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스크리트어/문법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산스크리트어

1. 개요
2. 명사론
2.1. 주격(prathamā)
2.2. 대격(dvitīyā)
2.3. 구격(tr̥tīyā)
2.4. 여격(caturthī)
2.5. 탈격(pañcamī)
2.6. 속격(ṣaṣthī)
2.7. 처격(saptamī)
2.8. 호격(saṁbodhana)
2.9. a로 끝나는 남성명사와 중성명사의 곡용




1. 개요[편집]


산스크리트어의 문법을 다루는 문서. 산스크리트어는 굴절어로, 명사가 - - 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2. 명사론[편집]


산스크리트어는 인도유럽조어의 8개 격과 3개의 성, 단수-양수-복수 굴절을 그대로 물려 받았다.

명사의 격(格)은 총 8개로, 각각 주격-대격-구격-여격-탈격-속격-처격-호격 순서로 나열한다.

2.1. 주격(prathamā)[편집]


주격은 "A가 간다"와 같은 문장에서 "A가"를, 그러니까 주어를 지시하는데에 사용된다.
또한 "그는 부처이다"와 같은 문장에서는 그는(주어), 그리고 그것과 동일시 되는 부처(술부주격;보어)로도 쓰인다.

ahaṁ brahmāsmi. (산디 비적용: aham brahma asmi.)
나는 브라흐만이다.
tat tvam asi.
너는 그것이다. (직역하면 그것 너는 이다.)
nr̥po rame snihyati. (산디 비적용:nr̥paḥ rame snihyati.)
임금은 라마를 사랑한다. (snihyati;처격과 같이 쓰인다.)


2.2. 대격(dvitīyā)[편집]


대격, 흔히 목적격이라고도 부르는 이격은 직접 목적어로써 쓰인다.
또한 "그는 빵을 먹는다", "그 여자는 도시로 간다" 에서 도시처럼 행위의 목표를 나타낸다.


2.3. 구격(tr̥tīyā)[편집]


구격은 동반을 나타내는데에 사용됩니다. "그는 그녀와 함께 간다" 에서 "그녀와 함께"라는 부분이 구격이 될 것이다.
또한 구격 뒤에 "saha"가 붙으면 ~함께라는 뜻으로 "nivā"가 붙으면 ~없이 라는 뜻으로 사용된다

구격은 또한 도구를 뜻하는데에도 사용된다. 동반에서 파생된 의미지만 실질적으로 더 자주 쓰인다.
"나는 연필로 글을 쓰고 있다" 에서 연필로가 구격이 될 것이다..


2.4. 여격(caturthī)[편집]


여격은 간접목적어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되어 진다.
예를 들어 "그는 친구를 위해 글을 쓴다" 라는 문장에서 "친구를 위해"라는 부분이 여격이고
"그는 아들에게 선물을 준다"에서 "아들에게"라는 부분 또한 여격이다..


2.5. 탈격(pañcamī)[편집]


탈격은 기원, 근원, 원천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거의 "~로 부터"라는 의미를 가지지만 비교를 위해서도 쓰인다.
"그 물은 강으로 부터 온다" --> "강으로 부터"가 탈격이 될 것이고
"나는 너보다 키가 크다" --> "너보다" 또한 탈격이 되겠다.


2.6. 속격(ṣaṣthī)[편집]


속격은 간단히 소유를 나타낸다. "나의 물건"이라는 문장에서 "나의"가 속격이 될 것이다.
또한 속격은 언제나 항상 그 다음 명사를 수식한다. "나의 물건"이라는 형태는 되도 "물건 나의"는 안 된다.


2.7. 처격(saptamī)[편집]


처격은 장소를 나타낸다.
"나는 집에 산다"에서 "집에"가 처격이 될 것이다. "그는 말에 타고 있다"에서 "말(馬)에"가 처격이다.


2.8. 호격(saṁbodhana)[편집]


호격은 대상을 부르는데 사용됩니다. 한국어로 치면 "철수야", "신이시여"같은 역할이다.
호격은 주로 문장의 첫 단어로 옵니다. 또한 호격은 격(vibhakti)라기 보다는 주격(prathamā)의 변형으로 여겨진다.
(그래서 거의 주격과 동일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2.9. a로 끝나는 남성명사와 중성명사의 곡용[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4-28 21:51:13에 나무위키 산스크리트어/문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