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성군 농어촌버스/득량면

덤프버전 :

>
보성군
[ 펼치기 · 접기 ]
>>>>
보성 ~ 벌교 간선
보성읍 지선
벌교읍 지선
동막01
마화24번대
>

마동25-1

장암30번대

대포31번대
조성면 방향
외서면 방향
낙안면 방향
낙안20번대
낙성21
>

낙성22-1
율어면 방향
율어60번대
웅치면 방향
웅치50번대
웅치51번대
겸백면/미력면 방향
화방리62번대
용산63번대
>

64
회천면 방향
율포71번대
득량면 방향
득량75번대
득량76번대
문덕면 방향
노동면 방향>


1. 개요
2. 노선 정보
2.1. 득량75
2.1.1. 율포 경유(득량75, 75-1)
2.1.2. 객산 회차(득량75-2, -4)
2.1.3. 마천리 경유(득량75-3)
2.2. 득량76
3. 역사
4. 특징
4.1. 공통
4.2. 득량75
4.3. 득량76
5. 시간표
5.1. 각 노선 시간표
5.1.1. 득량75
5.1.2. 득량76
5.2. 통합 시간표
5.2.1. 보성 → 득량
5.2.2. 득량 → 보성
6. 연계 철도역


1. 개요[편집]


보성읍과 득량면을 오가는 보성교통 농어촌버스 노선.


2. 노선 정보[편집]



2.1. 득량75[편집]


파일:보성득량75_7007.png
파일:보성득량75-1_7013.png
득량75번득량75-1번

파일:보성군 CI_White.svg 보성군 농어촌버스 득량75번대
[ 통합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보성득량75통합노선도.svg
기점전라남도 보성군 보성읍 원봉리(보성버스터미널)종점전라남도 보성군 회천면 객산리(객산)
종점
첫차6:00(75-4)기점
첫차6:25
막차19:40(75-3)막차20:10
배차간격통합 1일 6회[1]
공통 구간[공통]보성터미널 - 보성역 - 초당 - 군두 - 오봉6구 - 득량역 - 월평 - 금능 - (청암)[청암] - 비봉 - 선소 - 객산
각 노선별 세부 경유지 및 회차지는 하단의 각 노선 틀 참조

2.1.1. 율포 경유(득량75, 75-1)[편집]


파일:보성군 CI_White.svg 보성군 농어촌버스 득량75번, 75-1번
[ 개별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보성득량75_75-1개별노선도.svg
기점전라남도 보성군 보성읍 원봉리(보성버스터미널)종점전라남도 보성군 회천면 객산리(객산)
종점
첫차8:00(75-1)기점
첫차8:35
막차17:05(75)막차17:40
배차간격통합 1일 3회(득량75번 1일 2회, 득량75-1번 1일 1회)
노선보성터미널 → 보성역 → 초당 → 군두 → 오봉6구 → 득량역 → 월평 → 금능 → 청암[청암] → 비봉 → 선소 →
객산(종점) → 원산(천포) → 군농 → 율포승강장 → 밤고개삼거리 → 봇재(대한다원) → 노산 → 덕정 → 다향고(보중) → 보성군보건소 → 보성역 → 보성터미널

2.1.2. 객산 회차(득량75-2, -4)[편집]


파일:보성군 CI_White.svg 보성군 농어촌버스 득량75-2번, 75-4번
[ 개별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보성득량75-2_75-4개별노선도.svg
기점전라남도 보성군 보성읍 원봉리(보성버스터미널)종점전라남도 보성군 회천면 객산리(객산)
종점
첫차6:00(75-4)기점
첫차6:25
막차13:10(75-2)막차13:50
배차간격통합 1일 2회, 각 1일 1회
노선보성터미널 - 보성역 - 초당 - 군두 - 오봉6구 - 득량역 - 월평 - (안심촌)[2] - 금능 - (청암)[청암] - 비봉 - 선소 - 객산

2.1.3. 마천리 경유(득량75-3)[편집]


파일:보성군 CI_White.svg 보성군 농어촌버스 득량75-3번
[ 개별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보성득량75-3개별노선도.svg
기점전라남도 보성군 보성읍 원봉리(보성버스터미널)종점전라남도 보성군 회천면 객산리(객산)
종점
첫차19:40기점
첫차20:10
막차막차
배차간격1일 1회
노선보성터미널 → 보성역 → 초당 → 군두 → 오봉6구 → 득량역 → 월평 → 금능 → 비봉 → 선소 →
객산(종점) → 원산(천포) → 서동 → 화죽 → 회동마을 → 동막 → 마천보건진료소 → 오봉6구 → 군두 → 초당 → 보성역 → 보성터미널

2.2. 득량76[편집]


파일:보성득량76-1_7020.png
득량76-1번

파일:보성군 CI_White.svg 보성군 농어촌버스 득량76번대
[ 통합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보성득량76노선도.svg
기점전라남도 보성군 보성읍 원봉리(보성버스터미널)종점전라남도 보성군 회천면 서당리(원산)[천포]
종점
첫차6:00(76)기점
첫차6:25
막차19:00(76-2)막차19:30
배차간격통합 1일 6회, 각 1일 1회
공통 구간[공통]보성터미널 - 보성역 - 초당 - 군두 - 오봉6구 - 마천보건진료소 - 동막 - 회동마을 - 지등 - 원산[천포]
[ 각 노선 상세 정보 보기 ]
득량76보성터미널 → (천포 방향 공통 구간과 동일) →
원산[천포][회룡하] → 회룡동 → [호음중산] → 마천보건진료소 → [도촌] → 오봉6구 → (공통 구간과 동일) → 보성터미널
득량76-1보성터미널 → (오봉6구까지 공통 구간과 동일) → 오봉6구 → [호음상] → 동막 → (공통 구간과 동일) →
원산[천포] → (마천보건진료소까지 공통 구간과 동일) → 마천보건진료소 → [도촌] → 오봉6구 → [중동하] → 군두 → (공통 구간과 동일) → 보성터미널
득량76-2보성터미널 → (오봉6구까지 공통 구간과 동일) → 오봉6구 → [호음회룡] → 동막 → (공통 구간과 동일) →
원산[천포] → (마천보건진료소까지 공통 구간과 동일) → 마천보건진료소 → [도촌] → 오봉6구 → (공통 구간과 동일) → 보성터미널
득량76-3보성터미널 → (오봉6구까지 공통 구간과 동일) → 오봉6구 → [중산도촌] → 석장(도촌) → [도촌호음회룡] → 동막 → 회동마을 → [두곡서동]
원산[천포][군농] → 율포승강장 → [율포] → 보성터미널
득량76-4보성터미널 → (오봉6구까지 공통 구간과 동일) → 오봉6구 → [중산] → 마천보건진료소 → [마천호음] → 동막 → (공통 구간과 동일) →
원산[천포][군농] → 율포승강장 → [율포] → 보성터미널
득량76-5보성터미널 → (군두까지 공통 구간과 동일) → 군두 → [중동상] → 오봉6구 → [중산도촌] → 석장(도촌) → [도촌호음] → 동막 → 회동마을 → [두곡서동]
원산[천포][군농] → 율포승강장 → [율포] → 보성터미널
[천포] A B C D E F [회룡하] 원산 → 지등 → 회동마을 → 회룡동[호음중산] 회룡동 → 호음동 → 마천보건진료소 → 중산 → 마천보건진료소[도촌] A B C 마천보건진료소 → 용호 → 석장 → 용호 → 오봉리 → 오봉6구[호음상] 오봉6구 → 마동 → 복재 → 한샘물 → 호음동 → 동막[중동하] 오봉6구 → 중동 → 군두[호음회룡] 오봉6구 → 마동 → 복재 → 한샘물 → 호음동 → 회룡동 → 동막[중산도촌] A B 오봉6구 → 마천보건진료소 → 중산 → 마천보건진료소 → 용호 → 석장[도촌호음회룡] 석장 → 용호 → 마천 → 마동 → 복재 → 한샘물 → 호음동 → 회룡동 → 동막[두곡서동] A B 회동마을 → 용산(두곡) → 두곡 → 천동 → 지등마을(내부) → 서동 → 묵산 → 원산[군농] A B C 원산 → 화당 → 화동 → 군농 → 군지 → 우암 → 율포승강장[율포] A B C 율포승강장 → 상율 → 밤고개삼거리 → 영천 → 봇재(대한다원) → 노산 → 다향고(보중 → 보성여중 → 보성역 → 보성터미널[중산] 오봉6구 → 지동 → 마천보건진료소 → 중산 → 마천보건진료소[마천호음] 마천보건진료소 → 마동 → 복재 → 한샘물 → 호음동 → 동막[중동상] 군두 → 중동 → 오봉6구[도촌호음] 석장 → 용호 → 마천 → 마동 → 복재 → 한샘물 → 호음동 → 동막


3. 역사[편집]


  • 득량75-4번은 한때 벌교에서 출발한 후 군두사거리까지 온 뒤 득량으로 들어갔으나, 일자 미상으로 보성읍에서 출발하는 것으로 조정되었다.


4. 특징[편집]



4.1. 공통[편집]


  • 두 노선 모두 1일 6회씩 운행한다.


  • 대부분의 노선이 보성에서 출발해 보성역, 초당리, 군두를 경유한 다음 득량으로 들어오며, 일부 노선은 회차지에서 득량으로 돌아오지 않고 군농리, 율포, 대한다원을 경유해 돌아나오는 노선으로 운행하고 있다.

4.2. 득량75[편집]


  • 득량면 오봉리로 간 다음, 동쪽의 비봉리를 지나 회천면 객산리로 가는 노선이다.

  • 일 3회는 객산리에서 율포를 경유해 돌아나오며, 막차는 마천리를 경유해 돌아나온다.

  • 율포를 경유하지 않는 편의 경우 각 편도로 1회씩 해평리 안심마을(안심촌)을 경유한다.

  • 객산 방향은 전 노선이 득량역 앞을 경유하나, 보성 방향의 경우 율포를 경유하는 노선이나 막차는 득량역 앞을 경유하지 않는다.

4.3. 득량76[편집]


  • 득량면 오봉리로 간 다음, 서쪽의 마천리, 정흥리, 도촌리를 경유한 다음 회천면 천포리까지 운행하는 노선이다.

  • 일 3회는 객산리에서 율포를 경유해 돌아나온다.

  • 오봉6구에서 마천리 방향으로 빠지는 노선 특성상 전 노선이 득량역 앞이나 득량농협을 경유하지 않으며, 득량75번을 이용하거나 득량치안센터 근처 오봉6구 정류장을 이용해야 한다.

5. 시간표[편집]



5.1. 각 노선 시간표[편집]



5.1.1. 득량75[편집]


객산에서 돌아올 때 율포를 경유하는 회차는 연한 노랑색으로, 마천리를 경유하는 회차는 연한 회색으로 표기되어 있다.

보성 버스 득량75번대 운행시간표
2023년 7월 31일 기준 #
횟수보성 출발군두, 득량경유지객산경유지득량, 군두
율포, 다원
보성 도착번호
106:00군두 06:10
득량 06:15
비봉 06:2006:25비봉 06:30
안심촌 06:40
득량 06:55
군두 07:00
07:10득량75-4
208:00군두 08:10
득량 07:15
청암 08:17
선소 08:20
08:35천포 08:45율포 08:55
다원 09:00
09:10득량75-1
310:20군두 10:30
득량 10:35
선소 10:4510:55천포 11:00율포 11:15
다원 11:20
11:30득량75
413:10군두 13:20
득량 13:25
안심촌 13:30
청암 13:40
13:40비봉 14:00득량 14:10
군두 14:20
14:30득량75-2
517:05군두 17:!5
득량 17:20
선소 17:3017:40천포 17:45율포 17:55
다원 18:05
18:20득량75
619:40군두 19:50
득량 19:55
선소 20:0020:10천포 20:15
마천 20:20
득량 20:25
군두 20:30
20:40득량75-3
기/종점 시간 외에는 예상 통과시간으로, 표기된 시간보다 빠르게/느리게 통과할 수 있으니 시간표 시간 10분 전에 정류장에서 대기하는 것을 권장.


5.1.2. 득량76[편집]


천포에서 돌아올 때 율포를 경유하는 회차는 연한 노랑색으로 표기되어 있다.

보성 버스 득량76번대 운행시간표
2023년 7월 31일 기준 #
횟수보성 출발군두, 득량경유지천포경유지득량, 군두
율포, 다원
보성 도착번호
106:00군두 06:10
득량 06:15
마천 06:2006:25회룡동 06:28
중산 06:35
도촌 06:40
득량 06:50
군두 06:55
07:05득량76
209:20군두 09:30
득량 09:35
호음동 09:4009:50마천 09:55
도촌 10:00
득량 10:05
중동 10:10
보성 10:25득량76-1
310:40군두 10:50
득량 10:55
중산 10:57, 도촌 11:00
회령동 11:10
서동 11:20
11:30-율포 11:40
다원 11:45
11:55득량76-3
413:40중동 13:55
득량 14:00
도촌 14:05, 호음동 14:10
두곡 14:15, 서동 14:25
14:35-율포 14:45
다원 15:00
15:10득량76-5
516:20군두 16:30
득량 16:35
중산 16:37
호음동 16:40
17:00-율포 17:10
다원 17:15
17:25득량76-4
619:00군두 19:10
득량 19:15
호음동 19:20
회룡동 19:25
19:30도촌 19:40득량 19:40
군두 19:50
20:00득량76-2
기/종점 시간 외에는 예상 통과시간으로, 표기된 시간보다 빠르게/느리게 통과할 수 있으니 시간표 시간 10분 전에 정류장에서 대기하는 것을 권장.

5.2. 통합 시간표[편집]


  • 밑줄 표시보성군청 제공 시간표에 통과 시간이 적혀있지 않으며, 전/후 경유지 시간을 기반으로 추정된 통과 시간이다.

5.2.1. 보성 → 득량[편집]


득량역 앞을 경유하지 않고 마천리 방향으로 빠지는 노선은 연한 노란색으로 표기되어 있다.

보성군 농어촌버스 보성→득량 통합 운행시간표
2023년 7월 31일 기준 #
횟수보성 출발군두, 득량경유지종점/회차지노선번호
106:00군두 06:10
득량 06:15
마천 06:20천포 06:25득량76
206:00군두 06:10
득량 06:15
비봉 06:20객산 06:25득량75-4
3벌교 05:40
조성 05:55
군두 06:10
득량 06:15
호음동 06:20
천포 06:30
객산 06:35순환02-1
407:15군두 07:25
득량 07:30
안심촌 07:35
대보등 07:40
조성 각주[3]
벌교 09:00
대보등11-2
508:00군두 08:10
득량 08:15
선소 08:20객산 08:35득량75-1
609:20군두 09:30
득량 09:35
호음동 09:40천포 09:50득량76-1
709:40군두 09:50
득량 09:55
대보등 10:05
조성 10:15
벌교 10:30대보등11-1
810:20군두 10:30
득량 10:35
선소 10:45객산 10:55득량75
910:40군두 10:50
득량 10:55
도촌 11:00
회령동 11:00
천포 11:30득량76-3
1012:20군두 12:30
득량 12:35
마천1리 12:37
호음동 12:40
조성 13:10
벌교 13:25
대보등11-3
1113:10군두 13:20
득량 13:25
안심촌 13:30
선소 13:45
객산 13:50득량75-2
1213:40중동 13:55
득량 14:00
호음동 14:10
화죽리 14:20
천포 14:35득량76-5
1316:10중동 16:22
득량 16:25
대보등 16:30
조성 각주[4]
보성 17:55대보등11
1416:20군두 16:30
득량 16:35
중산 16:37
호음동 16:40
천포 17:00득량76-4
1517:05군두 17:15
득량 17:20
선소 17:30객산 17:40득량75
1619:00군두 19:10
득량 19:15
호음동 19:20
회룡동 19:25
천포 19:30득량76-2
1719:40군두 19:50
득량 19:55
선소 20:00객산 20:10득량75-3
기/종점 시간 외에는 예상 통과시간으로, 표기된 시간보다 빠르게/느리게 통과할 수 있으니 시간표 시간 10분 전에 정류장에서 대기하는 것을 권장.

5.2.2. 득량 → 보성[편집]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득량면 대신 율포를 경유하는 노선 시간표에 대한 내용은 보성군 농어촌버스/회천면 문서
2.4.2.2번 문단을
보성군 농어촌버스/회천면#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득량역 앞을 경유하지 않고 마천리에서 군두 방향으로 바로 운행하는 노선은 연한 노란색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군두는 득량 경유 후 약 5~10분 뒤에 통과한다.

보성군 농어촌버스 득량→보성 통합 운행시간표
2023년 7월 31일 기준 #
횟수기점/회차지 출발경유지득량보성/종점 도착노선번호
1벌교 05:50조성 각주[5]득량 06:40
중동 06:45
07:00대보등10-1
2천포 06:25호음동 06:30
도촌 06:40
06:5007:05득량76
3객산 06:25비봉 06:30
안심촌 06:40
06:5507:10득량75-4
4천포 08:40객산 08:45
비봉 08:50
09:0509:20율포71-3
5천포 09:50마천 09:55
도촌 10:00
10:0510:25득량76-1
6벌교 09:40
조성 10:00
대보등 10:15
안심촌 10:20
10:2510:40대보등10
7천포 11:10객산 11:15
비봉 11:20
11:3511:50율포71-2
8벌교 12:10조성 12:30
대보등 12:40
12:5013:10대보등10-3
9객산 13:50비봉 14:0014:1014:30득량75-2
10천포 14:00-14:10조성 14:25
벌교 14:45
율포71-8
11객산 15:50비봉 15:5516:1016:25율포71-2
12벌교 17:00조성 각주[6]
대보등 18:00
18:0518:25대보등10-2
13천포 18:10객산 18:15
비봉 18:20
18:3018:45율포71-6
14천포 19:30도촌 19:4019:4520:00득량76-2
15객산 20:10천포 20:15
마천 20:20
20:2520:40득량75-3


6. 연계 철도역[편집]


  • 연계 철도역: 보성역(전 노선), 득량역[7]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보성교통 문서의 r38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보성교통 문서의 r38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4-01 19:09:15에 나무위키 보성군 농어촌버스/득량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득량75번이 1일 2회, 나머지 노선이 1일 1회씩 운행한다.[공통] A B 각 노선별 공통 노선도에서 연두색으로 표기된 구간이다.[청암] A B C 마을 내부는 득량75-1번과 75-2번만 객산 방향으로 경유하며, 나머지 노선은 마을 내부로 진입하지 않는다.[2] 득량75-2번은 객산 방향만, 득량75-4번은 보성 방향만 경유한다.[천포] A B 보성군청 시간표에는 '천포'로 표기되어 있다.[3] 조성 08:00 → 반곡, 은림, 상신 경유 → 조성 08:20[4] 조성 16:50 → 행복마을, 중촌 경유 → 조성 17:05[5] 조성 06:05(중촌 방향) → 행복마을, 중촌 경유(06:15) → 조성 06:20(득량 방향)[6] 조성 17:20(귀산 방향) → 귀산, 수당, 신월삼거리 경유 → 조성 17:35(득량 방향)[7] 득량75번대 중 율포를 경유하는 노선과 막차, 득량76번대 전 노선은 역 앞을 경유하지 않으며, 득량치안센터 근처 오봉6구 정류장에서 간접 연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