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세유표

덤프버전 :

파일:SDC10496.jpg

經世遺表

1. 개요
2. 내용
3. 여담
4. 외부 링크


1. 개요[편집]


조선의 실학자 정약용이 나라의 모든 제도에 대한 국가 개혁 논리를 담은 책. 1817년에 강진에서 유배중에 저술하였으며 총 44권 15책. 규장각,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남아 있다.


2. 내용[편집]


기존 제도들의 모순에 대한 뼈아픈 통찰과 지적을 남기며 당시 조선의 현실에 맞도록 정치, 사회, 경제 제도를 개혁하고 부국강병을 이루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먼저 기존 육조 제도에 대한 개혁 내용이 실려있다. 이조, 호조, 예조, 병조, 형조, 공조의 조직과 구성 및 담당 업무를 서술한 후, 현재 잘못되고 있는 점, 고쳐야 할 부분들에 대해 서술했다.

이후 정전제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의의에 대해 서술했다. 정전제의 뜻은 좋으나 이걸 우리 나라에 제대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고찰과 가능성, 실현 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둔전과 양전(量田)에 대해 설명하며 부세 제도의 개혁 방안을 제시했다. 특히 가난한 백성과 농민에게 불리하도록 국가의 부세가 집중되는 현실을 비판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했으며, 무엇보다 중노동인 어업염전 등에 부과되는 세금의 모순과 부조리를 비판하고 그 개선책을 제시하였다.

이후 환곡 제도의 모순점에 대해 격하게 비판하고 해결 방안으로 사창제(社倉制)와 상평법(常平法)을 주장한다.

과거제도에 대한 비판도 있는데 출신에 구애받지 않는 능력 있는 인물의 등용, 특히 중인 기술직을 우대하고 서얼 출신의 승진을 보장할 것을 주장했다. 또한 선발 과정을 엄격히 하여 관직 수행에 필요한 자질을 갖춘 인재를 선발하도록 했다. 그리고 서북 지방 출신들이 과거 시험에서 받는 차별에 대해 상세히 서술하고 이를 통렬하게 까고 있다.

행정구역 개편도 주장하였는데, 이 중에는 고을이 너무 작은데도 고을 구색을 갖추기 위해 낭비되는 자원이 있으므로 작은 고을을 통폐합하여 합리화한다는 부군면 통폐합 비슷한 방안도 있었다.

전체적으로 당시 조선 사회의 실상과 제반 모순에 대해 비판적 안목에서 상세히 서술하고 있다.


3. 여담[편집]


  • 선운사 마애불의 배꼽에는 검단선사의 비결이 들어 있어서 이것이 세상에 나오면 한양이 망한다는 전설이 있었다. 후에 동학 농민 혁명 때 동학군이 이 비결을 빼내갔는데, 그것이 바로 정약용목민심서와 경세유표였다는 전설이 있다.


4. 외부 링크[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1 23:09:00에 나무위키 경세유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