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행성과 외행성

덤프버전 : r20180326

1. 개요
2. 겉보기 운동
2.1. 내행성의 겉보기 운동
2.2. 외행성의 겉보기 운동
파일:태양계의 내행성과 외행성.gif
내행성(內行星/Inferior Planet)
외행성(外行星/Superior Planet)[1]

1. 개요[편집]


내행성과 외행성은 프톨레마이오스우주론에서 유래된 명칭으로, 특정 항성의 범위 내에서 특정 행성공전궤도보다 상대적으로 안쪽을 공전하고 있는 행성과 바깥쪽을 돌고 있는 행성을 각각 일컫는 명칭이다. 초.중.고의 교육과정지구과학에서는 보통 위의 사진처럼 지구를 기준으로 한다. 지구를 기준으로 하면 수성금성이 내행성이며, 화성부터 해왕성까지가 외행성이 된다. 최외각 자리를 공전하는 행성을 기준으로 잡으면 둘 중 하나의 개념을 잃게 된다. 예를 들어 태양계에서 수성을 기준으로 하면 내행성이 없게 되고 해왕성을 기준으로 하면 외행성이 없게 된다.

지구에서 바라볼 때, 명왕성에리스같은 플루토이드소행성대의 세레스같은 경우도 외행성처럼 바깥 궤도에 위치한다. 그러나 이들은 행성이 아니므로 외행성이 아닌, 의미상 '외/바깥'이라고 부른다. 참고로 외행성의 경우, 왜행성과 비슷하게 들리지만, 둘은 엄연히 다른 의미이다.

2. 겉보기 운동[편집]


지구를 기준으로 한다.

2.1. 내행성의 겉보기 운동[편집]


내행성은 기준 행성보다 안쪽 궤도를 돌기 때문에 야간 관측이 불가능하다. 게다가 내행성이 줄곧 떠있는 주간에도 태양광으로 인해 직접 관측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고, 내행성이 기준 행성과 태양의 사이에 놓였을 때는 일식의 원리처럼 태양빛을 가리는 부분이 생기기 때문에 특수 장비를 이용해 관측이 가능한데 이를 일면통과라고 한다.

그러나 이른 새벽이나 이른 저녁처럼 태양이 완전히 반대편으로 사라지지 않고 이 약하게 보이는 상태에서 육안으로 쉽게 관측이 가능하다. 이 때 관측되는 내행성은 태양을 중심으로 얼마간의 거리를 유지하기 때문에, 관측되는 내행성은 거의 일정한 최대이각을 갖는다.

2.2. 외행성의 겉보기 운동[편집]


외행성은 지구에서 관측했을 때 황도를 따라 운동하며, 태양과 지구와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충, 합, 순행과 역행 등의 복잡한 운동을 한다.

지구를 중심으로 외행성과 태양이 이루는 각도가 90˚나 180˚등의 특별한 각도를 이룰 때, 충이나 합 등의 현상이 일어난다. 충과 합은 지구를 중심으로 외행성과 태양이 직선으로 정렬했을 때에 일어나는 현상으로, 충은 태양과 외행성 사이의 각도가 180˚, 합은 태양과 외행성 사이의 각도가 0˚일 때를 말한다. 동구와 서구는 태양과 외행성의 사잇각이 90˚가 되었을 때이며, 태양이 남중했을 때 외행성이 동쪽에 있으면 동구, 서쪽에 있을 경우 서구라 한다.

순행과 역행은 외행성과 지구의 공전 주기 차이로 일어난다. 지구가 태양 주위를 반시계 방향으로 공전하므로 천구에 대해 태양의 위치는 계속해서 동쪽으로 이동하는데, 외행성의 황도상 위치가 태양과 같은 방향으로 움직일 때를 순행이라 하고, 태양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일 때를 역행이라 한다.


[1] Inner Planet와 Outer Planet는 각각 지구형 행성목성형 행성이다. 해석에 주의하도록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