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반우옌

덤프버전 :




1. 개요
2. 생애
3. 참고문헌



1. 개요[편집]


Vũ Văn Uyên[한자/한글표기]
1479년 ~ 1557년

대월 남북조 시대 버우 주의 제1대 군주(재위: 1527년 ~ 1557년)였다. 베트남 북부 뚜옌꽝 지방을 근거지로 삼아 버우 주를 세웠고, 막 왕조를 토벌하는 데 참여했다. 작위경양후[1]였다.


2. 생애[편집]


부반우옌이 활동한 16세기는 권신 막당중후 레 왕조의 공제로부터 제위를 찬탈하여 막 왕조를 세움으로써 대월 제국이 중흥 후 레 왕조와 막 왕조의 두 세력으로 분열된 상태였다. 1537년 농력(農曆) 9월 임오일(10월 9일[2])에 그가 명나라에 제출한 《백안남란장언》(白安南亂狀言)에 따르면

"문연(文淵, 부반우옌)은 대대로 레씨(黎氏, 후 레 왕조)의 신하가 되어 왔는데, 막당중의 난으로 인해 뚜옌꽝으로 나가 근거지로 삼았습니다.[文淵世黎氏臣, 以登庸之亂, 出據宣光.]"

라는 문구를 확인할 수 있다. 그의 막하에는 '병사 10,000명'[有兵萬人]이 있었고, 그와 동시기에 활동한 후 레 왕조의 관원 응우옌년리엔(阮仁蓮), 레까인미(黎景瑂) 등도 '한 지방을 나누어 막당중과 서로 공격했다'[分據一方, 與登庸相攻.]고 한다.[A]

명나라 사람 엄종간(嚴從簡)의 《수역주자록》(殊域周咨錄)에 따르면 가정 15년(1536년)에 부반우옌과 부응이엠우이(武嚴威), 부뜨랑(武子陵) 등이 함께 '죄를 피하여 달아났다'[避罪出逃]고 했으며, 아울러 명나라 변경에서 소요를 일으켰는데 명나라의 변경 관리들은 이를 저지할 수 없었다고 했다.[3] 운남 총병(雲南總兵) 목소훈(沐紹勳)은 이를 발견한 뒤 '조정의 은혜와 위엄을 선포하고, 이해 관계를 명시함'[宣佈朝廷恩威, 明示利害.]으로써 대응했다.[4] 그런데 《명실록·세종실록(世宗實錄)》권180에 따르면 해당 사건은 가정 14년 10월 을미일 조에 기록되어 있으나 부반우옌이 그 일에 참여했다는 언급이 없다.

1537년 농력(農曆) 9월, 부반우옌이 명나라에 병사의 진격에 대한 내용이 있는 지도를 제출하며 원조를 구했고, 이 기회를 통해 후 레 왕조를 돕고 막 왕조를 타도할 수 있기를 희망했다. 또한 스스로 뚜옌꽝을 근거지로 삼아 지키고 있으면서

'병사 10,000명이 있고, 원컨대 천병(天兵, 명나라 병사)이 남하하기를 기다려 제질(弟侄) 부뜨랑(武子陵) 등을 이끌고 석롱관(石瀧關)에 주둔하여 이를 좇고, 나라 안의 의사(義士)들을 불러모은다면 막당중은 가히 깨뜨릴 수 있다'

고 일컬었다. 명나라 조정은 부반우옌의 표현에 상당히 만족하고 관대(冠帶)를 주었으며, 또한 무직(武職) 4품(品)의 장복(章服), 백금(白金), 문폐(文幣)를 하사했고 부뜨랑 등에게도 관대를 주었다.[A] 엄종간의 《수역주자록》은 부반우옌의 또 다른 보고서 한 편을 수록했는데, 거기엔 그가 자신의 직함을 '안남총병사 경양후'(安南總兵使慶陽侯)로 칭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5]

20세기 초에 지어진 베트남 문헌 《남국위인전》(南國偉人傳)에 따르면 부반우옌이 죽은 뒤 그의 동생 부반멋이 뒤를 이어 무리를 통솔했고,[6] 뚜옌꽝진은 부씨 일족의 장기 근거지가 되었다.[7]


3. 참고문헌[편집]


  • 《明實錄類纂·涉外史料卷》, 李國祥主編, 武漢出版社, ISBN 7543004577
  • 《殊域周咨錄》, 嚴從簡, ISBN 7101006078
  • 《南國偉人傳》, 臺灣學生書局
  • 台灣中央研究院計算中心─兩千年中西曆轉換}}
  • 國學導航─嚴從簡《殊域周咨錄》卷之六《南蠻·安南》}}
  • 《大越史記全書·本紀續編·玄宗穆皇帝》
  • 潘清簡等《欽定越史通鑑綱目》正編卷之三十三至三十六 }}
  • 武文淵「申報」}}
  • 武文淵「白安南亂狀」
  • 《明史·安南列傳》

[한자/한글표기] 武文淵 / 무문연.[1] Khánh Dương Hầu / 慶陽侯.[2] http://sinocal.sinica.edu.tw/ 台灣中央研究院計算中心─兩千年中西曆轉換[A] A B 《明實錄·世宗實錄》卷二百零四,嘉靖十六年九月壬午條,茲參考李國祥主編《明實錄類纂·涉外史料卷》,武漢出版社版,795頁。[3] 嚴從簡《殊域周咨錄》卷之六《安南》,北京中華書局點校本,211頁。[4] 《明實錄·世宗實錄》卷一百八十,嘉靖十四年十月乙未條,茲參考李國祥主編《明實錄類纂·涉外史料卷》,武漢出版社版,792頁。[5] 嚴從簡《殊域周咨錄》卷之六《安南》,北京中華書局點校本,215-217頁。[6] 《南國偉人傳‧武將以下‧武文淵、武文密》,收錄於《越南漢文小說叢刊》第一輯第七冊《筆記小說類》,臺灣學生書局民國七十六年(1987年)版,104頁。 [7] 《大越史記全書·本紀續編·黎紀·玄宗穆皇帝》,東京大學東洋文化硏究所,988-989頁;http://www.nomfoundation.org/nlvnpf/index.php?IDcat=2&cat=3&subcat=305&ok= Hội Bảo tồn Di sản chữ Nôm─《欽定越史通鑑綱目》正編卷之三十三,黎玄宗景治七年九月條,Image 28。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4:22:55에 나무위키 부반우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