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용체

덤프버전 :

분류


1. 개요
2. 종류
2.2.2. 세린-트레오닌 인산화효소 수용체 (RSTK)
2.2.3. 구아닐릴 고리화효소 수용체 (RGC)
2.4. 세포 내 수용체
3.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수용체(, Receptor)는 생체 외부의 신호를 생체 내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물질들을 말한다. 생체 외부의 신호는 일반적으로 유기분자이며, 그 외의 전기 신호 등으로도 신호전달이 가능하다. 세포 외부의 신호를 받아들여야 하기 때문에 세포막에 존재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며, 수용체 단백질이라고 하면 99.99%는 세포막에 존재하는 단백질 수용체를 지칭한다.

신경세포(뉴런)에도 있으며 뉴런의 수용체에 붙는 분자는 신경전달물질(neurotransmitter)이라고 한다. 신경계에서는 시냅스 부위에 수용체가 있다.


2. 종류[편집]


크게 나누면 대사성 수용체이온성 수용체가 있다. 대사성 수용체는 GPCR, RTK이고, 이온성 수용체는 리간드 개폐성 이온 통로이다.

이온성 채널은 주로 뉴런시냅스에 있다. 신경전달물질(neurotransmitter)이 리간드(ligand)로서 수용체에 결합하면 이온이 들어오는 작용이 일어난다.

대사성 수용체는 2차 전달자(2차 전령, second messenger)를 사용하여 세포 내의 연속적인 반응을 일으키며 이온성 수용체보다 느리지만 오래 가는 반응을 일으킨다.


2.1. G 단백질 결합 수용체 (GPCR)[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G 단백질 결합 수용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G 단백질 결합 수용체(G protein-coupled receptor, GPCR)는 세포막에 있는 막 관통 단백질이다.

GTP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연쇄적인 세포 내부의 대사 작용을 시작시킨다.


2.2. 효소 연결 수용체[편집]



2.2.1. 티로신 인산화효소 수용체 (RTK)[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티로신 인산화효소 수용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티로신 인산화효소 수용체(receptor tyrosine kinase, RTK)

RTK 자신 스스로의 티로신인산화시켜서 세포 내부의 대사 작용을 시작시킨다.


2.2.2. 세린-트레오닌 인산화효소 수용체 (RSTK)[편집]




2.2.3. 구아닐릴 고리화효소 수용체 (RGC)[편집]




2.3. 이온 통로 수용체[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이온 통로 수용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리간드 개폐성 이온 통로(ligand-gated ion channel)는 이온성 수용체(ionotropic receptor)이다. 이온 통로 수용체라고 부르기도 한다.

뉴런시냅스에 많다.


2.4. 세포 내 수용체[편집]


스테로이드 호르몬이나 갑상샘 호르몬 등과 결합하는 핵수용체가 여기에 해당된다. 핵수용체는 DNA에 결합하여 유전자발현을 직접적으로 조절하는 전사인자로 작용한다.


3.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10:36:40에 나무위키 수용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