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유당전서

덤프버전 :

與猶堂全書


파일:external/tasan.or.kr/wt1_cn3_img01.png
1. 개요
2. 발간
3. 구성
4. 관련문서



1. 개요[편집]


다산 정약용의 작품과 저서 모음집. 1934년부터 신조선사에서 정약용의 저서를 수집후 발간하였다. 이 책이 발간된 이후 정약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졌다.

제목의 '여유당'은 정약용의 호이자 정약용 생가의 이름이다. 이름 자체의 기원은 노자의 도덕경 15장의 구절에서 따왔다.

2. 발간[편집]


신조선사(新朝鮮社)에서 1934년부터 1938년까지 신연활자[1]로 인쇄한 활자본으로 총 76책(전154권)으로 간행되었다. 정약용의 5대손 정향진이 1934년 비매품으로 초판을 편집 발행하였다.
외현손 김성진[2]이 편집하고, 정인보[3]안재홍[4]이 교열을 보았다.


3. 구성[편집]


  • 제1집
    • 제1권~제22권(詩文集)
      • 제1권~제7권(詩集)
      • 제8권~제22권(文集)
    • 제23권~제25권(雜纂集)
      • 제24권: 아언각비(雅言覺非)
  • 제2집(經集)
    • 제1권: 대학공의(大學公議)
    • 제2권: 대학강의(大學講義), 소학지언(小學枝言), 심경밀험(心經密驗)
    • 제3권: 중용자잠(中庸自箴)
    • 제4권: 중용강의(中庸講義)
    • 제5권, 제6권: 맹자요의(孟子要義)
    • 제7권~제16권: 논어고금주(論語古今註)
    • 제17권~제20권: 시경강의(詩經講義)
    • 제21권~제28권: 상서고훈(尙書古訓)
    • 제29권~제32권: 매씨서평(梅氏書平)
    • 제33권~제36권: 춘추고징(春秋考徵)
    • 제37권~제44권: 주역사전(周易四箋)
    • 제45권~제48권: 역학서언(易學緖言)
  • 제3집(禮集) - 총 24권
    • 제1권~제16권: 상례사전(喪禮四箋)
    • 제17권~제20권: 상례외편(喪禮外編)
    • 제21권~제22권: 상의절요(喪儀節要)
    • 가례작의(嘉禮酌儀)
    • 예의문답(禮疑問答)
    • 풍수집의(風水集議)
  • 제4집(樂集) - 총 4권: 악서고존(樂書孤存)
  • 제5집(政法集)
  • 제6집(地理集)
    • 제1권~제4권: 강역고 - 아방강역고라는 다산의 서적(총 10권)을 압축 서술하였다.
    • 제5권~제8권: 대동수경(大東水經)
  • 제7집(醫學集) - 총 6권: 마과회통(麻科會通)

4. 관련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11:53:38에 나무위키 여유당전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일본에서 도입한 활자[2] 金誠鎭, 1874~1946[3] 鄭寅普, 1893~1950, 호:爲堂[4] 安在鴻, 1891~19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