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아지와 바꾼 무

덤프버전 :

1. 개요
2. 내용
3. 변형
4. 그 외



1. 개요[편집]


한국의 설화 중 하나로 하나를 황소로 바꾼 이야기며 시대는 미상.


2. 내용[편집]


옛날 어느 고을에 채소 농사를 짓고 소박하게 사는 농부가 추수할 때가 되어 밭으로 가서 여름 내내 가꾼 채소들을 수확했다. 그러다가 무를 수확할 때 유독 한 개의 무가 다른 무에 비해 유달리 커서 잘 뽑히지 않아 땅을 파고 힘을 줘서 겨우 뽑았더니 어린아이 몸뚱이보다도 훨씬 더 큰 무였다[1].

그 뒤 농부는 그 큰 무를 짊어진 다음 마을을 잘 다스려서 평판이 좋은 고을 사또한테 가서 바치기로 했다. 그걸 본 사또는 기뻐한 다음 이방을 불러 요새 들어온 물건 중 줄 만한 것이 있느냐고 묻자 황소 한 마리가 있다 하니 그것을 주라 했다.

큰 무 하나로 황소를 받았다는 소식을 들은 어느 욕심쟁이 농부가 샘이 나서 어떻게 하면 대박날까 궁리하다가 자신의 황소를 바치기로 했다. 무 하나로 황소를 얻었으니 황소를 바치면 금덩어리나 논 몇 마지기 같은 거라도 얻을 수 있으리라 생각했기 때문. 욕심쟁이 농부가 황소를 바치자 사또가 고마워하면서 이방을 부른 다음 요새 들어온 물건 중 줄 만한 것이 있느냐고 물었더니 이방이 며칠 전에 들어온 농부의 귀한 무가 있다고 하자 그것을 주었다. 결국 횡재를 바랬던 욕심쟁이 농부는 착한 농부가 바친 무를 받고 터덜터덜 집으로 돌아오게 되었다.

내용 전개가 그 유명한 〈금도끼 은도끼〉와 비슷하다. 다른 점이라면 주인공이 좋은 것을 얻게 된 계기가 금도끼 은도끼에서는 주인공의 실수(도끼를 빠뜨림)지만 이쪽은 주인공이 신기한 것(큰 무)을 얻어 자신의 의지로(사또에게 가져다 바침) 좋은 것(황소)을 얻었다는 점이고 이에 샘이 난 욕심쟁이가 주인공을 따라했다가 도리어 손해를 보았다는 점도 같다.

다만 금도끼 은도끼에서는 거짓말을 했다가(금도끼를 보고 자신의 것이라 말함) 원래 가지던 것(쇠도끼)조차 잃고 아무것도 못 얻지만 이쪽은 거짓말은 하지 않았는데 기대했던 것은 얻지 못하고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것(큰 무)만 겨우 얻었다는 점이 차이점. 사실은 희소성과 부가가치의 중요함을 깨닫지 못하고 셈질만 한 우둔함을 꼬집는 이야기라 카더라


3. 변형[편집]


판본에 따라 내용이 조금씩 다르게 변하며 착한 농부가 캔 무의 크기가 어떤 판본에선 황소만큼 크다고 되어 있어서 혼자서 뽑을 수 없자 식구들(또는 형제들)을 데리고 와서 같이 캤다고 한다. 또 다른 판본에서는 욕심쟁이 농부가 바친 것이 송아지에서 돼지로 치환되어 있으며 이 경우에도 욕심쟁이 농부가 받은 건 전과 동일하다.

판본에 따라서는 커다란 무를 사또에게 바치지 않고 그냥 가족들과 무국을 끓여먹는 엔딩도 존재한다. 서양에 비슷한 전래동화가 있는데, 이 이야기에서는 무를 뽑는데 초점을 맞춘다. 농부가 순무를 하나 심었는데, 이 순무가 엄청나게 크게 자라자, 마침내 순무를 뽑아서 요리를 하려고 하지만, 너무 커서 뽑히지가 않았다. 결국 아내를 불러서 같이 뽑으려 하지만 순무가 꿈적도 안하고, 지나가던 남자 아이와 여자 아이를 불러 뽑으려 하지만 실패한다. 심지어 개와 고양이까지 합세해서 뽑으려 하지만 실패하고, 결국 마지막에 합류한 쥐까지 같이 당기자 순무가 뽑히게 된다. 결말은 순무를 뽑는데 도운 모두와 함께 농부가 순무를 요리해 먹었다는 해피엔딩으로 끝난다.

그 외에도 가끔씩 농부가 바치는 특산물이 달라지며, 소가 아닌 다른 상을 받는 경우가 있다. 예시로 착한 농부가 본인이 바친 특산물 만한 금덩이를 얻자, 욕심쟁이는 황소를 바치면 황소 만한 금덩이를 받게될거라고 생각해서 황소를 바치지만, 결국 여기서도 욕심쟁이 농부는 착한 농부가 바친 특산물을 받는다.


4. 그 외[편집]


이 이야기는 욕심을 갖지 말자는 교훈이 있어서인지 동화로 각색되며 제5차 교육과정 시절 국민학교(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도 이 이야기가 실렸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07:42:26에 나무위키 송아지와 바꾼 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판본에 따라 무가 아닌 감자같은 다른 특산물로 나온다. 어쨌든 매우 큰 작물이라는건 변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