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파PD

덤프버전 :



운동권의 계파 역사

[ 펼치기 · 접기 ]
무학논쟁
무림(MC)
학림(MT)
사구체 논쟁 시작
NDR
CDR
PDR
제1차 사구체 논쟁
NDR
자민투
민민투
NLPDR
CA
CPA/CPC
제2, 3차 사구체 논쟁
제독PD
주체사상파(NL다수파)
ND
비주사파 NL(NL 좌파, CA 다수파)
AP
AF
경기동부연합
울산연합
인천연합
광주전남연합
PD1
21C2
제파PD
학생운동 단체
전국학생행진
대진련
청년좌파
민달팽이 유니온
-3
노동운동 단체
중앙파
국민파
알바노조
청년유니온
현장파
1제독PD(AMC)+ND+제파PD(AF)
2NL좌파+ND+제파PD(AP, AF)
3 현장파에 대응하는 학생운동 단체는 없다.




1. 개요
2. 사상
3. 역사
3.1. AP그룹(선언)
3.2. AF그룹(반파)
4. 제파PD 사건
5. 현황



1. 개요[편집]


- 민중민주주의(People's Democracy)를 주장하던 8-90년대 대한민국의 운동권 그룹. PD계열 의 한 흐름으로 분류되지만 사상적으로는 CA의 분파에 해당한다.[1]


2. 사상[편집]


이들은 독자적인 전위당 건설 노선을 주장하였고, 기본적으로 CPA계파 내에서 계급모순을 중시하는 분파였다. 이들은 초기에 NDF(National Democracy Front) 노선이라 불렸는데, 이후 이합집산을 거듭하여 형성되었다. 이들은 남한 사회가 미제국주의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인정했으나, 이것을 '식민지'로 규정하냐에 대해서는 내부 계파마다 달랐다. 이 계파는 반민주주의적 파쇼성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신식민파쇼체제론'을 주장하였으며, 당면 투쟁에서 사회주의로의 이행기를 쌓는 토대로의 역할보다는, 부르주아민주주의의 확립을 강조하였다. 또한, 제독PD에 비해 계급모순을 더욱 중시하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해선 제독PD와 달리 높은 반대 입장을 표시하고 있었다. 변혁주도세력을 노동자로 본다는 점에서는 제독PD와 어느 정도의 유사점을 갖고 있다. 이들은 소련 붕괴 전부터 알튀세르의 구조주의, 신마르크스주의 등 여러 서유럽 공산주의 이론에 관심을 기울였으며, 소련 붕괴 이후에는 대부분이 사회민주주의자를 자처하였다.현재도 급진적 노동운동(민주노총 현장파) 일부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3. 역사[편집]


80년대 초반 다산-보임 모임[2]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

반제반파쇼민중민주주의를 주장하며 학생운동에 PDR 이론을 도입하였다. 이들은 큰 틀에서 제파PD로 통칭되었으나, 지역별 노동현장으로 분산되어 독립적으로 활동하였다. 학생그룹은 크게 AP, AF 두갈래로 분리되었다. 참고로 AP, AF 모두 다른 정파의 일부로 통합되었기 때문에 현재 학생운동권 중 제파PD 성향 정파는 없다.

3.1. AP그룹(선언)[편집]


'선언'조직[3]이라 불리며, 여기서 이름을 따서 AP(Agitation Propaganda)라고 칭해졌다.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에서 주로 활동하였다. 90년대 초반 AMC그룹과 연대하여 서울대 총학생회장을 배출하나, 이후 PD 내부 사상논쟁에서 패배하고 조직력이 약해지면서 AMC에 좌파학생운동 주도권을 빼앗기면서 차츰 쇠락해간다. 일부는 '새지평 학생정치연합'을 설립했다가 21세기 진보학생연합에 합류한다.


3.2. AF그룹(반파)[편집]


서강대, 숙명여대, 국민대 등과 지방에는 AF(Anti-Fascism)가 생겨났다. AP와는 큰틀을 같이하면서도 내부 논쟁도 벌였다. 92년 '진보학생정치연합'을 결성했으나, 21세기 진보학생연합 참여와 관련해 조직이 분화된다. 이후 잔류파는 전국학생연대-전국학생회협의회에 합류하여 옛 사회당으로 발전한다.

4. 제파PD 사건[편집]


흔히 공안사건들에 관련해 NLPDR, ND들의 사건만 알려져있지만 90년대 초반에는 PD 제그룹들 특히 제파계열이 연관된 공안사건들이 생겨났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제파PD그룹 사건이었다. 학생운동권과 전노협, 서노련등에서 활동하던 운동가들은 90년대 초 한국사회내의 마르크스 레닌적 혁명론을 유통하고 조직을 건설하려 했고, 이 움직임은 곧 각 노동조합과 대학에 퍼져 노동자 정당을 건설하려는 시도로 이어졌다. 그러나 1991년 정부는 13명의 활동가들을 체포하고 이들의 사상이 무장봉기를 획책했다는 혐의로 형을 내렸다.


5. 현황[편집]


  • 사회변혁노동자당(변혁당): 제파PD사건의 주역의 일부가 이후 '노동자의 힘'을 설립하고 이후 여러 조직을 거쳐 사회변혁노동자당으로 이어졌다.[4] 대중정당이 아닌 사회주의 혁명을 위한 전위정당 노선을 추구한다. 규모는 미미하나, 민주노총 노동운동 현장파 내에서는 어느정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강령에서는 사회주의 혁명으로 산업을 국유화하는 방침을 갖고 있으나 대중적으로는 기업 사내유보금 환수를 주요 요구로 내세운다.[5] 그리고 친북 혹은 종북적인 NL에 대조되게 이들은 김씨 일가와 북한에 대해 매우 비판적인 단체다. 다만 구 소련에 대해서는 다양한 정파들의 연합 조직인 관계로 당 내에서 다양한 입장이 존재한다.

  • 노동사회과학연구소(노사과연) : 노동자의 힘 회원들이 주축이 되었던 한국노동이론정책연구소(한노정연)의 후신.[6] 매우 엄격한 마르크스-레닌주의 노선을 지지한다.[7] 사실상 PD 초기의 이념을 가장 충실하게 계승한 집단일지도... 현재는 변혁당 활동가들과는 궤를 달리하며 이론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23:48:05에 나무위키 제파PD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정확하게는 민민투 내 CPA(헌법제정민중의회)그룹 내 주류였던 CA를 비판한 비주류 계열이다.[2] 고성국 등이 일본에서 마르크스주의 서적을 들여와 학생들과 노동자들에게 전파한 혐의로 86년 검거된 사건으로 알려졌다. 참조 [3] 그들이 발행했던 기관지의 이름이 '선언'이었다.[4] 몇 년간 사노위부터 계추위까지 당 건설의 과정이 있었다. 사노위 스스로가 사회주의노동자정당 건설의 실패를 인정하고 변혁모임과 계추위를 거쳐 지금의 당으로 출범했다.[5] 사회주의는 변증법적으로 현실의 모순을 하나씩 해결한다. 기업 사내유보금 환수부터 시작해서 혁명까지 나아가는 과정인 것이다.[6] 사실 한노정연 말기에 노사과연이 분화되었는데, 남았던 한노정연은 망해버려 노사과연이 한노정연의 후신처럼 되었다.[7] 실제 이곳에서 출판한 책들을 보면 이런 책이나 이런 책 등 소련을 변호한 책들을 찾아볼 수 있으며 읽는 책들 역시 구소련의 러시아과학아카데미에서 나온 철학사나 자본론 등으로 친소 성향이 강하다. 홈페이지에 마르크스, 엥겔스, 레닌의 사진이 걸려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