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일본공수 140편 배면비행 사건

덤프버전 :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파일:34254325.png
사고 5개월 전, 나리타 국제공항에서 찍힌 사진

파일:external/www.yoseyama.jp/ana_haimen.jpg
당시 상황을 재현한 3D 그래픽. 보잉 737기인데 엔진이 날개 위에 있다. 잘못 그린 게 아니다! 원본 그래픽 영상

全日空140便急降下事故
(全日空140便)

항공 사건 사고 요약표
발생일
2011년 9월 6일
유형
조종사 과실
발생 위치
일본 시즈오카현 상공
탑승인원
승객: 112명
승무원: 5명[1]
부상자
8명[2]
생존자
탑승객 117명 전원 생존
기종
보잉 737-781
항공사
전일본공수
기체 등록번호
JA16AN
출발지
나하 공항
도착지
도쿄 하네다 국제공항

1. 개요
2. 사건 상황
3. 사건 이후




1. 개요[편집]


2011년 9월 6일 오후 10시 50분쯤, 오키나와현나하 공항을 출발해 하네다로 향하던 전일본공수B737-700이 약 10초 간 거의 뒤집혀서 비행한 사건이다.


2. 사건 상황[편집]


10시 50분, 시즈오카현 부근을 비행하던 B737-700 여객기는 갑자기 몸을 뒤틀면서 급강하하기 시작했다. 기체는 좌측으로 90도를 넘어 131.7도까지 기울어져 거의 배면비행 상태에서 비행했고, 기체 속도는 제한 속도를 넘은 마하 0.828까지 솟았다. 거기에다, 기체는 날개의 양력을 크게 잃어 실속 상태까지 갔다. 말로 쓰면 감이 오지 않겠지만, 3D 그래픽으로 보면 무시무시하다. 기사, 비행기록표
기체는 약 10초 동안 1,900m까지 곤두박질쳤으나, 다행히 원상복귀에 성공해 대형 사고로 번지지 않았다. 그 후 기체는 무사히 착륙했다.

한편 기체 내는 약 2.5배의 중력가속도가 일정하게도 아니고 받았다 놓았다 할 정도로 매우 위험한 상황이었다.[3] 다행히 추락하면서 배면비행했기 때문에 몸이 하늘로 솟구치려는 관성력이 생겨서 좌석에 고정되는 효과가 발생했고, 덕분에 승객 가운데 부상자는 8명으로 인명피해는 사실상 없는 셈이다. 오히려 관성력이 뒤집어진 기체의 바닥 방향으로 걸린 데다가 당시 밤이라 밖이 어두웠기 때문에 의외로 승객들 중에 대다수가 기체가 비정상적인 상태에 빠졌다는 것을 느끼지 못했다고 한다. 물론 복귀에 성공했으니 망정이지, 실패했다면...


3. 사건 이후[편집]


이 사고로 승객중에는 6명이 컨디션 난조를 호소한 것을 제외하고는 부상자가 없다. 그 외에 여성 승무원 2명이 머리에 경상을 입었다.

조사 결과, 비행기 기장이 화장실에 갔다 돌아오면서 부기장이 조종실 문 스위치를 누른다는 것이 그만 수직꼬리날개의 방향타 제어 스위치를 눌러버려서(...) 벌어진 사고로 밝혀졌다.[4][5][6] 뉴스 보도 영상. 46초부터 해당 내용이 나온다.

해당 사건이 일어난 지역이 항공 과밀 지역이기 때문에, 만일 사건이 밤이 아니라 낮에 일어났다면 다른 기체와 충돌할수도 있었던 위험한 사태였다고 한다.

항공 관계자들은 "기장이 일부러 급격하게 조종할때도 이 정도까지 기울어지지는 않는다"며 상식적으로 생각할수 없는 위험한 사태라고 강력하게 비난했다. 국토교통성은 기체가 그 상태에서 다시 원상복구된 것은 거의 천운에 가깝다고 비난했으나 한 항공 평론가는 냉정하게 대응해 기체를 다시 세운 것이라고 반박했다.

국토교통성은 이를 중대 사고로 보고 경위조사를 벌였으며, 운수안전위원회전일본공수 조종사 훈련의 실태조사를 벌이겠다고 밝혔다.

또한 전일본공수 측에서 이미 다음 날 사건이 일어난 사실을 알고 있었으나 은폐하려고 했다[7]는 의혹을 받았으나, 전일본공수 측은 조사 중이라 밝히지 못했던 것이라고 부인했다.

의의(?)라면 의의로 정상적인 여객기 기체도 일시적으로나마 배면비행이 가능하다는 걸 실제로 증명한 첫 기체가 되었다.[8] ?? 배면비행 기록 자체는 알래스카 항공 261편 추락사고 등이 있었지만 이 경우는 기체 고장으로 인한 대처에서 시행한 것이었다.

해당 기재는 이후 비행에 복귀해 영업하다 전일본공수에서 퇴역, 에어 두로 송출됐으며 23년 시점까지도 정상적으로 운항 중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04:01:30에 나무위키 전일본공수 140편 배면비행 사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조종사 2명, 승무원 3명[2] 승객 6명이 컨디션 난조를 보였으며, 승무원 2명은 머리를 부딪혀 경상을 입었다.[3] 롤러코스터 중력가속도가 2G이고 이것은 1회성이지만, 2.5G가 가해졌다 풀렸다를 반복한다면 평균 신체조건으로는 버틸 도리가 없다.[4] 이 사건은 결과적으로는 조종사의 실수였지만, 사고가 벌어진 양상만 놓고 본다면 보잉 737 방향타 결함 사건과 유사하다.[5] 사고 당시 부기장은 B737-500 기종을 운항하다가 (약 4년 3개월) B737 NG 기종으로 전환한지 얼마 안된 시점이었으며 (약 1달 정도), 기존에 운항했던 737-500 기종의 수직꼬리날개의 방향타 제어 스위치의 위치가 737-700의 조종실 문 스위치의 위치와 거의 동일했기에 순간 착각으로 잘못 조작한 것이다.[6] 공교롭게도 본 사건으로부터 불과 1년 전인 2010년에도 113명이 탑승한 에어 인디아보잉 738기를 비행하던 기장이 화장실에 간 동안 부기장이 좌석을 앞으로 당기다 실수로 조종대를 내리치는 바람에 비행기가 7,000 피트 (약 2,000m)를 수직으로 하강한 사건이 있었다. 이 사건 역시 기장이 조종실로 뛰어 들어와 추락하는 비행기를 다시 끌어올리며 가까스로 참사를 피해 사상자는 없었다. 관련 기사[7] 정확히는 사건 당시 기체의 기울기에 대해서 자세히 모르겠다고 발표한 것이 문제가 되었다.[8] 물론 이 사고에서는 배면비행을 했던 고도가 충분히 높았기에(위 영상을 보면 알겠지만, 4만 피트 이상의 매우 높은 고도에서 순항 중이었다), 자세를 회복할 여유가 있어 큰 사고로 이어지지 않았던 것이다. 알래스카 항공 261편 추락사고와 같이 통제불능에다 고도까지 낮은 상태에서 배면비행이 된다면 속절없이 추락하는 것이 일반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