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의 성씨

덤프버전 :


1. 개요
2. 베트남 50대 성씨



1. 개요[편집]


일찍부터 중국 문화의 영향을 받은 까닭에 다른 동남아 국가과는 달리 중국, 한국과 유사한 형식으로 한자식의 성씨들에 동북아 성명으로 이루어져 있다. 근대에 들어서서 한자가 폐지되고 쯔꾸옥응으를 쓰면서 자기 이름을 한자로 쓸 줄 아는 베트남인은 극소수가 되었지만, 베트남의 성명에는 한자 뜻이 포함되어 있는 성명이 많다.

한국 성씨와 비슷하게 한 성씨가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굉장히 높다. 특히 가장 많은 성씨인 '응우옌(Nguyễn, , 완)' 씨가 베트남 전 인구의 38.4%나 된다[1]. 그 외에 주요 성씨들로는 쩐(Trần, , 진)(11%), 레(Lê, , 여)(9.5%), 호앙(Hoàng, , 황)(5.1%), 팜(Phạm, , 범)(5%), (Phan, , 반)(4.5%), (Võ, , 무)(3.9%), (Đặng, , 등)(2.1%), 부이(Bùi, , 배)(2%), (Đỗ, , 두)(1.4%), 호(Hồ, , 호)(1.3%), 응오(Ngô, , 오)(1.3%), 즈엉(Dương, , 양)(1%), (Lý, , 이)(0.5%) 등이 있다. 왕조 이름이 왕가의 성이기 때문에 동아시아사 과목 수험생들은 쉽게 익힐 수 있다.

베트남 사람들은 전란 같은 일이 생겨 다른 고을로 이주할 때 원래 쓰던 성씨를 다른 성씨로 바꿔버리는 경우가 많았다. 대표적으로 18세기 후기 찐(Trịnh, 鄭)씨와 응우옌씨의 남북분립기 당시에 봉기를 일으킨 베트남 떠이 썬 삼형제가 남부 응우옌 정권 쪽으로 끌려와서 원래 성인 호씨를 버리고 어머니의 성인 응우옌으로 바꾼 사례를 들 수 있다. 그래서 레 왕조 시기 법률인 『국조형률(國朝刑律)』에 동성결혼(同姓結婚) 금지 조항이 규정되어 있었음에도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다. [2]


2. 베트남 50대 성씨[편집]


월남오십대성
순위
성씨
한국식 독음
1위
Nguyễn (阮)
원, 완 [3][4]
2위
Trần (陳)

3위
Lê (黎)
려(여)
4위
Phạm (范)

5위
Huỳnh (黃)

6위
Phan (潘)

7위
Vũ (武)

8위
Đặng (鄧)

9위
Bùi (裴)

10위
Đỗ (杜)

11위
Hồ (胡)

12위
Ngô (吳)

13위
Dương (楊)

14위
Lý (李)
리(이)
15위
Trịnh (鄭)

16위
Đoàn (段)

17위
Đào (陶)

18위
Tô (蘇)

19위
Vương (王)

20위
Phùng (逢)

21위
Cao (高)

22위
Mai (梅)

23위
Giang (江)

24위
Chu (朱)

25위
Kha (賈)

26위
Lương (梁)

27위
Lục (陸)

28위
Âu (歐)
구, 우[5]
29위
La (羅)

30위
Võ (武)

31위
Tạ (謝)

32위
Thái (蔡)

33위
Chung (鍾)

34위
Lỗ (魯)
로(노)
35위
Phí (費)

36위
Mạc (莫)

37위
Kiều (翟)

38위
Đinh (丁)

39위
Lưu (劉)
류(유)
40위
Quách (郭)

41위
Chuẩn (權)

42위
Tôn (孫)

43위
Đồng (董)

44위
Lỗ (盧)
로(노)
45위
Tăng (曾)

46위
Giao (蕭)

47위
Dục (欲)

48위
Nghiêm (嚴)

49위
Diệp (葉)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00:12:49에 나무위키 베트남의 성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여기에 돌림자도 사용하기에 베트남 사람은 개인의 고유 이름으로 호칭된다. 만일 '길'이 돌림자인 홍길동이 베트남에서 사업을 시작했다면 홍 사장이 아니라 동 사장이라 불리는 것.[2] 출처: 유인선, 『근세 베트남의 법과 가족』, 위더스북, 2014[3] 대한민국의 阮씨는 대한민국 인구주택총조사에 2015년부터 등록된 성씨이며 각각 원씨와 완씨로 존재하고 있다.[4] 阮(「원, 완」)의 본음(本音)은 「원」. 뜻을 나타내는 좌부변(阝(=阜) ☞ 언덕)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元(원)이 합(合)하여 이루어짐.[5] 「구」의 본음(本音)은 「우」. 뜻을 나타내는 하품흠(欠 ☞ 하품하는 모양)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區(구)가 합(合)하여 이루어짐.