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진/비판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이동진

1. 김병규(Fantasy)의 비판
1.1. 반론
2. 평론집 《영화는 두 번 시작된다》 퀄리티에 대한 비판
3. 파이아키아 <해프닝> 해설 오류 사태



1. 김병규(Fantasy)의 비판[편집]


그를 겨냥한 주된 비판은 영화 평론가 김병규(Fantasy)의 2014년 글을 통해 참고.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 비평적 태도의 좌표가 없는 것처럼 보인다.
영화 평가에 자신의 사상이나 정치 성향과 같은 본인의 주관을 전혀 곁들이지 않는 것으로 유명하다. 영화를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장점도 되지만, 특히 정치사회적 문제의식을 전달하려는 성향이 강한 영화에도 영화적 완성도의 기준에 따른 객관적 평가는 정치사회적 문제의식을 회피하려 한다거나 특이점 없는 평가를 한다는 비판도 따른다.

  • 영화를 예술 그 자체로서가 아니라 해석되어야 할 텍스트로 본다.
이동진은 영화를 해석되어야 하고, 해석될 수 있는 코드화된 암호문처럼 간주하는데, 이런 독법은 그가 전공한 종교학에서 예술품에서 여러 상징들의 종교적 속성을 읽어내는 기법을 연상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암호문 풀이식 도해는 얼핏 보기에는 어렵고 난해한 영화를 쉽게 풀어주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은 영화를 영화가 아닌 평면적인 텍스트로 환원시켜 영화에 대한 이해를 단순하게 만든다는 지적이다.

  • 평론이 영화를 쉽게 설명하는 것에 그친다.
본인의 인문학적 소양을 바탕으로 영화를 해석해 쉽게 설명하려는 목적에 매몰돼 비평가로서 보여줄 또 다른 시선이나 해석 없이, 좋고 나쁨만 구분한다. 만약 이동진이 평론가로서 높은 평가를 받으려면 자신의 독창적인 해석을 제기하는 비평문을 쓸 수 있어야 하는데, 그의 발화 방식은 어떤 점이 좋았고 어떤 점이 나빴고 하는 식의 순간적인 인상만을 제시해 주는 '인상 비평'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는 것이다.


1.1. 반론[편집]


이동진 비평에 대한 비평

김병규가 한 이동진 리뷰의 시작은 빨간 안경 아저씨가 각종 매체를 배회하고 있다. 드럽게 재미없는 빨간 안경 아저씨가.이고[1] 추신. 이동진이 아저씨 유머를 그만둘 때까지 이동진을 까겠습니다.라며 이동진 인기에 문화 권력이라는 자의적 프레임을 씌워 이동진의 평론을 주목하는 대중을 '팬덤'이라는 추종자들로 지칭하고 악의를 노골적으로 드러낸다. 특히 글 내내 팬덤이라는 용어를 반복해서 쓰며 공개적인 적개심을 드러내는데, 이동진을 까고 싶은 것인지, 팬덤의 존재를 까고 싶은 것인지 도무지 구분이 잘 되지 않는 수준이다.

이동진은 다른 평론가들과 달리 TV, 라디오, 팟캐스트, 유튜브 등의 대중 매체에서 불특정 다수에게 설명해주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우에는 매체의 특성상 스포일러가 안 되는 수준에서 대중들에게 영화를 쉽고 흥미롭게 설명해주는 것이 주요한 목표가 된다. 그러나 평론지와 대중 매체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평론지의 평론을 대하듯이 이동진을 비판하는 경우가 많고, 김병규 역시 대부분 이동진의 TV 평론이나 20자평에 기반하여 그를 비판한다.

그리고 이동진을 싫어하진 않는다. 물론 그의 팬덤도 싫어하진 않는다고 일러놓고는, 곧이어 이동진과 같은 태도를 흉내 내는 것은 아직 내공의 틀이 잡히지 않은 리뷰어들에게 상당히 위험해 보인다는 이상한 논지를 전개하였는데, 한마디로 자신은 이동진을 싫어하지 않지만, 내공이 부족한 영화 리뷰어들이 이동진을 흉내내는 것이 내심 못마땅하기 때문에 이동진을 비판하겠다는 것이다.

또한 김병규는 (이동진은) 하모니 코린의 〈스프링 브레이커스〉의 쭉쭉빵빵 누나들의 비키니 몸매에 대해 말하지 않는다. 그는 짐 자무쉬의 〈오직 사랑하는 이들만이 살아남는다〉의 뻔뻔스런 뱀파이어 유-우머에 대해 말하지 않는다. 그는 압바스 키아로스타미의 〈사랑에 빠진 것처럼〉 속 정교한 플롯과 끊임없이 미끄러지는 현대인들의 관계를 읽어내면서 "그래서 그 할아버지랑 그 여자애랑 잤다는 건가?" 따위의 저속한 질문을 하지 않는다.는 이야기를 하며 '우아한 지식인을 대변하는 이동진의 모순'이라는 비판을 하는데, 그러한 김병규의 주장에 따르자면 '쭉쭉빵빵 누나들의 비키니 몸매'나 '할아버지와 여자애가 잔 것'을 강조하는 것이 해당 영화를 비평하는 데 그렇게나 중요한 부분인가?

그리고 김병규는 한국의 다양성 영화가 '이동진이 소개하는 영화와 그렇지 않은 영화'로 나뉘며, 그래서 '한국에서 소개되는 다양성 영화는 다양성을 갖추고 있지 못하다'고 주장한다. 그는 이동진이 칭찬한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는 국내에서 12만 명이 들며 흥행했고, (이동진이 무시한) 김동현의 〈만찬〉이라는 영화는 1200명이 봤는데, 김병규는 (본인이 보기에는 큰 차이가 없는) 두 영화의 국내 흥행 스코어의 차이에 곧바로 이동진의 평론적 관심의 차이를 등치시킨다. 이동진이 영화 배급사도 아니고 CJ 같은 대형 미디어 회사도 아니며, 특정 다양성 영화의 흥행과 생사를 좌지우지하는 미다스의 손도 아닌데, 이게 무슨 비판의 이유가 되는가?

다시 말해, 글 내내 어떠한 근거나 출처도 제시하지 않고 "이러저러한 기분이 든다", "이러저러한 인상을 받는다"면서 자기 인상이나 죽 늘어놓고는, 뜬금없이 "이동진이 아저씨 유머를 그만둘 때까지 이동진을 까겠다"고 반 장난식의 으름장을 놓는데, 그 정도 수준의 글을 써서 이동진이 꿈쩍이나 하겠냐는 것이다.

김병규는 4년 뒤인 2018년, 씨네21 영화평론 공모에서 최우수상 없는 우수상을 수상하였다. 또한 김병규는 본인의 네이버 블로그에 올린 해당 글의 원문 포스팅을 비공개로 돌렸다.


2. 평론집 《영화는 두 번 시작된다》 퀄리티에 대한 비판[편집]


이동진은 공식적으로 비평으로 등단한 것이 아니라,[2] 조선일보 영화 담당 기자로 얻은 유명세로 영화 평론가가 된 케이스이다. 따라서 기자라는 직함을 달고 국내 영화 감독들에 대한 인터뷰집을 발간한 적은 있으나, 다른 여타 영화 평론가들과 달리 공식적인 비평집은 출판해 낸 적이 없다. 이에 그가 최초로 출판한 영화 평론집 《영화는 두 번 시작된다》에 대한 독자들의 기대가 높았으나, 정작 출판된 비평집의 퀄리티에 대한 의견은 분분했다.

본인은 양질전환의 법칙 즉, 양이 많아지면 그 자체로 질이 높아지지 않겠는가라고 이야기하나, 온갖 잡동사니 잡문들까지도 전부 긁어모아[3] 올려놓은 듯한 글에 실망감을 느낀 독자들이 있다.

이동진의 팬층이 꽤 두터운 누벨바그 마이너 갤러리에서도 이동진의 평론집에 실망을 표하는 인증들이 올라왔다. #1 #2

이는 예비 독자가 원한 책의 형식과 너무 달랐던 이유가 크다. 이동진이 20년 동안 써온 글을 종합하고 정리한 책을 내놨다고 하니 예비 독자들은 그가 걸작으로 평가한 작품을 심도 있게 다룬 글을 보기를 원했을 것이다. 특히 예약판에 부록으로 '21세기 Best 100'을 선정한 책자를 실어놓고도, 평론의 형식으로 다루지 않은 영화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예비 독자라면 더더욱 실망한 것이다. 책의 가격은 만만치 않은 수준이다.(정가 39,000원) 자칭 독자라면 도전해서 살만한 가격인지 심히 고민해볼만 하다.


3. 파이아키아 <해프닝> 해설 오류 사태[편집]


이동진은 자신이 진행하는 파이아키아에서 오프닝이 인상적인 영화 Best 10의 하나로 M. 나이트 샤말란의 영화 <해프닝>을 꼽았다.# <해프닝>을 선정한 이유를 말하는 도중에 사람들이 하늘에서 떨어지면서 'It's raining men'이라는 유쾌한 노래가 나오는 연출이 인상적이었다고 설명했다. <해프닝>의 오프닝 시퀀스에서는 무수히 많은 건설 노동자들이 떨어져 자살하는데, 이것이 It's raining man의 가사인 '연애는 너무 어려웠는데 비처럼 떨어지는 수많은 남자 중 하나를 고르면 된다'는 코믹한 가사와 맞물려 독특한 감성을 만들어냈다고 밝혔다.#1 #2 #3

그러나 영화 <해프닝>의 오프닝에는 <It's raining men>이 삽입된 장면은 존재하지 않는다. 원본 오프닝 그 노래가 나오는 영상은 영화를 패러디하여 짜집기한 유튜브 클립이다. 영상 1분 19초 경에 나온다.

이후 파이아키아 채널 댓글창에 공식 사과문이 올라왔다.#1 #2 분명히 과거에 해당 영화를 보았고 훗날 '베스트 오프닝'이라는 주제로 콘텐츠를 제작할 때 써먹으려고 기억을 해놓긴 했으나, 영상 제작을 위해 오프닝 부분만 따로 유튜브 검색을 하여 봤다가 큰 실수를 범했다고 인정했다. 그 과정에서 It's raining man이 추가로 삽입된 <해프닝> 오프닝 영상을 보고 착각하게 되었다고 한다.[4] 즉, 해프닝을 아예 안보고 이런 얘기들을 한 게 아니라 워낙 본 지가 오래되어서 그랬을 뿐이라는 것이다.

해당 유튜브 댓글란의 반응은 양분된 상태다. 호의적인 반응을 보이는 쪽에서는 수많은 영화를 보는 입장에서 보이는 작은 실수이다, 잘못보다 수습하는 과정에서 오히려 신뢰를 느낄 수 있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비판 측은 '최고의 영화 오프닝 BEST 10'이라는 주제로 영상을 내놨음에도 정작 그 인상적인 오프닝을 제대로 기억 하지도 못하면 무슨 의미가 있으며, '영화' 평론가라는 사람이 정작 영화가 아닌 유튜브 내 짜깁기 영상을 가지고 평론한다는 것은 모순이라고 주장한다.

영화의 오프닝에서 음악이 아주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이동진의 이러한 실수를 가벼운 해프닝으로 치부하고 넘어가긴 조금은 어렵다. 단순히 음악이 잘 어울린다는 정도의 평이 아니라, 삽입된 음악의 가사가 장면과 코믹하게 잘 맞는다는 평을 해버렸기 때문이다. 워낙 지금까지 쌓아온 명성이 있기에 잘 무마가 된 사건이지만, 영화 평론가로서 결코 해서는 안 되는 실수였다는 점은 명확한 지점. 쉽게 말해 정상적인 평론가라고 말하기는 어려운 수준의 하위 지적 주순이다. (박문성 해설가 참조)

사과문이 올라올 무렵, 잘못된 해석으로 영화 관람에 오해를 야기할 수 있어 해당 구간은 삭제되었다.

[1] 공산당선언의 첫 구절 패러디이다.[2] 영화평론가는 보통의 한국 문인들과는 달리 신춘문예나 문예지의 공모 부류의 어떠한 정식 등단 절차 같은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 영화평론가, 음악평론가 등은 그저 매체나 미디어 등에 일정한 영화 평론 관련 채널을 확보한 사람들에게 붙여주는 프리랜서 직함 같은 것이다.[3] 책은 조선일보 기자 시절에 작성한 리뷰, 조선일보에서 퇴사한 뒤에 네이버에 올린 리뷰, 이동진의 어바웃 시네마에 올린 리뷰, 그 후에 작성한 장문의 글로 구성되었다.[4] 이동진 본인이 <해프닝>을 본 것은 사실이다. 과거 해프닝을 감상한 뒤 리뷰를 올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56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56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0 09:41:49에 나무위키 이동진/비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