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교육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인사참모


1. 개요
2. 상세
3. 역사
4. 특징
4.1. 장교
4.2. 준·부사관
4.3. 병사
4.3.1. 교육
4.3.2. 업무


1. 개요[편집]


대한민국 공군병과이자 군사특기.


2. 상세[편집]


변경 전의 이름은 총무 특기. 특기번호는 장교 700X, 준사관 및 부사관 701X, 병사 70110. 2016-2017년 경에 특기 명칭이 개정되면서 인사교육 특기로 변경되었다. 그러나 아직도 공군 외부의 커뮤니티 등에서는 ‘총무’라는 이름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짬밥 많이 먹은 간부들에게도 총무 특기라고 불린다. 공군의 많은 행정병들이 이 특기를 부여 받은 병사들이다.


3. 역사[편집]


1973년 군인사법 개정을 통해 ‘부관’ 병과와 ‘교육’ 병과가 창설되었고, 1980년 ‘부관’ 병과가 ‘인사행정’ 병과로 개칭되었다. 이후 30년 넘게 ‘인사행정’과 ‘교육’ 병과로 나눠져 있던 것을 2016년 군인사법 시행령을 개정하면서 현재의 ‘인사교육’ 병과가 탄생하게 되었다.


4. 특징[편집]



4.1. 장교[편집]



4.2. 준·부사관[편집]



4.3. 병사[편집]


병사들의 경우 항공통제, 항공정보운영, 기상관측 특기 급의 성골은 아니어도, 장비물자보급, 운항관제 특기 정도의 진골~6두품 정도 되는 특기로 여겨진다. 다른 사람들 눈에는 더울 때 시원한 데서 일하고, 추울 때 따뜻한 곳에서 일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 무엇보다, 장물보, 운관보다 진입장벽이 낮은 편이어서 특기 분류 과정에서 인기가 높다. 장물보의 경우 상경계열 전공 점수만이 반영되고, 운관의 경우 항공운항/관제 계열 전공 점수 혹은 항공 관련 면장과 정보처리기능사 등 취득 장벽이 높은 자격증만이 반영된다. 반면 인사교육 특기의 경우, 전공 점수 반영이 없고, 워드프로세서, 비서, ITQ, MOS, 회계관리 등 상대적으로 취득 장벽이 낮은 자격증들에게도 2022년 말까지 60만점을 인정해 줬기에 인기가 높았다. 2022년 말부터 자격증별 인정 점수가 대폭 변경되었고, 저출산에 따른 병력 부족으로 인해 인사교육 특기 병사를 지속적으로 감축하고 있기 때문에 경쟁은 점점 치열해 질 것으로 보인다.


4.3.1. 교육[편집]


특기교육의 경우 공군행정학교에서 진행된다. 병 과정 특기 교육기간은 1주 3일. 하루종일 특기와 관련된 규정 등을 학습하고 실습 등을 한다. 많이 선발하는 특기가 아니기 때문에 같은 행정학교지만 우르르 다니며 강당 등에서 수업 듣는 군사경찰과 다르게 적당한 크기의 대학교 강의실에서 하루종일 강의만 듣는 느낌이다. 공군 거의 모든 부대(서)에 인사교육 병사가 존재하지만, 행정지원을 하는 특기 특성 상 부대별 티오는 매우 적은 편이다. 전임자가 나가기 한 두 달 전에나 충원되면 다행인 편. 그러다보니 특기학교에서의 자대 지원과 관련하여 정치질이 판을 친다.


4.3.2. 업무[편집]


인사교육 병의 공식적인 임무는 인사행정병 문서와 대동소이하게 크게는 인사 관련 업무와 행정지원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과거의 총무라는 이름이 체적 잡의 줄임말이라는 것처럼 상당히 다양한 업무를 수행한다. 온갖 차출의 1순위 대상자인 것은 물론.

일선 비행단에서는 일반적으로 단본부 처/실, 전대 운영과, 대대 운영통제실(운영계)에 ‘행정병’ 혹은 ‘행정지원병’, ‘인사행정병’ 등의 자리로 보임된다.

단본부의 경우 소속된 참모부서에 따라 인사병, 군우병이나 체송병, 그 외에 군종병[1]이나 간혹 공보정훈병[2] 보직을 받아 해당 업무를 수행하거나, 타 대대 행정병처럼 일반적인 행정잡무병 업무를 수행하기도 한다. 부관병의 경우 인사교육 특기 신병 중에서 보직하기도 하고, 타 특기에서 선발해 오기도 하는 편.

단본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서에서는 해당 부서와 관련된 특기에서 차출된 병사들[3]과 함께 행정 지원을 담당한다[4]. 이런 경우, 타 특기에서 차출된 행정병들은 해당 부서와 관련된 주요 행정 업무를 지원하고, 인사교육 특기 행정병은 외출・외박・휴가 관리 등 인사행정과 기타 잡무를 수행한다. 다만 군수 병과와 관련된 일부 전대 운영과나 그 예하 대대들의 운영통제실은 인사행정 관련 업무를 인사교육 특기 병사를 뽑지 않고, 같은 군수 병과로 묶이는 장비물자보급 특기 병사들에게 맡기는 경우가 많다.

포대나 사이트의 경우, 부서가 많지 않고 인력도 많지 않기에 행정병의 수도 매우 적어, 총무의 이름값을 하는, 즉 체적 잡들을 수행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BX를 운영한다든지.. 그렇기에 행정학교에서 집 근처가 아니라면 포대 사이트를 가급적 안 가기 위해 치열한 경쟁이 펼쳐지는 편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21:48:52에 나무위키 인사교육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일반적으로 훈련단에서 면접을 통해 사전에 선발하지만, 간혹 인사교육 신병 중에서 보직하기도 한다. [2] 단 이 경우에는 전문화특기병으로 뽑힌 공보정훈병들과 달리, 카메라를 만지기보다는 공보정훈실 행정지원을 주로 하게 되는 편. [3] 군사경찰대대의 경우 군사경찰 특기에서 , 공병대대의 경우 공병, 복지대대의 경우 급양 특기에서 행정병을 차출하는 식이다. 넌 오늘부터 군경/급양/공병된 거야 [4] 중대 이하 단위의 행정병 자리의 경우 일반적으로 인사교육 병사가 보임되지 않고, 해당 중대 등 소속 일반 특기 병사 중에서 차출하는 경우가 많은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