버전 :

파일:bakuten_comic.jpg

1. 개요
2. 발매 현황
4. 설정
4.1. 등장팀
4.2. 베이블레이드(팽이) 목록
5. 미디어 믹스


1. 개요[편집]


탑블레이드를 원안으로 하는 일본 만화.


2. 발매 현황[편집]


1999년 9월호부터 2004년 7월호까지 쇼가쿠칸의 <월간 코로코로 코믹>에 연재됐으며, 작가는 아오키 타카오(공식 홈페이지)[1]다. 메탈 베이블레이드를 제외한 모든 탑블레이드 애니메이션의 원작이 되는 코믹스로, 애니메이션에 비해 스토리는 비교적 짧고 간략한 편이다. 즉 애니메이션에서 추가된 스토리나 캐릭터가 많은 편이라는 이야기.

'탑블레이드'라는 팽이 대결 스포츠가 유행인 세계에서, 팽이를 사용하는 '탑블레이더'들이 동료들을 만나고 다양한 상대에게 이겨 나가며 가며 주인공이 성장해 나가는 모습을 그린 저연령층 대상의 작품. 팽이의 상단에 탑재되는 비트 칩에 영적인 존재인 성수가 깃든다는 점에선 판타지에 속한다.

한국에선 2002년부터 서울문화사의 아이큐 점프에 연재되었으며, 번역은 초기에 김수경이 맡았다가 9권 분량부터 상행경으로 변경됐다. 시리즈가 한물간 시점인 2005년 13권에서 끊겼으나, 2009년에야 14권으로 완결했다.

등장인물들의 과거나 가족사정이 자세하게 묘사되어 있는 등(애니에서는 중요한 것 빼곤 다 잘렸다.) 애니와 공통적인 스토리에서도 세세한 부분에서는 차이가 좀 있다. 특히 결말 부분이 차이가 큰데, 코믹스 결말부에서는 최종결전으로부터 15년이 지나 애아빠가 된 탑블레이더들과 2세들이 등장하는 것으로 끝을 맺어 충격을 선사한다.


3. 등장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탑블레이드(만화)/등장인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설정[편집]



4.1. 등장팀[편집]


일본판과 명칭이 다를 경우 정발판 기준으로 표기하고, 괄호 안에는 일본판 명칭을 변화 순서대로 표기합니다.

  • TBA (BBA / BBA 레볼루션 / G 레볼루션즈)
  • 중국팀 (백호족 / 백호)
  • 미국팀 (PPB[2] / PPB 올스타즈)
  • 유럽팀
  • 괴물팀 (팀 WHO)
  • 러시아팀 (보그 / 네오 보그)
  • 사이킥 팀
  • 세인트 실즈
  • 발테스 팀 (발테즈 솔저)
  • 상그레 팀 (F-상그레)
  • TEGA (BEGA)

팀 간의 전적은 탑블레이드(만화)/애니메이션/대회 결과표 문서 참조.


4.2. 베이블레이드(팽이) 목록[편집]


이름 표기는 한국 정발판을 기준으로 함. 팽이 이름 옆에는 사용자 이름과 팽이에 깃든 성수의 종류를 적어둡니다.

한국팀 (TBA)
  • 드래곤 (좌회전 팽이) - 강민 / 청룡
  • 드래이거 - 레이 / 백호
  • 드랜져, 블랙드랜져 - 카이 / 주작, 검은주작(인조성수)
  • 드래셀 - 맥스 / 현무
  • 가이아 드래곤 - 태양 / 황룡
  • 아인슈타인 - 교수 / 개구리 (정발x,단, 랜덤 부스터2, 3에 등장하는 데스 드래이거의 어택링과 점핑 베이스로 조합 가능)

중국팀 (백호족)
  • 가르온 - 라이 / 흑사자(정발됨)[3]
  • 가르즐리 - 가오우 / 불곰(정발됨)
  • 가르만 - 키키 / 원숭이(정발됨)
  • 가르쿠스 - 마오 / 들고양이 (정발x 단, 랜덤 부스터7의 가르온 오렌지 핑크 버전으로 커스텀이 가능하다.)

미국팀 (PPT)
  • 트라이이글 - 마이클(야구) / 독수리(정발됨)[4]
  • 트라이피오[5] - 에디(농구) / 전갈(정발됨)
  • 트라이혼 - 스티브(럭비) / 버팔로 (정발x)
  • 트라이게이터 - 에밀리(테니스) / 악어 (정발x, 단, G블레이드에 등장하는 트라이게이터2는 일본에서는 랜덤부스터로 발매함.)
  • 록 바이슨 - 릭 앤더슨 / 바이슨(정발됨)

유럽팀
  • 그리포리온 - 프란츠(독일인) / 그리폰 (정발x 다만 일판은 출시)
  • 사라마리온 - 쟈니(영국인) / 샐러맨더 (정발x 다만 일판은 출시)
  • 유니코리온 - 올리비에(프랑스인) / 유니콘 (정발x)
  • 안피리온 - 안토니오(이탈리아인) / 암피스바에나[6] (정발x 단, 중국 짝퉁으로는 발매 했다.)

괴물팀 (팀 WHO)
  • 드라큐오스 - 블러드(루마니아인) / 뱀파이어 (정발x)
  • 울포스 - 하울링(루마니아인) / 늑대인간 (정발x)
  • 프랑케오스 - 쟈이(오스트리아인) / 프랑켄슈타인 (정발x)
  • 반데오스 - 카이로나(이집트인) / 미이라 (정발x)

러시아팀 (보그)
  • 울보그 - 유리 / 늑대(정발됨 단, 울버그3(블랙 컬러, 아리엘 컬러)은 일본판에서만 출시 했다.)
  • 시보그 - 세르게이 / 고래(정발됨)[7]
  • 와이보그 - 이반 / 뱀 (정발x 그러나 일판은 정발됨)
  • 팔보그 - 보리스 / 송골매 (정발x)

세인트 실즈
  • 플래시 레오팔드 - 오즈마 / 흑표범(정발됨)
  • 샤크래시 - 마리엘 / 상어(정발x)
  • 배니싱 무트 - 알렉스 / 코끼리(정발x)
  • 볼틱 에이프 - 둥가 / 고릴라(정발x, 단, 일판은 출시됨)

사이킥 팀
  • 사이버 드래곤 - 케인 / 디지털 청룡 (정발됨)
  • 사이버 드래이거 - 로리 / 디지털 백호 (정발x)
  • 사이버 드랜져 - 토미 / 디지털 주작 (정발x)
  • 사이버 드래셀 - 짐 / 디지털 현무 (정발x)
  • 버닝 케르베로스 - 제오 / 케르베로스(정발x, 일판은 출시됨)
  • 블리자드 오르트로스 - 골드 / 오르트로스 (정발x, 일본에서만 후코바코 박스 2003으로 발매)

파츠 헌터
  • 아리엘 - 킹 / 흑산양(정발x, 일판은 출시)[8]
  • 가브리엘 - 퀸 / 백산양(정발x, 일판은 출시)[9]

발테스 팀 (발테스 솔저)
  • 데스 가고일 - 미하엘 / 가고일 (정발x, 단, 일본에서는 랜덤부스터9로 발매함.)
  • 킬러 이글 - 클로드 / 쌍두독수리 (정발x, 단, 일본에서는 랜덤부스터9로 발매함.)
  • 피어스 헤지호그 - 마틸다 / 고슴도치 (정발x)
  • 러싱 보어 - 애런 / 멧돼지 (정발x, 단, 일본에서는 랜덤부스터9로 발매함.)

상그레 팀 (F 상그레)
  • 썬더 페가수스 (좌회전&우회전 팽이) - 줄리아 / 페가수스(정발x, 일판에서만 랜덤부스터12 시크릿 레어로 발매)
  • 플레임 페가수스 (좌회전&우회전 팽이) - 라울 / 페가수스(정발됨)
  • 라비앙로즈 - 로메로 / 장미 (정발x)

TEGA
  • 제우스 - 브루클린 / 제우스 (정발x, 일판은 출시됨)
  • 기가스 - 모제스 / 기가스 (정발x, 일판은 출시됨)
  • 비너스 - 밍밍 / 비너스 (정발x, 단, 일본에서는 랜덤부스터12로 발매함.)
  • 아폴론 - 가란드 / 아폴론 (정발x, 단, 일본에서는 랜덤부스터12로 발매함.)
  • 포세이돈 - 미스텔 / 포세이돈 (정발x, 단, 일본에서는 랜덤부스터12로 발매함.)

극장판
  • 다크 드라군 - 히로시 / 어둠의 청룡 (로손 한정으로 극장판 탑블레이드를 선 예매 하면 동봉 되어있던 팽이이다.)
  • 다크 드랜져 - 아야카 / 어둠의 주작 (정발x 단, 랜덤 부스터8로 발매)
  • 다크 드라이거 - 신고 / 어둠의 백호 (정발x 단, 랜덤 부스터8로 발매)
  • 다크 드레셸 - 사토루 / 어둠의 현무 (정발x 단, 랜덤 부스터8로 발매)
  • 다크 가이아 드라군 - 사토루 / 어둠의 현무 (로손 한정 극장판 영화 비디오·DVD 예약 특전 한정 구매시 안에 동봉 되어있던 팽이이다.)


4.3. 등장 성수[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탑블레이드(만화)/성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미디어 믹스[편집]



5.1. 애니메이션[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탑블레이드(만화)/애니메이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99년 타카라에서 만든 베이블레이드를 코로코로코믹에서 연재된 것을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했다. 애니제작은 디라이츠(現 ADK 이모션즈), TV 도쿄가 추진한 상태에서 한국의 DR무비, 서울애니메이션, 희원엔터테인먼트 / 일본에선 매드하우스, 시너지SP(구 시너지 재팬), 일본애니미디어가 협력하여 제작하였다. 이는 단순히 하청수준이 아니라 시나리오를 비롯해 동화, 연출, 감독까지 모두 한일 합작으로 이루어 졌다. 캐릭터의 디자인이나 등장시점에 대한 발언권도 상당했다. 2014년, 캐릭터 디자이너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3기에서는 한국팀의 제작의 비중이 컸고, 한국에서만 해야 했다는 작업이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DR무비와 매드하우스는 1기만 제작하고 2기, 3기는 나머지 애니메이션회사끼리 제작하였다. 애니메이션 회사도 바뀌는 과정에서 스텝들도 전부 바뀌었다. 캐릭터들의 생김새가 2기부터 급격하게 바뀌거나, 배틀 연출이 3D가 된 것도 이 이유다.

초반부는 원작을 기본으로 한 전개였지만, 제1기의 제8화 이후는 모두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스토리로 되어 있다. 또 캐릭터의 성격, 디자인은 원작과 다른 부분이 많다.

한국에는 2001년부터 SBS와 8개 지역민방[10]에서 애니메이션 방영이 시작되었으며, 2002년부터 원작 만화가 정발되었다. 팽이를 돌리기 시작할 때의 구호인 '쓰리, 투, 원, 고~ 슛!'을 유행시킨 장본인이다. 조금 큰 슈퍼나 편의점 등 어딜 가나 팽이를 판매했으며, 실제로 각종 팽이대회도 열리는 등 큰 인기를 누렸다. 2000년대 중후반까지도 제법 인기를 끌었으며 업그레이드된 괴상한 팽이들도 많이 출시됐었다. 심지어 중학생들 사이에서도 팽이를 가지고 노는 아이들이 간간히 있었을 정도였다.(무인편 방영 당시 정품 기본 팽이의 가격은 5000~10000원대, 중국산 짝퉁팽이의 가격은 2000원대였다. 하지만 성능은 중국산 팽이가 더 좋았다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연출됐다. 정품 팽이와 중국산 팽이가 대결을할 시 정품팽이가 나가떨어질 수준. 심지어 정품이 중국산보다 의외로 더 쉽게 손상되기도 했다.)[11]

1990년대 중후반이랑 2000년대 초반에 태어난 사람들에게는 디지몬 어드벤처, 포켓몬스터와 함께 2000년대 초반 추억의 애니로 손꼽힌다. 이보다 좀 더 앞선 세대가 꾸러기 수비대를 통해 십이지를 외웠다면, 1990년대 중반이랑 2000년대 초반에 태어난 사람들은 탑블레이드를 통해 사방신(청룡, 백호, 주작, 현무)을 외웠다고 볼 수도 있다.

2002년에 최신규 손오공 창업주가 밝힌 에세이에 따르면 제작비 60억중 20억을 투자하고 추가 마케팅비용 11억원도 선부담하면서 목숨을 건 도박을 하였고, 결과적으로 30%의 지분을 얻고 한국에서 '탑블레이드'의 제조권, 판매권 캐릭터 사업권을 모두 손오공이 소유 권리를 획득했다. 타카라토미 측에서도 공동 투자를 인정하고 제작 비화도 겹치니 믿어도 되는 이야기다. 결과는 대성공. 게다가 탑블레이드 시리즈를 방영한 방송사는 SBS이며, 자사 홈페이지에서도 유료로 다시보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던 것도 한일합작의 이점을 살린 것이다.

그러나 이후 손오공이 제작한 팽이 완구 탑플레이트 논란을 통해 사실과 떨어진 "탑블레이드 장난감도 함께 만들었다"는 등의 언플이 재조명되기 시작했다. 베이블레이드 시리즈는 순수하게 타카라에서 고안, 개발해낸 장난감 시리즈다. 그 증거로 계승작인 제 3세대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제 4세대 베이블레이드X는 영실업이 유통을 맡고 있기에, 저 에세이를 신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완구와 별개로 애니메이션에서만큼은 일본 제작진들도 한국의 지분을 인정하는 만큼 탑블레이드가 한일합작 애니메이션임은 사실이다.


5.2. 게임[편집]


  • 폭전슛 베이블레이드 (게임보이 컬러/2001년 7월 27일 출시)[12]
  • 폭전슛 베이블레이드 격투! 최강 블레이더! (게임보이 어드밴스/2001년 12월 6일 출시)
  • 폭전슛 베이블레이드 베이 배틀 토너먼트 (플레이스테이션/2001년 12월 13일 출시)
  • 폭전슛 베이블레이드 2002 간다! 폭투! 초자력 배틀! (게임보이 어드밴스/2002년 6월 27일 출시)
  • 폭전슛 베이블레이드 2002 베이 배틀 토너먼트 2 (플레이스테이션/2002년 8월 1일 출시)
  • 폭전슛 베이블레이드 2002 격전! 팀 배틀! 청룡의 장 - 타카오 편- (게임보이 어드밴스/2002년 12월 6일 출시)
  • 폭전슛 베이블레이드 2002 격전! 팀 배틀! 황룡의 장 - 다이치 편- (게임보이 어드밴스/2002년 12월 6일 출시)
  • 폭전슛 베이블레이드 2002 열투! 마그넷 태그 배틀! (닌텐도 게임큐브/2002년 12월 19일 출시)

2002부터는 일본에선 슈터를 TV에 연결하고 게임이 가능한 얼티메이트 슈터가 발매되었고, 게임보이 어드밴스, 플레이스테이션, 닌텐도 게임큐브가 플랫폼인 게임이 출시되었다. 반면 한국에선 전 시리즈에 이어 손오공에서 게임을 발매하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1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4.1;"
, 4.1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1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4.1;"
, 4.1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2 05:46:47에 나무위키 탑블레이드(만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961년 12월 20일 도치기현 우츠노미야시 출생. 1988년 <월간 코로코로 코믹>을 통해 토미의 프라모델 완구 '조이드'를 기반으로 한 만화 <특공!! 조이드 소년대>로 데뷔했다.[2] ProJect Power of Beyblade. 국내판에선 PPT(Project Power of Topblade)로 로컬라이징 되었다.[3] 단, G블레이드에 등장하는 가르온2는 일판에서만 랜덤부스터로 발매했다.[4] 단, G블레이드에 등장하는 트라이이글2는 일본에서만 랜덤부스터로 발매했다.[5] 3장의 날개로 다운포스를 만들어 내구성을 높인다는 독특한 컨셉의 팽이 하지만 실제론 어택링이 지나치게 커서 밸런스가 깨지기 쉬워 매우 허약해 완구는 시리즈 부동의 최약의 팽이라는 지위를 가지고있다.[6]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환상종의 일종이며, 꼬리에도 머리가 달린 특이한 형태의 쌍두룡으로 묘사된다. 극중에서는 안피스바이너라고 부르는 듯.[7] 1,2 모두 발매했는데, 성능이 극과 극이다. 시보그1은 방어형인데, 시보그2는 뜬금없이 공격형이다.[8] 아리엘 1은 울보그 3의 또 다른 명칭이지만, 이것은 애니메이션에는 출연하지 않았다. 아리엘1 같은 경우는 코로코로 코믹스 응모자 전원 증정 서비스로 얻을 수 있었고, 애니메이션 2기 42, 43, 46, 47화에서 아리엘 2가 출연하며, 완구 아리엘 2는 일본에서만 랜덤부스터 8 에서 12분의 1의 확률로 얻을 수 있도록 발매되었다.[9] 가브리엘 1은 일본에서만 랜덤부스터7로 발매되었지만 이것 역시 애니메이션에는 없었다. 아리엘처럼 애니메이션 2기 42, 43, 46, 47화에서 가브리엘 2가 출연하긴 했지만 완구 가브리엘 2는 안타깝게도 일본에서 랜덤부스터로도 못 구할 정도로 존재조차 하지 않는다.[10] kbc, PSB(현 KNN), JTV, ubc, TJB, TBC, GTB(현 G1방송), CJB[11] 말이 그렇지 가품 중에서는 아예 돌아가지 않거나, 색깔이 전혀 다르고 조잡하게 만든 저열한 제품들도 많았다.[12] 후에 후속작인 팽이대전 G 블레이드에서 중요인물로 등장하는 태양이 처음 등장한 작품으로써, 플레이어가 태양이 되어 TBA팀에 합류하여 애니메이션 스토리에 참여하는 방식이지만 애니메이션이 한창 방영 중일 때 발매된 작품이라 미국편까지만을 다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