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수군 농어촌버스/장수읍, 번암면, 산서면

덤프버전 : (♥ 0)

||


1. 개요
2. 노선
2.1. 장수 - 두산
2.2. 장수 - 노곡리
2.3. 장수 - 덕산
2.4. 장수 - 번암, 사치, 송학골
2.5. 장수 - 산서, 오수
3. 시간표



1. 개요[편집]


장수터미널을 기점으로 운행하는 노선이다. 번암면으로 가는 노선은 번암면사무소에서 남원버스와 환승이 가능하며, 산서면에서는 임실군, 남원시 시내버스와 환승이 가능하다.


2. 노선[편집]



2.1. 장수 - 두산[편집]


장수군 농어촌버스 장수 - 두산(109)
기점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 장수리(장수공용터미널)종점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 두산리(두산)
종점
첫차08:20기점
첫차08:25
막차17:50막차17:55
배차횟수1일 5회
노선장수터미널 - (← 동촌 ←) - 두산

장수 버스 장수 - 두산 운행시간표
2018년 4월 1일 기준
횟수장수두산→ 경유지 →
108:2008:25동촌
211:1511:20동촌
313:1013:15동촌
415:2015:25동촌
517:5017:55동촌


2.2. 장수 - 노곡리[편집]


장수군 농어촌버스 장수 - 노곡리(108)
기점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 장수리(장수공용터미널)종점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 노곡리(노곡신리)
종점
첫차07:30기점
첫차07:40
막차18:30막차18:40
배차횟수1일 5회
노선장수터미널 - 신리 - 노곡리

장수 버스 장수 - 노곡리 운행시간표
2018년 4월 1일 기준
횟수장수노곡리
107:3007:40
210:0510:15
312:4012:50
414:5015:05
518:3018:40


2.3. 장수 - 덕산[편집]


장수군 농어촌버스 장수 - 덕산(16-5)
기점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 장수리(장수공용터미널)종점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 덕산리(법연)
종점
첫차08:40기점
첫차09:00
막차16:30막차16:50
배차횟수1일 2회
노선장수터미널 - 동촌 - 덕산 - 연주 - 법연

장수 버스 장수 - 덕산 운행시간표
2018년 4월 1일 기준
횟수장수덕산
108:4009:00
216:3016:50


2.4. 장수 - 번암, 사치, 송학골[편집]


장수군 농어촌버스 장수 - 번암(3-6, 51-1, 107)
기점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 장수리(장수공용터미널)종점전라북도 장수군 번암면 노단리(번암면사무소)
종점
첫차06:45기점
첫차07:15
막차18:40막차19:00
배차횟수1일 5회
노선장수터미널 - 송천 - (송학골) - 용추동 - 안양 - 송계 - 하교 - 국포 - 죽산 - 번암정류소 - 번암면사무소

장수군 농어촌버스 장수 - 사치(18-5)
기점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 장수리(장수공용터미널)종점전라북도 장수군 번암면 노단리(번암면사무소)
종점
첫차15:35기점
첫차16:20
막차15:35막차16:20
배차횟수1일 1회
노선장수터미널 - 송천 - 송학골 - 용추동 - 안양 - 송계 - 하교 - 국포 - 죽산 - 번암정류소 - 번암면사무소 - 논곡 - 구선동 - 사치

장수군 농어촌버스 장수 - 사치(14-3, 31-2)
기점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 장수리(장수공용터미널)종점전라북도 장수군 번암면 노단리(번암면사무소)
종점
첫차08:15기점
첫차09:00
막차13:25막차14:15
배차횟수1일 2회
노선장수터미널 - (→ 농원 → 삼봉→ /← 송천 ← 용추동 ← 안양 ←) - 송계 - 하교 - 국포 - 죽산 - 번암정류소 - 번암면사무소 - 논곡 - 구선동 - 사치

장수군 농어촌버스 장수 - 송학골
기점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 장수리(장수공용터미널)종점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 송천리(송학골)
종점
첫차11:30기점
첫차11:40
막차11:30막차11:40
배차횟수1일 1회
노선장수터미널 - 송천 - 이교 - 송학골

장수 버스 번암 방향 운행시간표
2020년 7월 6일 기준
횟수번호장수→ 경유지 →종점→ 경유지 →
151-106:35용추동, 송학골번암 07:15송학골, 용추동
231-208:15번암 08:40사치 09:00논곡, 번암 09:20
310709:50용추동번암 10:20용추동
411:30송학골 11:40
510712:10용추동번암 12:40용추동
614-313:25번암 13:40사치 14:00논곡, 번암 14:20, 용추동
718-515:35용추동, 번암 16:00사치 16:20논곡, 번암 16:40, 용추동
83-617:20용추동, 송학골번암 17:40용추동
910718:40용추동번암 19:00용추동


2.5. 장수 - 산서, 오수[편집]


장수군 농어촌버스 장수 - 산서(4-1)
기점전라북도 장수군 산서면 백운리(구창회관)종점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 장수리(장수공용터미널)
종점
첫차06:20기점
첫차오수발 07:30
막차06:20막차오수발 07:30
배차횟수1일 1회
노선백운리 → 월평 → 산서면사무소 → 이룡 → 봉서 → 마평 → 쌍계 → 강치 → 쌍계 → 마평 → 왕곡 → 봉서 → 사상 → 이룡 → 산서면사무소 → 영천 → 지사 → 계산 → 봉서 → 오수터미널 → 봉서 → 계산 → 지사 → 영천 → 산서면사무소 → 하오 → 초장 → 하오 → 산서면사무소 → 도평 → 월홍 → 구평 → 대덕 → 필덕 → 대성 → 안양 → 용계 → 삼봉 → 수남 → 장수터미널

장수군 농어촌버스 장수 - 산서(34-1)
기점전라북도 장수군 산서면 백운리(구창회관)종점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 장수리(장수공용터미널)
종점
첫차06:50기점
첫차
막차06:50막차
배차횟수1일 1회
노선백운리 → 월평 → 산서면사무소 → 도평 → 월홍 → 대덕 → 대성 → 안양 → 용계 → 삼봉 → 수남 → 장수터미널

장수군 농어촌버스 장수 - 오수 - 산서(18-2)
기점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 장수리(장수공용터미널)종점전라북도 임실군 오수면 오수리(오수공용버스정류장)
종점
첫차07:20기점
첫차08:30
막차07:20막차08:30
배차횟수1일 1회
노선장수터미널 - 수남 - 삼봉 - 용계 - 안양 - 대성 - (→ 필덕 →) - 대덕 - 월홍 - (→ 성재 → 강치 → 쌍계 → 마평 → 이룡 →/← 도평 ← 산서면사무소 ← 이룡 ← 서원 ← 왕곡 ← 서원 ← 이룡 ←) - 산서면사무소 - (← 월평 ← 백운리 ← 월평 ← 산서면사무소 ←) - 영천 - 지사 - 계산 - 봉서 - 오수터미널

장수군 농어촌버스 장수 - 오수 - 산서(34-2)
기점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 장수리(장수공용터미널)종점전라북도 임실군 오수면 오수리(오수공용버스정류장)
종점
첫차09:30기점
첫차11:10
막차09:30막차11:10
배차횟수1일 1회
노선장수터미널 - 수남 - 삼봉 - 용계 - 안양 - (→ 식천 →) - 대성 - 대덕 - (→ 구평 →) - 월홍 - (→ 성재 → 강치 → 쌍계 → 마평 → 이룡 →/← 도평 ←) - 산서면사무소 - (→ 월평 → 백운리 → 월평 → 산서면사무소 → 하오 → 초장 → 하오 → 산서면사무소 →) - 영천 - 지사 - 계산 - 봉서 - 오수터미널

장수군 농어촌버스 장수 - 오수 - 산서(12-4)
기점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 장수리(장수공용터미널)종점전라북도 임실군 오수면 오수리(오수공용버스정류장)
종점
첫차10:40기점
첫차12:30
막차10:40막차12:30
배차횟수1일 1회
노선장수터미널 - 수남 - 삼봉 - 용계 - 안양 - 대성 - (← 필덕 ←) - 대덕 - 월홍 - (← 산서면사무소 ← 하오 ← 초장 ← 하오 ← 산서면사무소 ← 월평 ← 백운리 ← 월평 ←) - 산서면사무소 - (→ 이룡 → 마평 → 쌍계 → 강치 →/← 도평 ← 성재 ←) - 쌍계 - 마평 - 이룡 - 산서면사무소 - 영천 - 지사 - 계산 - 봉서 - 오수터미널

장수군 농어촌버스 장수 - 오수 - 산서(31-3)
기점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 장수리(장수공용터미널)종점전라북도 임실군 오수면 오수리(오수공용버스정류장)
종점
첫차13:30기점
첫차14:50
막차13:30막차14:50
배차횟수1일 1회
노선장수터미널 - 수남 - 삼봉 - 용계 - 안양 - (← 식천 ←) - 대성 - (→ 필덕 →) - 대덕 - 월홍 - 산서면사무소 - (→ 월평 → 백운리 → 월평 →/← 하오 ← 초장 ← 하오 ←) - 산서면사무소 - 영천 - 지사 - 계산 - 봉서 - 오수터미널

장수군 농어촌버스 장수 - 오수 - 산서(33-3)
기점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 장수리(장수공용터미널)종점전라북도 임실군 오수면 오수리(오수공용버스정류장)
종점
첫차14:30기점
첫차15:30
막차14:30막차15:30
배차횟수1일 1회
노선장수터미널 - 수남 - 삼봉 - 용계 - 안양 - (→ 식천 →) - 대성 - (← 필덕 ←) - 대덕 - 구평 - 월홍 - 산서면사무소 - (← 하오 ← 초장 ← 하오 ← 산서면사무소 ← 이룡 ← 서원 ← 사상 ← 왕곡 ← 이룡 ← 산서면사무소 ← 이룡 ← 쌍계 ← 강치 ← 쌍계 ← 이룡 ←) - 산서면사무소 - 영천 - 지사 - 계산 - 봉서 - 오수터미널

장수군 농어촌버스 장수 - 오수 - 산서(16-6)
기점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 장수리(장수공용터미널)종점전라북도 임실군 오수면 오수리(오수공용버스정류장)
종점
첫차17:10기점
첫차18:30
막차17:10막차18:30
배차횟수1일 1회
노선장수터미널 - 수남 - 삼봉 - 용계 - 안양 - 대성 - (→ 필덕 →) - 대덕 - 월홍 - 산서면사무소 - (→ 월평 → 백운리 → 월평 → 산서면사무소 →) - 영천 - 지사 - 계산 - 봉서 - 오수터미널

장수군 농어촌버스 장수 - 오수 - 산서(33-4)
기점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 장수리(장수공용터미널)종점전라북도 장수군 산서면 백운리(구창회관)
종점
첫차18:10기점
첫차오수발 19:40
막차18:10막차오수발 19:40
배차횟수1일 1회
노선장수터미널 → 수남 → 삼봉 → 용계 → 안양 → 식천 → 대성 → 대덕 → 월홍 → 산서면사무소 → 영천 → 지사 → 계산 → 봉서 → 오수터미널 → 봉서 → 계산 → 지사 → 영천 → 산서면사무소 → 월평 → 백운리

장수군 농어촌버스 장수 - 산서(3-7)
기점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 장수리(장수공용터미널)종점전라북도 장수군 산서면 백운리(구창회관)
종점
첫차19:00기점
첫차
막차19:00막차
배차횟수1일 1회
노선장수터미널 → 수남 → 삼봉 → 용계 → 안양 → 대성 → 대덕 → 월홍 → 산서면사무소 → 이룡 → 봉서 → 마평 → 양신 → 강치 → 양신 → 이룡 → 산서면사무소 → 월평 → 백운리

장수 버스 장수 → 산서 운행시간표
2020년 7월 6일 기준
횟수번호장수→ 경유지 →산서→ 경유지 →
14-1백운리 06:20강치, 왕곡, 봉서, 사상07:00오수
234-1백운리 06:5007:00식천, 장수
318-207:20필덕, 강치08:10오수
434-209:30식천, 구평, 강치, 쌍계, 마평10:10백운리, 산서, 초장, 산서, 오수
512-410:4011:15쌍계, 강치, 산서, 오수
631-313:30필덕14:10백운리, 산서, 오수
733-314:30식천, 구평15:10오수
816-617:10필덕17:50백운리, 산서, 오수
933-418:10식천19:00오수
103-719:0019:40봉서, 왕곡, 마평, 강치

장수 버스 산서 → 장수 운행시간표
2020년 7월 6일 기준
횟수번호오수→ 경유지 →산서→ 경유지 →
134-1백운리 06:5007:00식천
24-107:3008:00구평, 필덕
318-208:30백운리, 산서, 왕곡09:20식천
434-211:1011:30
512-412:30산서, 마평, 쌍계, 강치, 산서, 백운리, 산서, 초장14:00필덕
631-314:50산서, 초장15:20식천
733-315:30산서, 쌍계, 강치, 산서, 왕곡, 사상리, 산서, 초장17:20구평, 필덕
816-618:3018:50
933-419:4020:00백운리 종착
103-7산서 19:40봉서, 왕곡, 마평, 강치20:00백운리 종착


3. 시간표[편집]


산서면사무소에서 각 방향별 시간표이다
파일:산서 각 방면.png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13:11:29에 나무위키 장수군 농어촌버스/장수읍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