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집트 관계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6자회담 당사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아시아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파일:중국 원형.png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파일:중국 원형.png
파일:티베트 국기.svg
티베트 망명 정부
파일:중국 원형.png
파일:내몽골 자치구 기.svg
내몽골
파일:중국 원형.png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동튀르키스탄 깃발.svg
위구르
파일:중국 원형.png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유럽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터키 국기.svg
터키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아메리카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니카라과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가이아나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아프리카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아프리카 연합 기.png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푸아뉴기니

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
솔로몬 제도

파일:팔라우 국기.svg
팔라우

파일:키리바시 국기.svg
키리바시

파일:나우루 국기.svg
나우루

파일:투발루 국기.svg
투발루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다자관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대만 국기 대각선 병합.pn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몽골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중국-대만 국기 대각선 병합.png [[파일:내몽골 자치구 기.svg
과거의 대외관계
가야-후한 관계
백제-수나라 관계
나당관계
여요관계
고려-금나라 관계
조명관계
중소관계
송나라 · 청나라






1. 개요
2. 역사적 관계
2.1. 고대
2.2. 20세기
2.3. 21세기
3. 대사관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중국이집트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양국은 냉전시절에 공식수교한 이후, 교류와 협력이 많아지고 있다.


2. 역사적 관계[편집]



2.1. 고대[편집]


서기 70년경 당시 로마 제국 이집트 속주의 알렉산드리아의 그리스인 선원은 인도를 오가면서 견문한 내용을 바탕으로 <주항기>라는 이름의 책을 남기는데 이 책에는 당시 그리스 로마인들이 인도인들로부터 중국에 관하여 어떠한 정보를 접하였는가 관련한 내용이 담겨 있다.

인도 최대의 강인 갠지스 강나일 강처럼 계절에 따라 수위가 높아진다. 이 강에 똑같은 이름의 중요한 무역기지가 있다. 갠지스 시[1]

이곳을 통해 말라바르산 향신료들, 감송, 배 그리고 갠지스산 최상급 모슬린이 수출된다. 이 지역 너머에는 아주 광대한 내륙지방인 지나(중국)라는 곳이 있는데, 이곳에서 생사, 견직물, 옷감이 육로로 들어온다. 이 지나라는 곳은 닿기가 쉽지 않다. 거기서 사람이 오는 경우는 거의 없고, 그리로 가는 사람도 많지 않다. 인도인들이 전하는 바에 의하면 이곳 너머의 땅 지나은 겨울이 혹독하여 추위가 심하다고 한다.


2.2. 20세기[편집]


중화민국 시절 중국에서 후이족 출신 신학자 마젠을 이집트의 알 아즈하르 대학으로 유학 보냈던 바가 있었다. 국공내전 이후 마젠은 가말 압델 나세르저우언라이의 통역을 맡았던 바 있다.

이집트와 중국은 냉전시절에 수교했다. 당시 이집트는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과 갈등이 있었는데, 중국은 소련과 함께 이집트를 지원했다. 무기도 많이 수출하고 이집트는 소련, 중국과 수교하면서 협력이 매우 활발했다. 사다트 대통령이 암살된 이후, 무바라크가 집권한 뒤에도 양국은 외교관계를 유지했다.

1991년 7월에 중국의 리펑 총리가 이집트를 포함한 중동 6개국을 순방한 적이 있었다.# 그리고 10월에 유세프 왈리 부총리가 중국, 터키로부터 새로운 나무품종을 수입해 10년간 2,500만 그루를 심는다고 밝혔다.#

1992년 2월 18일에 이집트의원사절단이 전인대의 초청으로 방중했다.# 그리고 중국조사단이 이집트 북부 해안지역의 구릉평탄화 준비를 위해 온 적이 있었다.#

1992년 8월 9일에 이집트공공사업부는 중국 우한대학과 나일강 보호를 위한 협정을 체결했다.#

2.3. 21세기[편집]


양국간의 교류와 협력이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크게 증가했다. 중국인 관광객들이 이집트에 관광하러 오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그리고 경제적으로 양국간의 교류가 많아지다보니 중국 기업들이 이집트에도 많이 진출했다. 양국간의 교류, 협력이 활발해지고 있다. 중국어는 이집트에서 제2 외국어 교육과정에 포함하는 절차에 돌입했고 이집트에서 주요 외국어에 속해 있다.# 이집트인 유학생들도 중국으로 유학하러 오는 경우가 많이 있다. 하지만 교류와 협력이 많아지는 과정에서 갈등도 나타나고 있다.

이집트는 냉전 시절에 중국과 교류가 많다보니 이집트군은 중국으로부터 많은 무기들을 수입했다.

2016년 1월 21일에 시진핑 주석이 엘시시 대통령을 만나면서 15개 분야에서 150억달러(약 18조2000억원)에 달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2019년 7월에 이집트의 신행정수도 건설에 중국 자본이 많이 투입되고 중국 기업들이 많이 진출했지만, 이 과정에서 일대일로에 이집트도 참여한 것에 대해 이집트내에서 우려도 높아졌다.#

2020년초부터 코로나19가 전세계에 퍼지면서 이집트는 큰 피해를 입었다. 2월 4일에 코로나19가 퍼지자 이집트 정부는 우한시에 있던 이집트인 300여명을 철수시켰다.#1#2 코로나19로 인해 중국 노선이 잠시 단항되었다가 2월 27일에 이집트항공이 재개를 한다고 밝혔다.# 3월 3일에 이집트 보건부는 중국에서 코로나19 진단키트 1천개를 지원받았다고 밝혔다.#

2021년 1월 2일에 이집트는 중국산 백신인 시노팜 백신의 긴급사용을 승인했다.# 그리고 4월 26일에 이집트 의약품 당국은 시노팜 백신의 긴급사용을 승인했다.#

3. 대사관[편집]


카이로에 주 이집트 중국 대사관, 베이징에 주 중국 이집트 대사관이 존재한다.


4.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14:43:16에 나무위키 중국-이집트 관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현대 사학자들은 탐루크로 비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