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념미타도량참법

덤프버전 :

파일:예념미타도량참법.jpg

파일:예념미타도량참법2.jpg

1. 개요
2. 내용
3. 보물 지정
3.1. 제949호
3.2. 제1144호
3.3. 제1165호
3.4. 제1241호
3.5. 제1320호


禮念彌陀道場懺法


1. 개요[편집]


조선 성종 5년, 1474년에 세조의 정실이던 정희왕후세종과 세조, 공혜왕후 등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간행한 불교 의식집. 대한민국의 보물 제949호, 1144호, 1165호, 1241호, 1320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동국대학교 도서관, 국립중앙박물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2. 내용[편집]


중국 원나라의 왕자성(王子成)이 처음 간행했던 불경으로 고려 우왕 대에 수입하여 이후 우리나라에서도 쓰이고 있었다. 그러다 1474년에 세조의 비인 정희대왕대비의 후원에 의해 왕실 발원판(發願版)으로 나온 것이 이 예념미타도량참법이다.

발원 내용은 자신보다 먼저 하늘로 떠난 공혜왕후 한씨, 세종, 소헌왕후, 세조, 의경세자, 예종 등의 극락왕생을 빌고 있다.

조선 초기 왕실에 의해 공식적으로 간행된 불경으로 이후 조선 전국 각지에서 간행되는 예념미타도량참법의 모본이라 할 수 있다. 조선 전기 고인쇄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으며, 세조 시대를 살았던 인물들이 지닌 높은 불교 문화 포용성을 보여주는 사료이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예념미타도량참법 항목을 참조.


3. 보물 지정[편집]



3.1. 제949호[편집]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책 끝에는 1474년에 김수온이 쓴 글이 실려 있는데, 여기에는 판각에 참여한 당시의 유명한 승려와 왕실 종친, 간행에 참여한 사람들의 직책과 이름이 기록되어 있어서 왕실에서 국가적인 사업으로 치밀하게 추진하였음을 알 수 있다.

왕실에서 주관하였기 때문에 글을 쓴 사람, 그림을 그린 사람은 물론이고 목판에 새기는 작업을 한 사람도 모두 일류기술자들로 이루어진 조선 전기 최고 수준의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3.2. 제1144호[편집]



목아불교박물관 소장. 미타참법의 절차를 수록한 것으로 성종 5년(1474)에 세조비인 정희대왕대비가 성종비인 공혜왕후 한씨의 명복을 빌기 위해 간행한 것이다. 닥종이에 찍은 목판본으로 권6에서 권10까지를 1권의 책으로 엮었으며, 크기는 세로 33.4㎝, 가로 22㎝이다.

책 끝에 있는 김수온의 글을 통해 공혜왕후 한씨뿐만 아니라 선대왕과 왕비들의 명복도 함께 빌기 위해 간행했음을 알 수 있다. 또 여기에는 판각에 참여한 당시의 유명한 승려와 왕실종친 등의 직책과 이름이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어서 왕실에서 국가적인 사업으로 추진하였음을 알 수 있다.

책을 펴내는데 동원된 사람들이 당대 최고 기술자들이고, 이들의 직책과 이름이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 목판 인쇄기술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여겨진다.



3.3. 제1165호[편집]



김영래(개인) 소장. 미타참법의 절차를 수록한 것으로 성종 5년(1474)에 세조비인 정희대왕대비가 성종비인 공혜왕후 한씨의 명복을 빌기 위해 간행한 것이다. 닥종이에 찍은 목판본으로 권3-4와 권7-8을 1권의 책으로 엮었으며, 크기는 세로 37.3㎝, 가로 23.6㎝이다.

간행에 관계된 기록은 없지만 『예념미타도량참법』 권1-5, 6-10(보물 제949호)과 『예념미타도량참법』 권6-10(보물 제1144호)을 비교하여 보면 동일한 판본으로 보인다. 이들 책에 있는 김수온의 글을 통해 공혜왕후 한씨 뿐만 아니라 선대왕과 왕비들의 명복도 함께 빌기 위해 간행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여기에는 판각에 참여한 당시의 유명한 승려와 왕실종친 등의 직책과 이름이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어서 왕실에서 국가적인 사업으로 추진하였음을 알 수 있다.

책을 펴내는데 동원된 사람들이 당대 최고 기술자들이고, 이들의 직책과 이름이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 목판 인쇄기술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여겨진다. 그리고 조선시대 왕실에서 주관하여 펴낸 책 중에서 가장 정성이 깃들여진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다.



3.4. 제1241호[편집]



직지사 소장. 나무에 새겨 찍어낸 권6∼10의 5권을 1책으로 엮었다. 간행기록이 없어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지만『예념미타도량참법』권1∼5, 6∼10(보물 제949호)과 비교해 보면 판의 형식 등이 동일하여 같은 판에서 찍어낸 것으로 보인다.

책 끝에 있는 김수온의 글을 통해 성종 5년(1474)에 세조비 자성대왕대비가 선대왕과 왕비들의 명복을 빌기 위해 간행한 것이며, 왕실과 고승 및 당시 일류 기술자들이 총동원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책에는 판을 새긴 사람의 이름이 써 있는 것이 보물 949호와 다르다. 이 책과 같이 판을 새긴 사람의 이름이 적혀있는 책이 더러 있는데, 그 책의 발문(跋文:책을 간행한 동기 등을 적은 글)을 통해 성종 5년의 원본을 연산군 9년(1503)에 해인사에서 원본과 가깝게 만들었음을 알 수 있다.

16세기 초 해인사에서 다시 찍어낸 불경으로 판의 새김이나 인쇄상태가 처음의 것에 비해 손색이 없다. 판을 새긴 사람의 이름이 그 무렵 책들의 간행연대를 추정하는 근거가 되며, 서지학과 불교 문화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3.5. 제1320호[편집]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 고려 우왕 2년(1376)에 간행된 것으로 책 끝에는 박면타(朴免妥)가 쓴 발문이 있고, 다음으로 간행에 참여한 이단(李端) 등의 이름이 적혀 있으며, 시주를 담당한 상당군 한중례(韓仲禮), 완산군부인 최씨, 상당군부인 정씨 등의 이름이 보인다. 희귀한 판본으로 문화재적 가치가 높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23:43:32에 나무위키 예념미타도량참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