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음역

덤프버전 :



이 문서는 나무위키의 이 토론에서 개인의 지지음역 목록을 삭제하며 개인의 지지음역은 근거 신뢰성 순위 8순위 이상의 근거를 첨부해야만 기재가 가능하다(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타 위키에서의 합의내용이 더위키에서 강제되지는 않지만 문서를 편집하실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개요
2. 여담



1. 개요[편집]


Supported Range

사람이 '지지'하여 낼 수 있는 음들의 집합을 의미하는 단어로 통용된다. 여기서 '지지'(Support)란, 횡격막 주위의 근육과 성대 조절을 통해 적절한 양의 공기와 함께 음을 내는 것을 말한다. 즉, 성대를 지나는 공기 흐름을 최적의 범위 내에서 유지하며 낼 수 있는 모든 음들의 영역을 지지음역이라고 일컫는 것이다.

과거 보컬을 평가하던 시절엔 그저 고음잘 지르는 것이 가창력의 전부인 줄로만 아는 사람이 많았다. 고음은 대체로 곡의 클라이맥스에 나오므로 잘 두드러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성대를 적절하게 접촉하여 소리 내는 것의 중요성이 부각되기 시작하면서 이러한 음악관은 점차 바뀌었다.

자신의 발성 능력을 무시한 채 노래할 경우 성대가 아닌 자신의 근육에 불필요한 힘을 주게 되고, 이러다 보면 음질이 좋지 않게 나올 뿐만 아니라 성대에 무리가 갈 수 있으며[1], 나중에는 성대결절 등의 발성 장애로 이어질 수도 있다.[2] 따라서 현재는 단순히 고음역대를 소화하는 것뿐만 아니라 성대 접촉의 정도와 전체 음역대의 고른 발달이 좀 더 중요시되고 있다.[3]


2. 여담[편집]


  • 지지음역은 창법의 변화에 따라 넓어질 수도 있고, 좁아질 수도 있다. 또한 몇몇 가수들은 어떤 부분에서는 기량이 늘었지만 어떤 부분에서는 줄어든 경우도 있다.

  • 지지음역(Supported Range)은 학술 용어가 아니며 소수의 사람이 만든 단어로 추정된다. # 음을 '지지'한다는 것은 분명 존재하는 개념이나 '지지음역'은 학술적으로 전혀 논의되지 않은 비전문가가 만들어낸 개념이다.

  • 예전 고음병 환자들의 또 다른 버전이라 할 수 있는 지지음역병 환자들도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지지음역은 보컬 평가의 절대적인 기준이 아니며 아주 일부 요소일 뿐이다. 이런 것에만 너무 매몰되면 음악을 있는 그대로 듣지 않고, 이 발성은 뛰어나지만 저 발성은 열등하다는 식의 독선적인 태도를 갖게 될 수 있으며[4], 실제로는 대중의 감정을 크게 움직이지 않는 부분에 과도하게 집착하는 오류를 범할 수 있다.

  • 해외 커뮤니티에서는 지지음역의 넓이뿐만 아니라, 보컬 민첩성(Vocal Agility) 및 여러 다른 기술을 통합해 가수들의 보컬 등급을 매기기도 한다. 하지만 상술했듯 보컬 역량을 평가하는 요소는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지지음역이나 몇몇 테크닉만으로 보컬 등급이라며 서열을 매기는 건 객관적인 것 같으면서도 사실 꽤나 주관적이다.[5] 따라서 차라리 표현할거면 '지지음역 등급' 혹은 '발성 등급'이라고 표현하는 게 그나마 좀 더 정확할 것이다.

  • 해외 커뮤의 숫자 놀음이 국내까지 퍼졌는지 2020년대 들어 아이돌 가수들의 보컬 실력을 지지음역 기준으로 평가한 자료가 마치 가창력의 유일한 척도인 것처럼 다루는 영상이 유튜브나 SNS 등지에 돌아다니기도 하는데, 이는 상기했듯 편협한 지식을 전파하여 독선적이고 그릇된 팬덤 문화를 형성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6] 지지음역은 노래 실력의 척도 중 하나가 될 순 있지만 그게 전부는 아니며, 목소리 자체의 발달이 충분하지 않으면 애초에 큰 의미가 없게 된다. 지지음역이 비교적 넓은 가수보다 비교적 좁은 가수가 실력적으로 더 뛰어난 경우도 많기 때문에 지지음역의 범위를 보컬 실력의 유일한 척도로 볼 수는 없다는 것이다. 결국 노래란 특히 프로 가수들에게 가장 중요한건 얼마나 청중이 듣기 좋게 부르느냐고, 지지음역은 그것을 달성하기 위한 도구 중 하나일 뿐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00:09:07에 나무위키 지지음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성대에 지나친 긴장(tension)을 주어 공기가 부족해지면 날카롭고(shrill) 눌린 소리가 나고, 반면 공기가 과해질 경우 호흡이 많이 섞여 음의 투사(projection)가 약해지며 불안정해진다. 다만 프로가수 중 일부에선 개성을 위해 특히 고음에서 일부러 긴장을 주는 경우도 있지만, 발성적으로만 보자면 권장되는 방법은 아니다.[2] 사실 성대의 피지컬은 타고나는 것도 있어서, 같은 양을 쓰더라도 누구는 탈이 날 수도 있고, 누구는 멀쩡할 수도 있다.[3] 물론 지지음역은 한 가수의 보컬 역량을 평가하는 요인 중 극히 일부일 뿐이며, 목소리 자체가 충분히 발달되지 않는다면 큰 의미가 없게 된다. 한 사람의 보컬 역량을 파악하는 데는 저음/중음/고음역에서의 음질(Tonal Quality)과 음의 투사(Projection), 프레이징(Phrasing), 음정 정확도(Pitch Accuracy), 호흡 컨트롤(Breath Management), 목소리의 위치(Vocal Placement), 민첩성(Agility), 볼륨 컨트롤(Dynamics), 다른 성구로의 전환(Transition) 그 외 정말 다양한 요인들이 기준이 된다. 여기에 보컬적 기술들이나 특성들-오버드라이브(Overdrive), 트왱(Twang), 스퀼로 공진(Squillo), 긁기(Growl) 등-도 잣대가 될 수 있다. 그냥 쉽게 말해서 음역대 상관없이 듣기 좋고 안정된 소리를 내면 된다. 그리고 사실 프로 가수에겐 발성 못지않게 톤이나 감정 표현 등도 매우 중요하다.[4] 허스키소몰이, 휘슬 등 성대에 무리를 줄 수 있는 창법도 보컬 스킬로서 적절히 조절해 가며 쓸 수 있다. 물론 이런 창법들은 충분한 테크닉이 받쳐주는 상태에서 사용해야 목이 덜 상한다.[5] 어떤 등급표에서는 대중적으로 이미 성공한 유명 가수들이 일부 신인 그룹 멤버보다 보컬 등급 하위라는 결론이 나오기도 한다.[6] 실제로 관련 영상들의 댓글 창을 보면 지지음역만을 보컬의 척도로 보고 실제로 들리는 것은 아예 무시한 채 지지음역만으로 아이돌 가창력을 줄세우기하며 지지음역이 낮거나 없다고 주장하는 아이돌들에게 인신공격하는 경우가 있다. 비판을 넘어선 비난의 도구로써 지지음역이라는 비전문적 용어가 사용되고 있는 셈이다. 게다가 더 웃긴건 그 지지음역을 구분하는 기준 자체도 불명확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